해주 광조사 진철대사 보월승공탑비(海州 廣照寺 眞澈大師 寶月乘空塔碑)
- 시대
- 고려
- 연대
- 937년(태조 20)
- 유형
- 비문
- 크기
- 높이 228.8cm, 폭 115.1cm, 글자크기 2.8cm
- 소재지
- 황해남도 해주시 학현동 광조사
- 서체
- 해서(楷書)
- 찬자 /각자 /서자
- 최언위(崔彦撝) / 상신(常信) / 이환상(李奐相)
- 지정사항
- 비지정유산
- 연구정보
개관
황해도 해주시 학현동 광조사(廣照寺) 터에 현존하는 비이다. 신라 말의 선사로서 구산선문(九山禪門) 중에 마지막으로 형성된 산문인 수미산문(須彌山門)의 문호를 연 진철대사(眞澈大師) 이엄(利嚴 : 경문왕 10, 870~ 태조 19, 936)의 생애를 기리는 탑과 함께 세운 비이다. 비문은 여말선초에 활동한 대표적 문인인 최언위(崔彦撝)가 지었고, 이환상(李奐相)이 썼으며, 상신(常信)이 새겨서 진철대사가 돌아간 이듬해인 937년(고려 태조 20)에 세웠다. 현재 35행에 1행 77자의 비문 구성을 알 수 있다. 비문의 내용은 대사의 가계와 탄생에 관련된 이야기 그리고 출가와 수행 및 중국에 유학하여 운거도응(雲居道膺)의 법을 이어 귀국하고 귀국 후에 교화한 활동을 서술하였으며 입적과 비를 세우는 과정에 이은 명(銘)으로 이루어져 있다. 신라말 선사들의 출가와 수계 그리고 입당 수학과 귀국 및 당시 호족들과의 관계, 그리고 개경에 가까운 해주 수미산에 산문이 설립되는 과정을 통해 본 고려 태조의 불교계 정책 등을 살펴볼 수 있는 자료이다. 일찍부터 금석 관련 문헌에 실려 알려졌고 탁본도 남아 있다.
관련 금석문
판독문/해석문
판독문 | 허흥식 |
참고문헌
논문 | 2003 | 박윤진, 2003, 「高麗初 高僧의 大師 追封」『韓國史學報』14 |
단행본 | 1994 | 李智冠, 1994, 『校勘譯註 歷代高僧碑文』【高麗篇1】, 伽山文庫 |
논문 | 1993 | 李智冠, 1993,「校勘 譯註 海州廣照寺 眞澈大師 寶月乘空塔碑」『伽山學報』2, 伽山學會 |
단행본 | 1992 | 추만호, 1992, 『나말여초 선종사상사 연구』, 이론과실천 |
논문 | 1988 | 金杜珍, 1988, 「羅末麗初 桐裏山門의 成立과 그 思想 -風水地理思想에 대한 再檢討」『東方學志』57, 연세대 국학연구원 |
단행본 | 1984 | 許興植, 1984, 『韓國金石全文』中世上, 亞細亞文化社 |
논문 | 1984 | 金杜珍, 1984, 「玄暉(879∼941)와 坦文(900∼975)의 佛敎思想; 高麗初의 敎禪融合思想과 關聯하여 」『歷史와 人間의 對應-高柄翊先生 回甲紀念 史學論叢』 |
논문 | 1983 | 韓基汶, 1983, 「高麗太祖의 佛敎政策-創建 寺院을 중심으로-」『大邱史學』22 |
논문 | 1981 | 金杜珍, 1981, 「王建의 僧侶融合과 그 意圖」『韓國史論叢』4, 국민대학교 |
논문 | 1978 | 崔柄憲, 1978, 「新羅末 金海地方의 豪族勢力과 禪宗」『韓國史論』4 |
- 담당부서 : 미술문화유산연구실
- 문의 : 042-860-919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