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립문화유산연구원이(가) 개방한
박전지처최씨묘지(朴全之妻崔氏墓誌)
저작물은
공공누리 제 1유형
"출처표시"
조건에 따라 이용할수 있습니다.
개관
이 묘지명은『죽산박씨파보(竹山朴氏派譜)』(宣川, 1938)에 실려 있다. 이에 따르면 1788년(정조 12) 개성부(開城府) 승제문(承制門) 밖 20리 지점인 고산동(高山洞) 삼랑산(三朗山) 남쪽 기슭에서 부인인 최씨(崔氏)의 묘지명과 함께 발견되었다고 한다. 묘지명은 1325년(충숙 12) 박효수(朴孝修)가 작성하였다.묘지명 주인공인 박전지(朴全之 : 1250~1325)의 자는 반원(返圓)이다. 죽주(竹州 : 지금의 경기도 안성군 일대) 사람이다. 신라 시조 박혁거세의 후손인 삼한벽상공신(三韓壁上功臣) 박기오(朴奇悟)의 13세손이다. 아버지는 휘(輝), 어머니는 경원군대부인(慶源郡大夫人) 이씨(李氏)로 장용(藏用)의 딸이다.묘지명에 따르면 박전지는 삼분(三墳 : 중국의 3황제)과 백가서(百家書)와 음양비결(陰陽秘訣)을 꿰뚫었으며, 글을 잘 지었고 악장(樂章)이 특히 뛰어났다고 한다. 1267년(원종 8) 국자감시, 1268년(원종 9) 과거에 급제하여 관료생활을 시작하였다. 특히 충선왕 즉위때 사림원(詞林院)의 학사로 즉위개혁에 참여하였다. 원종·충렬왕·충선왕·충숙왕때 관료로서 활약하였다. 부인은 대령군부인(大寧郡夫人)이며 변한국대부인(卞韓國大夫人)으로 추증된 최씨(崔氏)로서, 염(恬)의 딸이다. 공보다 먼저 죽었으며, 1남 2녀를 낳았다. 아들은 원(瑗)이다. 장녀는 정탁(鄭倬)에게, 차녀는 이직(李稷)에게 각각 시집갔다.부인 최씨, 아들 원 및 부인 홍씨의 묘지명이 현재까지 전해지고 있어 참고가 된다.
대령군부인 최씨(大寧郡夫人 崔氏) 묘지명 및 서문
연우(延祐)1) 3년 병진년(충숙왕 3, 1316) 3월 초이틀 갑진일에 중대광 중서시랑동중서문하평장사 수문전대학사 감수국사 판이부사(重大匡 中書侍郞同中書門下平章事 修文殿大學士 監修國史 判吏部事)로 벼슬에서 물러나 은퇴한 행산거사 박전지(杏山居士 朴全之)의 처 변한국대부인 최씨(卞韓國大夫人 崔氏)가 집에서 세상을 떠났다. 그 달 10일 임자일에 집의 북당(北堂)에 빈소를 차리고, 동짓달[至月] 18일 기미일에 서울 서남쪽 20여 리 되는 삼랑산(三郞山)의 언덕에 장례지내면서, 행산(杏山)이 묘지명을 짓는다.
부인은 성이 최씨이고, 해주 대령(海州 大寧)2) 사람이다. 아버지 염(恬)은 관직이 조의대부 위위경 동궁시독학사 지제고(朝議大夫 衛尉卿 東宮侍讀學士 知制誥)에 이르렀고, 조부 춘명(椿命)은 은청광록대부 지추밀원사 좌산기상시 태자빈객(銀靑光祿大夫 知樞密院事 左散騎常侍 太子賓客)이며, 증조 혁(奕)은 통의대부 판예빈성 지어사대사(通議大夫 判禮賓省 知御史臺事)인데, 부인은 중서령(中書令) 문헌공(文憲公) 충(?)의 10세손이다. 어머니는 당성군부인 홍씨(唐城郡夫人 洪氏)로, 은청광록대부 지추밀원사 형부상서 한림학사승지(銀靑光祿大夫 知樞密院事 刑部尙書 翰林學士承旨) 홍진(洪縉)의 딸이며, 평장사(平章事) 홍관(洪瓘)의 7세손이다.
