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고서
· 국립경주박물관, 『국립경주박물관부지 내 발굴조사 보고서 - 미술관부지 및 연결통로 부지-』, 2002.
· 국립부여문화유산연구소, 『궁남지』, 1999.
· 국립부여문화유산연구소, 『궁남지Ⅱ - 남지 서북편일대-』, 2001.
· 국립부여박물관·부여군, 『부여능산리사지 제6차발굴조사』, 2007.
· 국립창원문화유산연구소, 『함안 성산산성』, 1998.
· 동국대학교 경주캠퍼스 박물관, 『경주 황남동376 통일신라시대 유적』, 2002.
· 문화공보부문화유산관리국, 『안압지발굴조사보고서』, 1978.
· 문화유산관리국문화유산연구소, 『미륵사유적발굴조사보고서Ⅰ』, 1989.
· 문화유산연구소경주고적발굴조사단, 『월성해자시굴조사보고서』, 1985.
· 문화유산연구소경주고적발굴조사단, 『월성해자발굴조사보고서Ⅰ』, 1990.
· 충남대학교박물관·대전시, 『부여관북리백제유적발굴조사보고Ⅰ』, 1985.
· 한양대학교·경기도, 『이성산성3차발굴조사보고서』, 1991.
· 한양대학교·하남시, 『이성산성4차발굴조사보고서』, 1992.
· 한양대학교박물관·하남시, 『이성산성6차발굴조사보고서』, 1999.
· 한양대학교박물관·하남시, 『이성산성7차발굴조사보고서』, 2000.
· 한양대학교박물관·하남시, 『이성산성8차발굴조사보고서』, 2000.
· 한양대학교박물관·하남시, 『이성산성9차발굴조사보고서』, 2000.
· 하남시·한양대학교박물관,『 이성산성10차발굴조사보고서』, 2003.
도록
· 국립경주박물관,『 문자로본신라』, 2002.
· 국립부여박물관『 백제의문자』, 2003.
· 국립청주박물관『 한국고대의문자와기호유물』, 2000.
· 부산광역시립박물관복천분관『 유물에새겨진고대문자』, 1997.
보고서
· 고경희『신라월지출토 재명유물에 대한 명문 연구』, 동아대학교대학원사학과석사학위논문, 1993.
· 김재홍,『신라중고기촌제의 성립과 지방사회구조』, 서울대학교대학원국사학'과문학박사학위논문, 2001.
· 김창석,「황남동376유적출토목간의 내용과 용도」,『 신라문화』제19집, 동국대학교신라문화연구소, 2001.
· 김창호,「함안성산산성출토목간에 대하여」,『 함안성산산성』, 국립창원문화유산연구소, 1998.
· 김창호,「이성산성출토의 목간연대문제」,『 한국상고사학보』제10호, 한국상고사학회, 1992.
· 박상진,「출토목간의 재질분석-함안성산산성 출토목간을 중심으로」『, 한국고대사연구』19, 서경문화사 2000.
· 박종익,「함안성산산성 발굴조사와 목간」,『 한국고대사연구』19, 한국고대사학회 서경문화사 2000.
· 박종익,「함안성산산성 출토목간의 성격 검토」,『 한국고고학보』48, 한국고고학회, 2002.
· 박중환,「부여능산리발굴목간예보」『, 한국고대사연구』28, 한국고대사학회 서경문화사 2002.
· 박현숙,「궁남지 출토 백제목간과 왕도 부제」,『 한국사연구』92, 한국사연구회, 1996.
· 사계화「중국에서 출토된 위진대 이후의 한문간지문서와 성산산성출토 목간」『, 한국고대사연구』19, 서경문화사 2000.
· 윤선태,「함안성산산성 출토 신라목간의 용도」,『 진단학보』88호, 진단학회, 1999.
· 윤선태,『신라통일기왕실의 촌락지배-신라고문서와 목간의 분석을 중심으로』, 서울대학교대학원국사학과문학박사학위논문, 2000.
· 윤선태,「신라중고기의 촌과 도읍락의 해체와 관련하여」,『 한국고대사연구』25, 한국고대사학회 서경문화사 2002.
