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원 실상사 수철화상탑비(南原 實相寺 秀澈和尙塔碑)
- 시대
- 통일신라
- 연대
- 905년(효공왕 9) / 1714년(숙종 40) 중건
- 유형
- 비문
- 크기
- 전체 높이 290.0cm, 비신 높이 168.0cm, 너비 112.0cm
- 소재지
- 전북특별자치도 남원시 산내면 입석리 산50 실상사
- 서체
- 비문 : 해서(楷書), 비액 : 전서(篆書)
- 찬자 /각자 /서자
- 미상 / 음광(飮光) / 미상
- 지정사항
- 보물
- 연구정보
개관
실상사수철화상탑비는 전북특별자치도 남원시 산내면 입석리의 실상사에 있다. 탑비의 전체높이는 2.9m이고, 비신의 높이 1.67m, 너비 1.12m이다. 보물로 지정되었다. 본래 신라 말기에 세운 탑비는 전하지 않고 조선 1714년(숙종 40)에 탁본을 가지고 다시 새긴 것만 남아 있다. 비문의 주인공 수철화상은 실상사의 제2조로 알려졌다. 그는 815년(헌덕왕 7)에 태어나 829년에 출가하였고, 836년(희강왕 1)에 실상사(實相寺)의 승려 홍척(洪陟)에게서 수학하였다. 경주의 팔각당에서 교종과 선종의 차이점을 강의하기도 하였으며, 893년(진성여왕 7)에 입적하였다. 아마도 탑비는 그 후에 건립된 것으로 보인다. 수철화상이 주로 심원사(深源寺)에 머물렀기 탑비에는 심원사·국사수철화상(深源寺·國師秀澈和尙)이라고 기술되어 있다. 본래의 비문을 지은 사람과 글씨를 쓴 사람은 정확하게 알 수 없다. 다만 일부 학자들이 최치원이 비문을 짓고, 김영(金穎)이 글씨를 썼을 것이라고 추정하기도 한다.
판독문/해석문
전체 5개
해석문 | 정병삼 | ||
판독문 | 허흥식 | ||
판독문 | 추만호 | ||
판독문 | 朝鮮金石總覽 | ||
판독문 | 정병삼 |
참고문헌
전체 9개 / 페이지 ( 1 / 1 )
단행본 | 2002 | 『한국고대금석문종합색인』 |
논문 | 1998 | 崔英成, 1998, 「崔致遠 思想 形成의 歷程에 대한 考察」『東洋古典硏究』10, 東洋古典學會 |
단행본 | 1995 | 國史編纂委員會, 1995, 『韓國古代金石文資料集』Ⅲ, 國史編纂委員會 |
단행본 | 1992 | 韓國古代社會硏究所 編, 1992, 『譯註 韓國古代金石文』Ⅲ, 駕洛國史蹟開發硏究院 |
논문 | 1991 | 秋萬鎬, 1991, 「深原寺 秀徹和尙 楞伽寶月塔碑의 금석학적 분석」『역사민속학』1, 한국역사민속학회 |
단행본 | 1983 | 趙東元. 1983, 『韓國金石文大系』3, 원광대학교 출판부 |
단행본 | 1935 | 葛城末治, 1935,『朝鮮金石攷』 |
단행본 | 1930 | 忽滑谷快天, 1930, 『朝鮮禪敎史』 |
단행본 | 1919 | 中樞院編, 1919, 『朝鮮金石總覽』上 |
만족도조사
유용한 정보가 되셨나요?
- 담당부서 : 미술문화유산연구실
- 문의 : 042-860-919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