부인은 14세에 행산에게 시집와 시부모를 섬기면서 효성스럽게 공경하였고, 행산을 섬기면서 온순하게 순종하였다. 성품이 총명하고 지혜로웠으며 삼가고 신중하였다. 매번 행산이 손님을 접대하면서 대화가 세상일에 미치면 조용히 듣고 있다가, 손님이 간 뒤 경계하여 말하기를 “글을 논하고 옛일을 이야기할 것이지, 하필이면 세상의 일을 말하십니까. 그대에게 누(累)가 미칠까 염려됩니다.”라고 하였으니, 그 삼가고 신중함이 이와 같았다. 행산이 책을 읽으면 옆에 앉아서 들었는데 물어보면 번번이 능히 기억하였으니, 그 총명하고 지혜로움이 이와 같았다.
행산에게 시집와서 2녀 1남을 낳았다. 장녀는 은청광록대부 검교참지정사(銀靑光祿大夫 檢校?知政事) 정탁(鄭倬)에게 시집갔는데, 벽상삼한 삼중대광 문하시중 수문전대학사 감수국사 판이부 한림원사(壁上三韓 三重大匡 門下侍中 修文殿大學士監修國史 判吏部 翰林院事) 가신(可臣)의 아들로, 1남 2녀를 낳아 귀한 집안[華族]에 시집보냈다. 둘째 딸은 개성부기실 참군사(開城府記室 ?軍事) 이직(李稷)에게 시집가서 5녀 1남을 낳았는데, 이직은 곧 정의대부 형부상서 보문각학사(正議大夫 刑部尙書 寶文閣學士) 행검(行儉)의 아들이다. 아들 원(瑗)은 통직랑 국학직강(通直郞 國學直講)인데, 금자광록대부 문하시랑평장사 상장군(金紫光祿大夫 門下侍郞平章事 上將軍)으로 시호가 양순공(良順公)으로 추증된 홍경일(洪敬一)의 딸과 결혼하여 3남 2녀를 낳으니, 자손이 번성하고 가문이 두터워졌다.
행산은 망령되이 부인과 더불어 즐거움과 괴로움을 함께 하면서 장수하리라 생각하였다. 지난 해 3월 둘째 딸이 남편을 따라 영월군(寧越郡)으로 갔는데, 올해 2월 17일에 그 곳에서 병으로 죽었다. 장례를 지낸 뒤 25일에 부음을 서울로 알려오자, 부인이 이를 듣고 울기를 그치지 않으면서 넋을 놓은 지 7일만에 세상을 떠나니 곧 3월 초이틀이다. 이 때 임금이 원(元)의 천자를 만나러 갔으므로 아들 원(瑗)이 호종하여 그 곳에 있었는데, 그 달 23일에 부고가 원에게 전해졌다. 임금은 이를 듣고 애도하여 변한국대부인(卞韓國大夫人)으로 추증하고 쌀 50석(碩)을 부의로 내려주면서, 원에게 “그대가 불행히 상을 입었으니 귀국하시오. 돌아가거든 그대의 아버지를 잘 위로하고 효도하여, 슬픔이 지나치지 않게 하여 장례를 치르도록 하시오.”라고 하였다. 이에 행산을 봉하여 중대광 연흥군(重大匡 延興君)으로 삼아서 그 행차에 은총을 더하여 주면서, “100일이 지나면 속히 돌아와 충과 효를 온전하게 다 하시오.”라고 훈계하였다. 원이 돌아오자, 최씨의 수봉(受封)과 행산의 석토(?土)가 모두 임금의 배려에서 나온 것이니, 당시 사람들이 영예롭게 여겼다. 장례를 치르면서 행산이 눈물을 뿌리면서 명(銘)을 지어 이른다.
총명한 지혜는 남보다 뛰어났고 온순한 언행에는 법도가 있었으며
아녀자의 일을 잘 하였고 또 지어미의 덕도 두터웠도다.
시부모를 효성으로 섬기고 형제들과는 화목하니
가정은 화락하고 부부는 화합하였다.
자녀 세 명을 두어서 막내딸을 가장 아꼈는데
딸이 세상을 떠나니 어머니도 그 뒤를 따라 가네.
이에 길일을 골라 이 곳 아름다운 언덕에 장례지내나
행산의 아픈 마음을 어찌 다 말로 할 수 있으리오.
아, 슬프다.
〔출전:『역주 고려묘지명집성(상)』(20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