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흥군(驪興郡) 신륵사(神勒寺)
1 대장각기(大藏閣記)
이숭인(李崇仁)
2 지음
삼중대광(三重大匡) 판삼사사(判三司事) 한산(韓山) 목은(牧隱)
3선생이 저 이숭인(李崇仁)에게 명하여 말하기를, “예전 지대(至大) 경술년(충선왕 2, 1310) 7월 초 3일에 나의 조부 정읍부군(井邑府君)
4이 병으로 돌아가셨다. 선군(先君) 문효공(文孝公) 가정(稼亭)
5께서 당시 13세였으나 장례를 잘 치르셨다. 지정(至正) 경인년(충정왕 2, 1350) 10월 2일에 조모께서 병으로 돌아가셨다. 선군께서 예(禮)를 다하여 장사하고 그간에 승려를 청하여 향저가 있는 절에서 불경(佛經)을 독송하도록 하였다. 선군께서 항상 탄식하기를, ‘나는 이제부터 어디를 믿고 의지할 것인가’ 하셨는데, 좌원(座元) 남산(南山) 총공(聰公)
6이 선군에게 말하기를, ‘공이 지금 진실로 우리 불법으로써 선고(先考, 돌아가신 아버지)와 선비(先妣, 돌아가신 어머니)의 명복을 빌고자 한다면, 어찌 1부의 교장(敎藏)을 이루려하지 않으십니까. 우리 불법의 모든 것이 여기에 있습니다’ 하였다. 선군께서 즉시 부처의 초상(肖像)을 향하여 기원을 세웠다.
다음해 신묘년(1351) 정월 초하룻날 선군께서 불행하게도 상복을 입은 가운데서 돌아가셨다. 내가 중국에서 돌아와 상례를 치르면서 총공을 청하여 불경을 독송하도록 하였다. 선군께서 세우신 서원(誓願)에 대해 말했으나, 내가 상중에 있으므로 그 일을 생각할 겨를이 없었다. 상을 다 치른 후에 다행히 세과(世科 : 조상의 은덕으로 얻는 벼슬)에 들어 이름이 관원의 명단에 오르게 되었다. 오직 직무에 충실하지 못할까 염려하여 또 선군께서 세운 불사를 돌아볼 겨를이 없었다. 총공이 여러번 편지를 보내어 말하기를, ‘선대인의 서원을 어찌 어길 수 있습니까’ 하였으나, 일찍이 답장은 하지 않고 스스로 상심해 할 뿐이었다. 홍무(洪武) 신해년(공민왕 20, 1371) 가을 9월 26일에 어머님 김씨(金氏)께서 또 병으로 돌아가셨다. 상기(喪期)가 겨우 끝났을 때 내가 병이 나서 일어날 수가 없었다.
갑인년(공민왕 23, 1374) 가을 9월 23일에 공민왕(恭愍王)
7께서 모든 신하들을 버리고 승하하셨다. 내가 삼가 생각하니 우리 선군께서 공민왕께서 아직 왕위에 오르시기 전부터의 옛 신하로서 오랜 세월을 섬겼으며, 나 또한 공민왕 초년에 과거에 장원급제하여 드디어 재상의 지위에 올랐으니 우리 부자가 입은 은택은 지극히 컸지만 일찍이 터럭만한 작은 보답도 하지 못하였다. 그런데 갑자기 승하하셨으니 어찌 슬픔을 이길 수 있겠는가.
