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립문화재연구원은 전통문양이 갖는 의미와 조형적 특징을 연구하여 그 원형을 기록, 보존하는 한편 문화 콘텐츠로 활용 가능성을 넓히기 위해 <한국 전통문양 원형기록화> 사업을 추진하였습니다.

2006년부터 시작된 본 사업은 직물, 도자기, 나전·화각, 금속공예, 목공예, 와전, 궁능석조물 분야의 전통문양을 조사하고 보고서를 발간하였습니다.
최근에는 고구려 고분벽화 속 아름다운 문양과 그림들의 원형을 복원하여 일러스트로 제작하였습니다.

보고서에는 개별 문양의 설명과 함께 사진, 문양 등을 수록하였고, 특히 일러스트 파일은 일반인들이 문화 콘텐츠로 손쉽게 활용할 수 있도록 인터넷을 통해서도 제공하고 있습니다.



▶ 보고서

· 우리나라 전통 무늬 1 직물 (2006)
· 우리나라 전통 무늬 2 도자기 (2008)
· 우리나라 전통 무늬 3 나전⁄화각 (2009)
· 우리나라 전통 무늬 4 금속공예 (2011)
· 우리나라 전통 무늬 5 목공예 (2012)
· 우리나라 전통 무늬 6 와전 (2013)
· 우리나라 전통 무늬 7 궁능석조물 (2014)
· 천상의 문양예술, 고구려 고분벽화 (2020)



▶ <고구려 고분벽화 속 문양 여행> 유튜브 영상 바로보기

※ '20.3.1일부터 유튜브는 인터넷 익스플로러를 지원하지 않습니다.

※ 유튜브 동영상을 시청하시려면 브라우저를 업데이트(크롬, 엣지, 파이어폭스, 오페라 등) 하시길 바랍니다.

→ 업데이트 바로가기


아래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해당하는 영상을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제 1부 '천상의 세계를 그리다'
제 1부 '천상의 세계를 그리다'
제 2부 '사후세계의 수호신, 사신도'
제 2부 '사후세계의 수호신, 사신도'
제 3부 ‘인간세상을 그리다’
제 3부 ‘인간세상을 그리다’


본 일러스트 자료들은 ‘자유이용 공공저작물’로써 출처 표시를 전제로 하여 상업적 이용 및 변형 등 2차적 저작물 작성이 가능합니다.(공공누리 제1유형) 우리의 전통문양이 무한한 잠재력을 가진 문화 콘텐츠로 각계각층의 사람들에게 활용될 수 있기를 기대합니다.


  • 담당부서 : 미술문화재연구실
  • 담당자 : 박지영
  • 문의 : 042-860-919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