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륵사지출토토기명(彌勒寺址出土土器銘)
- 시대
- 통일신라
- 연대
- 858년(헌안왕 2)
- 유형
- 와명·전명
- 크기
- 길이 28.5cm
- 소재지
- 전북특별자치도 익산시 금마면 기양리 104-1 국립익산박물관
- 서체
- 해서(楷書)
- 찬자 /각자 /서자
- 미상 / 미상 / 미상
- 지정사항
- 비지정유산
- 연구정보
개관
30여 점의 명문토기편이 동원(東院) 북회랑지(北回廊址) 북동측(北東側) 배수로 내부와 동원(東院) 승방지에서 집중적으로 수습되었는데 명문 내용에 따라 연호가 표기되어 연대를 알 수 있는 것, 사명(寺名)으로 미륵사(彌勒寺)나 미력사(彌力寺)가 표기된 것, 정확한 의미 파악은 불가능하나 판독은 가능한 것, 판독이 불가능한 것 등 4가지로 나뉜다.대표적인 토기명가. 대중십이년미력사명(大中十二年彌力寺銘) 토기편신라 헌안왕 2년(858)에 비정되며 출토된 절대 연대가 있는 명문 중 가장 빠르다.나. 방명(方銘) 토기편동원 북회랑지 북동측 배수로 내부에서 출토되었으며 평평한 완형(盌形) 토기편 바닥에 ‘방(方)’자가 음각되어 있다.다. (존)나(부)명((存)那(部)銘) 토기편방(方)명 토기편과 동일지역에서 출토되었다. 기복부 일부가 남아 있는 토기편에 위에서 아래로 가늘게 음각되었다.
관련 금석문
판독문/해석문
전체 2개
해석문 | 김영심 | ||
판독문 | 김영심 |
참고문헌
전체 7개 / 페이지 ( 1 / 1 )
단행본 | 2002 | 『한국고대금석문종합색인』 |
단행본 | 1996 | 國立扶餘文化財硏究所, 1996, 『彌勒寺』遺蹟發掘調査報告書Ⅱ |
단행본 | 1995 | 國史編纂委員會, 1995, 『韓國古代金石文資料集』Ⅰ, 國史編纂委員會 |
단행본 | 1992 | 韓國古代社會硏究所 編, 1992, 『譯註 韓國古代金石文』Ⅰ, 駕洛國史蹟開發硏究院 |
논문 | 1991 | 張慶浩, 1991, 「百濟 彌勒寺址 發掘調査와 그 成果」『불교미술』10, 동국대학교 박물관 |
논문 | 1990 | 趙由典, 1990, 「益山 彌勒寺에 관한 硏究」『백제논총』2, 백제문화개발연구원 |
단행본 | 1989 | 文化財管理局 文化財硏究所, 1989, 『彌勒寺』遺蹟發掘調査報告書 Ⅰ |
만족도조사
유용한 정보가 되셨나요?
- 담당부서 : 미술문화유산연구실
- 문의 : 042-860-919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