기미년(우왕 5, 1379)에 총공(聰公)이 마침 산중에서 내려와서 나에게 말하기를, ‘이제 제 나이가 벌써 74세가 되었습니다. 다행히 죽지 않고 공과 더불어 서로 만나보게 되었으니 어찌 우연한 일이겠습니까. 제가 전에 말씀드렸던 선대인의 서원을 공은 기억하십니까’ 하니, 내가 더욱 마음으로 아파하여 말하기를, ‘위로는 돌아가신 왕의 명복을 빌고, 아래로는 돌아가신 아버님의 뜻을 계승하는 일이 여기에 있지 않겠는가. 여기에 있지 않겠는가’ 하였다. 그때 내 병이 나았고, 왕명을 받들어 나옹(懶翁)선사
8의 탑명(塔銘)을 지은 지가 얼마 되지 않았다. 스스로 계획하여 보니 내 힘으로는 부족하였다. 힘입어서 이 일을 성취할 수 있는 것은 오직 나옹 선사의 제자들이 있을 뿐이어서 즉시 편지를 보내 사실을 말하였다. 무급(無及)과 수봉(琇峯)이라는 호를 가진 두 승려가 제자들을 거느리고 와서 격려하였다.
경신년(우왕 6, 1380) 2월부터 각참(覺旵)은 순흥(順興)에서, 각잠(覺岑)은 안동에서, 각홍(覺洪)은 영해(寧海)에서, 도혜(道惠)는 청주(淸州)에서, 해주(海珠)는 충주(忠州)에서, 각운(覺雲)은 평양에서, 범웅(梵雄)은 봉주(鳳州, 황해도 鳳山)에서, 지보(志寶)는 아주(牙州, 충남 牙山)에서 인연을 맺을 사람들을 모았다. 닥나무가 변하여 종이가 되고 검댕이를 녹여 먹을 만들었다. 신유년(우왕 7, 1381) 4월에 이르러 경률론(經律論) 삼장(三藏)을 인쇄하여, 9월에 표지를 꾸미고, 10월에 각주(覺珠)가 제목을 쓰고 각봉(覺峯)이 책가위를 만들었으며, 11월에 성공(性空)이 책함(冊函)을 만들었다. 아침저녁으로 몇 되, 몇 말의 곡식을 얻어다가 여러 화주(化主)들에게 공양하는 일을 처음부터 끝까지 게을리 하지 않은 사람은 국신리(國贐里)에 사는 노인 묘안(妙安)이었다. 임술년(1382, 우왕 8년) 정월에 화엄종 영통사(靈通寺, 개경에 있던 화엄종 중심 사찰)에서 교열하고, 4월에 배에 싣고 여흥군(驪興郡, 경기도 驪州) 신륵사(神勒寺)에 이르니 나옹 선사가 입적한 곳이다. 화산군(花山君) 권희(權僖)
9 공이 돌아가신 부모와 부인 한씨(韓氏)의 돌아가신 부모를 위해 이미 금배(金盃)를 시주하고 제목을 주관하여 다시 여러 단월들과 더불어 시주하고, 동암(同庵) 순공(順公)이 공사를 감독하여 드디어 절의 남쪽에 2층 전각을 세우고 단청을 장식하여 마쳤다.
해마다 헤아려서 5월에 경전을 열고, 9월에 경전을 열고, 올해 계해년(우왕 9, 1383) 정월에 또 경전을 열어, 해마다 세 차례씩 경전을 여는 것을 규정으로 하였다.
가운데 화산(火山)에 비로자나(毗廬遮那) 불상 한 구와, 당성군(唐城君) 홍의룡(洪義龍) 공이 돌아간 부모를 위해 조성한 보현보살상(普賢菩薩像) 한 구와, 순성옹주(順誠翁主)와 강부인(姜夫人)이 조성한 문수보살상(文殊菩薩像) 한 구를 봉안하여, 사부대중이 우러러보고 예배하는 존경심을 일으키게 하였다.