· 윤선태,「신라의문서행정과목간-첩식문서를중심으로」『, 강좌한국고대사』제권 재 단법인가락국사적개발연구원 2002.
· 이기동,「안압지에서 출토된 신라목간에 대하여」,『 경북사학』제1집, 경북대학교문리과대학사학과, 1979.
· 이경섭,「성산산성목간의 신고찰」, 한국역사연구회고대사분과연구발표회발표요지문 2003.
· 이도학,「이성산성출토목간의 검토」,『 한국상고사학보』제12호, 한국상고사학회, 1993.
· 이상준,「경주월성의 변천과정에 대한 소고」,『 영남고고학 』21, 영남고고학회, 1997.
· 이성시,「한국출토목간について」,『 목간연구』19, 목간학회, 1997.
· 이성시,「한국목간연구의 현황과 함안성산산성 출토의 목간」『, 한국고대사연구』19, 서경문화사 2000.
· 이용현,「경주황남동76유적 출토목간의 형식과 복원」,『 신라문화』제19집, 동국대학교신라문화연구소, 2001.
· 이용현,「함안성산산성 출토 목간에 대한 종합적 고찰」,『 한국고대목간연구』, 고려대학교대학원박사학위논문, 2001.
· 이용현,「함안성산산성 출토 목간과 6세기 신라의 지방경영」『, 동원학술론문집』제5집, 한국고고미술연구소, 2002.
· 이용현,「경주안압지「( 월지」) 출토목간의 기초적 검토-보고서 분석과 넘버링을 중심으로」『, 국사관논총』제01집 국사편찬위원회, 2003.
· 이용현·김창석,「경주황남동376유적출토목간의 고찰」『, 경주황남동376 통일신라시대유적』, 동국대학교경주캠퍼스박물관, 2002.
· 전덕재「신라중고기 결부제의 시행과 그 기능」,『 한국고대사연구』21, 서경문화사 2001.
· 전덕재,「한국역사학계의 회고와 전망-한국사고대」,『 역사학보』제171집, 역사학회, 2001.
· 田中俊明,「百濟後期王都泗批をめぐる諸問題」,『 角田直先生古希記念論文集』1, 1997.
· 井上直樹,「韓國咸安城山山城出土木簡の檢討會」,『 朝鮮史硏究會會報139』, 2000.
· 주보돈,「이성산성출토의 목간과 도사」,『 경북사학』제14집, 경북사학회, 1991.
· 주보돈,「함안 성산산성출토 목간의 기초적 검토」,『 한국고대사연구』19, 한국고대사학회 서경문화사 2000.
· 최맹식·김용민,「부여궁남지 내부발굴조사 개보-백제목간출토 의의와 성과」,『 한국상고사학보』제20호, 한국상고사학회, 1995
· 평천남,「일본고대목간연구의 현상과 신 시점」,『 한국고대사연구』19, 서경문화사 2000.
· 橋本 繁,「金海出土『論語』木簡について」『, (早稻田大學&朝鮮文化硏究所主催シンポジウム) 韓國出土木簡の世界』, 2004.
· 이경섭,「함안성산산성목간의 연구현황과 과제」,『 신라문화』제23집, 2001. 2.
· 이경섭,「7세기신라의 재정운용」,『 한국고대사연구』34, 2004.
· 이경섭,「성산산성출토 하찰목간의 제작지와 기능」,『 한국고대사연구』37, 2005.
· 이문기,「안압지출토목간으로 본 신라의 궁정업무」,『 한국고대사연구』39, 2005.
· 손환일,「경주지역출토목간에 대한 석문」, 한국고대사학회자료실 2004.
· 도미야이타루지음 임병덕옮김,『목간과 죽간으로 본 중국고대문화사』, 사계절 2005.
· 주보돈,『금석문과 신라사』, 지식산업사 2002.
· 국립창원문화유산연구소,『함안성산산성Ⅱ』, 2004.
- 담당부서 : 국립가야문화유산연구소
- 문의 : 055-211-90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