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야 문화재
문헌정보
보고서
국립경주박물관, 『국립경주박물관부지 내 발굴조사 보고서 - 미술관부지 및 연결통로 부지-』, 2002.
국립부여문화재연구소, 『궁남지』, 1999.
국립부여문화재연구소, 『궁남지Ⅱ - 남지 서북편일대-』, 2001.
국립부여박물관·부여군, 『부여능산리사지 제6차발굴조사』, 2007
국립창원문화재연구소, 『함안 성산산성』, 1998.
동국대학교 경주캠퍼스 박물관, 『경주 황남동376 통일신라시대 유적』, 2002.
문화공보부문화재관리국, 『안압지발굴조사보고서』, 1978.
문화재관리국문화재연구소, 『미륵사유적발굴조사보고서Ⅰ』, 1989.
문화재연구소경주고적발굴조사단, 『월성해자시굴조사보고서』, 1985.
문화재연구소경주고적발굴조사단, 『월성해자발굴조사보고서Ⅰ』, 1990.
충남대학교박물관·대전시, 『부여관북리백제유적발굴조사보고Ⅰ』, 1985.
한양대학교·경기도, 『이성산성3차발굴조사보고서』, 1991.
한양대학교·하남시, 『이성산성4차발굴조사보고서』, 1992.
한양대학교박물관·하남시, 『이성산성6차발굴조사보고서』, 1999.
한양대학교박물관·하남시, 『이성산성7차발굴조사보고서』, 2000.
한양대학교박물관·하남시, 『이성산성8차발굴조사보고서』, 2000.
한양대학교박물관·하남시, 『이성산성9차발굴조사보고서』, 2000.
하남시·한양대학교박물관,『 이성산성10차발굴조사보고서』, 2003.
도록
국립경주박물관,『 문자로본신라』, 2002.
국립부여박물관『 백제의문자』, 2003.
국립청주박물관『 한국고대의문자와기호유물』, 2000.
부산광역시립박물관복천분관『 유물에새겨진고대문자』, 1997.
보고서
고경희『 신라월지출토 재명유물에 대한 명문 연구』, 동아대학교대학원사학과석사학위논문, 1993.
김재홍,『 신라중고기촌제의 성립과 지방사회구조』, 서울대학교대학원국사학'과문학박사학위논문, 2001.
김창석,「 황남동376유적출토목간의 내용과 용도」,『 신라문화』제19집, 동국대학교신라문화연구소, 2001.
김창호,「 함안성산산성출토목간에 대하여」,『 함안성산산성』, 국립창원문화재연구소, 1998.
김창호,「 이성산성출토의 목간연대문제」,『 한국상고사학보』제10호, 한국상고사학회, 1992.
박상진,「 출토목간의 재질분석-함안성산산성 출토목간을 중심으로」『, 한국고대사연구』19, 서경문화사 2000.
박종익,「 함안성산산성 발굴조사와 목간」,『 한국고대사연구』19, 한국고대사학회 서경문화사 2000.
박종익,「 함안성산산성 출토목간의 성격 검토」,『 한국고고학보』48, 한국고고학회, 2002.
박중환,「 부여능산리발굴목간예보」『, 한국고대사연구』28, 한국고대사학회 서경문화사 2002.
박현숙,「 궁남지 출토 백제목간과 왕도 부제」,『 한국사연구』92, 한국사연구회, 1996.
사계화「중국에서 출토된 위진대 이후의 한문간지문서와 성산산성출토 목간」『, 한국고대사연구』19, 서경문화사 2000.
윤선태,「 함안성산산성 출토 신라목간의 용도」,『 진단학보』88호, 진단학회, 1999.
윤선태,『 신라통일기왕실의 촌락지배-신라고문서와 목간의 분석을 중심으로』, 서울대학교대학원국사학과문학박사학위논문, 2000.