아, 30여년의 오랜 세월을 지난 뒤에 선군의 서원이 비로소 이루어졌으니 어찌 스스로 경축하지 않겠는가. 더구나 그 큰 공을 미루어 영원히 왕의 장수와 나라의 복을 빌며 중생을 이롭게 하고 만물을 제도함에 있어서랴! 여러 승려들이 비석을 세워 장래에 보이려 하니 “그대가 나를 대신하여 글을 쓰라” 하였다. 저 이숭인이 감히 사양하지 못하고 곧 글을 써서 말하기를, “부처의 도(道)가 청정(淸淨)하고 고묘(高妙)하여 한 점의 티끌도 묻지 않고 만물에 초연하게 뛰어났으므로, 현자(賢者)와 지자(智者)들은 본래부터 좋아하였다. 불교의 말에 또 소위 복전이익(福田利益)
10이라는 것이 있어, 충신이나 효자로서 왕이나 어버이의 지극한 은혜를 갚으려는 자라면 그 극진한 방법을 쓰지 않는 자가 없기 때문에 불법에 귀의(歸依)하지 않을 수 없다. 그러니 불서(佛書)가 세상에 크게 전파되는 것은 당연하다. 가정 선생께서 이미 일으키고 목은 선생께서 계승하여 마침내 이 법보(法寶)를 이루어 왕과 어버이에게 복을 받드니, 이것이 곧 충신과 효자가 왕과 어버이를 위하여 극진한 방법을 쓰지 않음이 없다는 것인가. 아, 누가 신하가 아닐 것이며, 누가 아들이 아니겠는가. 지금으로부터 천만세에 이르기까지, 그 하늘같은 분에 대해 감사한 마음을 내려는 자는 반드시 여기에서 얻을 수 있음을 의심하지 아니하니, 내가 감히 즐겁게 글을 쓰지 아니하겠는가. 저 사부대중 중에서 재물을 내어 조력한 자는 그 이름을 비석의 뒷면에 나열해 둔다” 하였다.
홍무(洪武)■■■■■■ 봉익대부(奉翊大夫) 판도판서(版圖判書) 예문관(藝文■■■■■■敎) 이숭인(李崇仁) 삼가 지음
전봉익대부(前奉翊大夫) 판전교시사(判典校寺事) 진현관 제학(進賢館提學) 권주(權鑄) 씀
이해 가을 9월 일
고려국 여흥군 신륵사 대장(大藏) 단월(檀越, 절에 시주하는 사람) 사부대중(四部大衆)
11
비구(比丘)
국사(國師)
왕사(王師)
내원당(內願堂) 각운(覺雲), 판천태종사(判天台■■) ■■■■■■■■ 〇승(■昇), 도승통(都僧統) 혜징(惠澄), 도승통 종림(宗林),
봉복군 신조대선사(奉福君神照大禪師) 소원(紹元), 대선사(大禪師) 상총(尙聰), 대선사 ■■, 청계사(淸溪寺) 자초(自超), 청계사 조선(祖禪),
선사(禪師) 굉여(宏如), 부석사(浮石寺) 경남(敬南), 원흥사(圓興寺) 희장(禧藏), 선사 계능(戒能),
달성(達誠), 선〇(善■), ■■ ■■ ■■ 〇련(■連), 각연(覺然), 징원(澄原), 명해(明海), 일행(一行), 각뢰(覺雷), 천행(天行), 혜징(惠澄), 덕소(德紹), 해봉(海峯).
비구니(比丘尼)
묘해(妙海), 묘추(妙樞), 묘오(妙悟), 묘기(妙祺), 묘경(妙卿), 묘봉(妙峯), 묘지(妙智), 묘근(妙根), 묘청(妙淸), 묘〇(妙■), ■■ ■■ 지환(智幻), 묘안(妙安), 묘정(妙靜), 묘경(妙經), 묘과(妙果), 묘진(妙珍), 묘성(妙成), 묘운(妙云), 묘선(妙善), 묘경(妙璟), 묘신(妙信), 묘영(妙盈), 계완(戒完), 묘전(妙瑔), 묘행(妙行), 묘녕(妙寧).
