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삼랑사비편(傳三郞寺碑片)
- 시대
- 통일신라
- 연대
- 미상
- 유형
- 비문
- 크기
- 비석조각 높이 7.0 너비 6.7 자경(字徑) 2.9
- 소재지
- 경기도 용인시 수지구 죽전동 126 단국대학교석주선기념박물관
- 서체
- 해서(楷書)
- 찬자 /각자 /서자
- 미상 / 미상 / 미상
- 지정사항
- 비지정유산
- 연구정보
개관
담록색(淡綠色)의 작은 비편(碑片)으로서, 정간(井間)을 치고 그 안에 해서체(楷書體)의 글씨를 새겼다. 자경(字徑)은 2.9cm이다. 최남주(崔南柱)씨가 입수하여 현재 단국대학교(檀國大學校) 박물관에 소장되어 있다.『삼국유사(三國遺事)』 권5 경흥우성조(憬興遇聖條)에 의하면 석현본(釋玄本)이 지은 ‘삼랑사비(三郞寺碑)’가 있었다고 하는데, 이 비편이 그것의 일부인지는 알 수 없다.
판독문/해석문
전체 4개
해석문 | 남동신 | ||
판독문 | 남동신 | ||
판독문 | 허흥식 | ||
판독문 | 황수영 |
참고문헌
전체 8개 / 페이지 ( 1 / 1 )
논문 | 2003 | 곽승훈, 2003, 「문헌에 실린 신라 불교 금석문 연구」『실학사상연구』25 |
단행본 | 2002 | 『한국고대금석문종합색인』 |
단행본 | 1995 | 國史編纂委員會, 1995, 『韓國古代金石文資料集』Ⅲ, 國史編纂委員會 |
단행본 | 1992 | 韓國古代社會硏究所 編, 1992, 『譯註 韓國古代金石文』Ⅲ, 駕洛國史蹟開發硏究院 |
논문 | 1991 | 韓泰植, 1991, 「憬興의 生涯에 관한 再考察」『佛敎學報』28, 동국대학교 불교문화연구소 |
단행본 | 1984 | 許興植, 1984, 『韓國金石全文』古代篇, 亞細亞文化社 |
단행본 | 1976 | 黃壽永, 1976, 『韓國金石遺文』, 一志社 ; 1994, 復刊 ; 1999, 『金石遺文 黃壽永全集4』, 혜안 |
단행본 | 1968 | 李蘭暎 編 李丙燾 監修, 1968, 『韓國金石文追補』, 中央大出版部 ; 1976, 亞細亞文化社 |
만족도조사
유용한 정보가 되셨나요?
- 담당부서 : 미술문화유산연구실
- 문의 : 042-860-919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