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성계발원 은제도금사리소탑(李成桂發願 銀製鍍金舍利小塔)
- 시대
- 고려
- 연대
- 1391년(공양왕 3)
- 유형
- 탑명·등명
- 크기
- 높이 15.5cm, 글자크기 0.7cm
- 소재지
- 서울특별시 용산구 용산동6가 168-6 국립중앙박물관
- 서체
- 해서(楷書)
- 찬자 /각자 /서자
- 미상 / 미상 / 미상
- 지정사항
- 비지정유산
- 연구정보
개관
조선왕조의 개국 직전 이성계를 중심으로 1만여 명이 발원하여 제작된 사리구(舍利具)로서 1932년 강원도 금강산 월출봉 석함(石函) 안에서 발견되었다. 탑 모양의 사리기로 전면이 은으로 도금(鍍金)되어 있다. 이것 외에도 이 때 사리의 외함(外函)으로 사용된 백자대발(白子大鉢) 4개와 사리기를 안치한 은제팔각원당형감(銀製八角圓堂形龕), 백자향로(白磁香爐), 등이 함께 발견되었다. 이 탑형 사리기는 위가 넓고 밑이 줄어든 이른바 원나라 라마탑 형식을 보여주고 있다. 중심에 유리를 사용한 은제원통형 사리용기가 있는데, 이것을 감싸기 위해 만든 은제팔각원통(銀製八角圓筒) 주변에 명문이 새겨져 있다. 이곳이 가장 중요한 사리를 모신 곳이라는 것을 상징하는 듯 다른 사람들은 배제하고, 오직 이성계와 그 부인 강씨(姜氏)의 이름만이 음각(陰刻)된 시주발원기(施主發願記)가 있다. 함께 동반된 백자완(白子垸)에 “洪武二十四年辛未二月日“(1391)이라고 음각되어 있어, 이성계가 임금으로 즉위하기 1년 전의 것임을 알 수 있다.
판독문/해석문
전체 3개
판독문 | 허흥식(연구팀수정) | ||
판독문 | 허흥식 | ||
해석문 | 오영선 |
참고문헌
전체 6개 / 페이지 ( 1 / 1 )
단행본 | 1999 | 黃壽永, 1999, 『黃壽永全集 4(금석유문)』, 혜안 |
단행본 | 1997 | 李浩官, 1997, 『韓國의 金屬工藝』, 문예출판사 |
단행본 | 1991 | 국립중앙박물관, 1991, 『佛舍利莊嚴』 |
논문 | 1988 | 秦弘燮, 1988, 「高麗時代의 舍利莊嚴具」『考古美術』180 |
단행본 | 1984 | 許興植, 1984, 『韓國金石全文』中世下, 亞細亞文化社 |
단행본 | 1968 | 李蘭暎 編 李丙燾 監修, 1968, 『韓國金石文追補』, 中央大出版部 ; 1976, 亞細亞文化社 |
만족도조사
유용한 정보가 되셨나요?
- 담당부서 : 미술문화유산연구실
- 문의 : 042-860-919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