윤선태,「 신라중고기의 촌과 도읍락의 해체와 관련하여」,『 한국고대사연구』25, 한국고대사학회 서경문화사 2002.
윤선태「, 신라의문서행정과목간-첩식문서를중심으로」『, 강좌한국고대사』제권 재 단법인가락국사적개발연구원 2002.
이기동,「 안압지에서 출토된 신라목간에 대하여」,『 경북사학』제1집, 경북대학교문리과대학사학과, 1979.
이경섭,「 성산산성목간의 신고찰」, 한국역사연구회고대사분과연구발표회발표요지문 2003.
이도학,「 이성산성출토목간의 검토」,『 한국상고사학보』제12호, 한국상고사학회, 1993.
이상준,「 경주월성의 변천과정에 대한 소고」,『 영남고고학 』21, 영남고고학회, 1997.
이성시「 한국출토목간について」,『 목간연구』19, 목간학회, 1997.
이성시,「 한국목간연구의 현황과 함안성산산성 출토의 목간」『, 한국고대사연구』19, 서경문화사 2000.
이용현,「 경주황남동76유적 출토목간의 형식과 복원」,『 신라문화』제19집, 동국대학교신라문화연구소, 2001.
이용현,「 함안성산산성 출토 목간에 대한 종합적 고찰」,『 한국고대목간연구』, 고려대학교대학원박사학위논문, 2001.
이용현,「 함안성산산성 출토 목간과 6세기 신라의 지방경영」『, 동원학술론문집』제5집, 한국고고미술연구소, 2002.
이용현,「 경주안압지「( 월지」) 출토목간의 기초적 검토-보고서 분석과 넘버링을 중심으로」『, 국사관논총』제01집 국사편찬위원회, 2003.
이용현·김창석,「 경주황남동376유적출토목간의 고찰」『, 경주황남동376 통일신라시대유적』, 동국대학교경주캠퍼스박물관, 2002.
전덕재「 신라중고기 결부제의 시행과 그 기능」,『 한국고대사연구』21, 서경문화사 2001.
전덕재,「 한국역사학계의 회고와 전망-한국사고대」,『 역사학보』제171집, 역사학회, 2001.
田中俊明,「 百濟後期王都泗批をめぐる諸問題」,『 角田直先生古希記念論文集』1, 1997.
井上直樹,「 韓國咸安城山山城出土木簡の檢討會」,『 朝鮮史硏究會會報139』, 2000.
주보돈,「 이성산성출토의 목간과 도사」,『 경북사학』제14집, 경북사학회, 1991.
주보돈,「 함안 성산산성출토 목간의 기초적 검토」,『 한국고대사연구』19, 한국고대사학회 서경문화사 2000.
최맹식·김용민,「 부여궁남지 내부발굴조사 개보-백제목간출토 의의와 성과」,『 한국상고사학보』제20호, 한국상고사학회, 1995
평천남,「 일본고대목간연구의 현상과 신 시점」,『 한국고대사연구』19, 서경문화사 2000.
橋本 繁「, 金海出土『論語』木簡について」『, (早稻田大學&朝鮮文化硏究所主催シンポジウム) 韓國出土木簡の世界』, 2004.
이경섭,「 함안성산산성목간의 연구현황과 과제」,『 신라문화』제23집, 2001. 2.
이경섭,「 7세기신라의 재정운용」,『 한국고대사연구』34, 2004.
이경섭,「 성산산성출토 하찰목간의 제작지와 기능」,『 한국고대사연구』37, 2005.
이문기,「 안압지출토목간으로 본 신라의 궁정업무」,『 한국고대사연구』39, 2005.
손환일「 경주지역출토목간에 대한 석문」, 한국고대사학회자료실 2004.
도미야이타루지음 임병덕옮김『 목간과 죽간으로 본 중국고대문화사』, 사계절 2005.
주보돈『 금석문과 신라사』, 지식산업사 2002.
국립창원문화재연구소『 함안성산산성Ⅱ』, 20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