우바새(優婆塞)
영창부원군(永昌府院君) 유(瑜), 정창군(定昌君) 요(瑤),
칠원부원군(漆原府院君) 윤환(尹桓), 영삼사(領三司) ■■■, 영문하(領門下) 최영(崔瑩), 남양부원군(南陽府院君) 홍영통(洪永通), 문하시중(門下侍中) 조민수(曹敏脩), 수시중(守侍中) 이자송(李子松), 수시중(守侍中) 임견미(林堅味), 철성부원군(鐵城府院君) 이림(李琳), 판삼사(判三司) 이성계(李成■) 찬성사(贊■■) ■■■, 찬성사(■成事) 이성림(李成林), 예안군(禮安君) 우제(禹磾), 찬성사(贊成事) 우인열(禹仁烈), 우사(右使) 김속명(金續命), 좌사(左使) 염흥방(廉興邦), 찬성사(贊成事) 권중화(權仲和), 찬성사(贊成事) 우현보(禹玄寶), 찬성사상의(贊成事商議) 김실(金實), 평리(評理) 도길부(都吉敷), 평리(評理) 한천(韓蕆), 평리(評理) 한임〇(韓林■), 평리(評理) 문달한(文達漢), 〇〇군(■■君) 〇중례(■仲禮), ■■■■■■ 판후덕부(判厚德府) 한수(韓脩), 흥녕군(興寧君) 안종원(安宗源), 계림군(鷄林君) 이보림(李寶林), 청원군(淸原君) 정공권(鄭公權), 판덕창부(判德昌府) 정희계(鄭熈啓), 한양군(漢陽君) 장〇(張■), 지문하(知門下) 최무선(崔茂宣), 임하군(臨河君) 염지범(廉之範), 당성군(唐城君) 홍의룡(洪義龍), 판밀직(判密直) 〇서(■筮), 진천군(晋川君) 유혜〇(柳惠■), 상락군(上洛君) 김후오(金厚鰲), ■■■■■ 상락군(上洛君) 김진(金鎭), 밀산군(密山君) 박〇〇(朴■■), 동지밀직(■■密直) 유구(柳玽), 동지밀직(同知密直) 이종덕(李種德), 밀직(密直) 안집(安輯), 동지밀직(同知密直) 권계용(權季容), 밀직(密直) 김천리(金天理), 밀직(密直) 오육화(吳六和), ■■■■■■■■■■■■ 구홍(具鴻), 판서(判書) 〇원부(■元富), 원주목사(原州牧使) 설연수(偰延壽), 지신사(知申事) 염정〇(廉廷■), ■■■■■■■■■ 민근(閔瑾), 검교평리(檢校評理) 강인부(姜仁富), 판서(判書) 박동생(朴東生::TEXT), 판서(判書) 김경(金敬), 판사(判事) 이사의(李思義), 판사(判事) 이자수(李子修), 목사(牧使) 김중광(金仲光), 목사(牧使) 백진(白瑨), ■■■■■■■■■■■ 〇위(■渭), 봉익판사(奉翊判事) 유호(柳瑚), 상호군(上護軍) 이무(李茂), 판사(判事) 임헌(任獻), 판사(判事) 오세〇(吳世■), ■■■■■, 판사(判事) 탁여경(卓餘慶), 개성윤(開城尹) 안익(安翊), 판사(判事) 한안해(韓安海), 판사(判事) 민인덕(閔仁德), 간의(諫議) 권근(權近), 대호군(大護軍) 이빈(李彬), 종부령(宗簿令) 노전(盧琠), 종부령(宗簿令) 이정한(李廷韓), 전객령(典客令) 전〇〇(全■■), 〇〇〇(■■■), 민중리(閔中理), 선공령(繕工令) 우하(禹夏), 좌윤(左尹) 우홍수(禹洪壽), 우윤(右尹) 정천우(鄭天祐), 총〇(摠■) ■■■, ■■ 박인량(朴仁亮), 부령(副令) 이천령(李天齡), 