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왕릉 종합학술조사보고서(Ⅸ)
- 보고서유형분류
- 조사연구보고서
- 발행년도
- 2015 년
- 형태사항
- 538쪽/27cm
- 저작권자
- 국립문화유산연구원
초록
만족도조사
유용한 정보가 되셨나요?
초록
『조선왕릉 종합학술조사보고서』제9권은 2009년 처음 발간된『조선왕릉 종합학술조사보고서(Ⅰ~Ⅺ)』의 마지막 결과물이다. 여기에는 조선 제24대왕 헌종(憲宗)의 경릉(景陵)부터 제25대왕 철종(哲宗)의 예릉(睿陵), 제26대 고종(高宗)의 홍릉(洪陵), 제27대왕 순종(純宗)의 유릉(裕陵)에 이르기까지 4기에 대한 조사연구 내용을 실었다. 19세기 중반...
『조선왕릉 종합학술조사보고서』제9권은 2009년 처음 발간된『조선왕릉 종합학술조사보고서(Ⅰ~Ⅺ)』의 마지막 결과물이다. 여기에는 조선 제24대왕 헌종(憲宗)의 경릉(景陵)부터 제25대왕 철종(哲宗)의 예릉(睿陵), 제26대 고종(高宗)의 홍릉(洪陵), 제27대왕 순종(純宗)의 유릉(裕陵)에 이르기까지 4기에 대한 조사연구 내용을 실었다. 19세기 중반~대한제국기는 조선왕릉 역사에 있어 가장 큰 전환점을 이룬 시기이다. 경릉과 예릉이 전통적인 규범과 제도에 의해 만들어졌다면, 홍릉과 유릉에는 중국 황릉(皇陵) 제도를 도입하여 이전에 볼 수 없었던 배치와 석물이 등장하였다. 그러나 중국 황릉 형식을 그대로 따르지 않고 왕릉과 황릉제도를 융합한 독자적 형식을 이루었다는 사실이 주목할 만하다. 보고서에 수록된 왕릉은 조선에서 근대로 시대적 전환기에 조성되었다는 점에서 역사․미술사적으로도 가치가 있을 뿐 아니라 공백기나 다름이 없는 20세기 초 조각사를 정립하는데 매우 중요한 자료가 된다. 의궤(儀軌)와 근대시기 각종 기록사진과 신문자료를 활용하여 개별 능의 조성과정, 조형적 특징과 왕릉역사에 있어 위상을 살펴보았다. 동 보고서는 조선왕릉에 대한 이해와 석물조각에 대한 가치를 새롭게 발견하는데 도움이 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