부령(副令) 이종학(李種學), 부령(副令) 이덕시(李德時), 부정(副正) 양원직(楊元直), 부정(副正) 한을종(韓乙宗), 호군(護軍) 임언충(任彦忠), 좌랑(佐郎) 우홍〇(禹洪■), 부사(副使) 우홍강(禹洪康), 〇랑(■郞) 우홍〇(禹洪■), 숭경(崇敬) 윤안익(尹安翊), 헌납(獻納) 엄진(嚴進), 헌납(獻納) 정총(鄭摠), 중랑장(中郎將) 김법〇(金法■), ■■■ 〇〇명(■■命), 규정(糾正) 조근(趙瑾), 낭장(郎將) 이종선(李種善), 낭장(郎將) 정태수(鄭台壽), 총랑(摠郎) 강자화(姜自和), 별장(別將) 서면(徐免), 주부(注簿) 우홍명(禹洪命), 생원(生員) 권원(權遠), 생원(生員) 사공민(司空敏), ■■ 이맹〇(李孟■), 별장(別將) 조연성(趙連城), 별장(別將) 최원기(崔元奇), 산원(散員) 김인석(金仁石), 산원(散員) 김거타(金琚陁), 내신〇(乃神■) ■■■■■■ 〇각자(■覺慈), 지인천(池仁蕆), 진원기(陳元奇), 조가물(趙加勿), 이장(李莊), 오룡(五龍), 이원(李元), 김귀화(金貴和), 김석(金石), 박화상(朴和尙), 소근(小斤), 오미(吾未), 이봉(李逢), 복지(卜只), 낭장(郎將) 강신(康信), 낭장(郎■) 김원(金元), 이현(李玄), 이오십근개(李五十斤介)■.
우바이(優婆夷)
왕혜비(王惠妃), 왕신비(王愼妃), 왕정비(王定妃), 왕근비(王謹妣),
삼한국대부인(三韓■■夫人) 염씨(廉氏) 묘철(妙哲), 변한국대부인(卞韓國大夫人) 홍씨(洪氏), 진한국대부인(辰韓國大夫人) 박씨(朴氏), 순성옹주(順城翁主) 왕씨(王氏), 숙녕옹주(淑寧翁主) 묘선(妙善), 〇녕옹주(■寧翁主) 염씨(廉氏) 묘령(妙聆), 정신택주(貞信宅主) 장씨(張氏), 정혜택주(貞惠宅主) 이씨(李氏), 정신택주(貞信宅主) 정씨(鄭氏), 정화택주(貞和宅主) 오씨(伍氏), 안숙택주(安淑宅主) 유씨(柳氏), 경숙택주(慶淑宅主) 권씨(權氏), 정신택주(貞信宅主) 권씨(權氏), 보령택주(保寧宅主) 강씨(康氏), 신녕택주(信寧宅主) 최씨(崔氏), 정순택주(貞順宅主) 황씨(黃氏), 경락택주(慶樂■主) 채씨(蔡氏), 정안택주(貞安宅主) 김씨(金氏), 안순택주(安順宅主) 〇씨(■氏), 강신택주(康信宅主) 김씨(金氏), 경락택주(慶樂宅主) 묘원(妙圓),
금성군부인(錦城郡夫人) 정씨(鄭氏), 영가군부인(永嘉郡夫人) 권씨(權氏), 왕씨(王氏) 약생(藥生), 풍안군부인(豊安郡夫人) 신씨(申氏), 광산군부인(光山郡夫人) 김씨(金氏), 계림군부인(雞林郡夫人) 최씨(崔氏), 계림군부인(鷄林郡夫人) 정씨(鄭氏), 연안군부인(延安郡夫人) 차씨(車氏), 영평군부인(鈴平郡夫人) 윤씨(尹氏), 연안군부인(延安郡夫人) 이씨(李氏), 개성군부인(開城郡夫人) 최씨(崔氏), 여흥군부인(驪興郡夫人) 이씨(李氏), 지국군부인(持國郡夫人) 안씨(安氏), 능성군부인(綾城郡夫人) 구씨(具氏), 금성군부인(錦城郡夫人) 김씨(金氏), 낙랑군부인(樂浪郡夫人) 김씨(金氏), 금〇군부인(金■■■■) 조씨(趙氏), 상락군부인(上洛郡夫人) 김씨(金氏), 수안군부인(遂安郡夫人) 〇씨(■氏), 아주군부인(牙州郡夫人) 강씨(康氏), 전의군부인(全義郡夫人) 이씨(李氏), 연창군부인(延昌郡夫人) 묘부(妙孚), 남양군부인(南陽郡夫人) 홍씨(洪氏), 강릉군부인(江陵郡夫人) 최씨(崔氏), 연창군부인(延昌郡夫人) 박씨(朴氏), 안산군부인(安山郡夫人) 김씨(金氏), 진양군부인(晋陽郡夫人) 유씨(柳氏), 교하군부인(■河郡夫人) 노씨(盧氏), 진주군부인(晋州郡夫人) 유씨(柳氏), 상당군부인(■黨郡夫人) 한씨(韓氏), 죽산군부인(竹山郡夫人) 최씨(崔氏), 가리군부인(迦利郡夫人) 이씨(李氏), 주계군부인(朱溪郡夫人) 윤씨(尹氏),
부인(夫人) 박씨(朴氏), 부인(夫人) 박씨(朴氏), 부인(夫人) 김씨(金氏), 부인(夫人) 김씨(金氏), 약비씨(藥婢氏), 개련씨(開蓮氏), 무기씨(無其氏), 약비씨(藥婢氏), 〇〇〇(■■■), 나씨(羅氏), 민씨(閔氏), 장미(薔薇), 내은덕(內隱德), 사가이(四加伊), 〇〇(■■), 정순택주(貞順宅主) 유씨(柳氏).
화사(化士) 등
무급(無及), 수봉(琇峯), 각주(覺珠), 해당(海堂), 각잠(覺岑), 성공(性空), 각운(覺云), 석환(釋幻), 해주(海珠), 각참(覺旵), 지분(志分), 지현(志玄), 범웅(梵雄), 도혜(道惠), 도명(道明), 일정(一正), 천일(天一), 지보(志寶), 지옥(志玉), 지종(志宗), 달종(達宗), 각〇(覺■), 소재(消灾), 해안(海眼), 해철(海澈), 해인(海印), 〇선(■先), 각미(覺眉), 별장(別將) 주여보(朱伃寶).
해마다 대장경 전경회(轉經會, 경전을 독송하는 법회)를 주관하는 이들은 이름 새길 자리가 없어 다른 돌에 새겨 세운다. 이 사실이 후세에 영원히 전하여, 돌은 다 닳아질지라도 이 서원은 다하지 않기를.
임술년 정월, 여러 단월들.
오월, 시주 석 〇성(■成).
구월, 화산군(華山君) 권희(權僖).
계해년 정월, 전〇(前■) 왕경원(王景元).
오월, 승려 각경(覺冏).
구월, 승려 각연(覺然), 지〇(志■).
갑자년 정월, 승려 각보(覺普).
오월, 승려 해운((海雲), 혜란(惠蘭).
구월.
을축년 정월, 오월, 구월, 병인년 정월, 오월, 구월, 정묘년 정월, 오월, 구월,
무신년 정월, 오월, 구월, 기사년 정월, 오월, 구월, 경오년 정월, 오월, 구월,
신미년 정월, 오월, 구월, 임신년 정월, 오월, 구월, 계유년 정월, 오월, 구월,
갑술년 정월, 오월, 구월, 을해년 정월, 오월, 구월, 병자년 정월, 오월, 구월,
정축년 정월, 오월, 구월, 무인년 정월, 오월, 구월, 기묘년 정월, 오월, 구월,
경신년 정월, 오월, 구월, 신사년 정월, 오월, 구월, 임오년 정월, 오월, 구월,
계미년 정월, 오월, 구월, 갑신년 정월, 오월, 구월, 을유년 정월, 오월, 구월,
병술년 정월, 오월, 구월, 정해년 정월, 오월, 구월, 무자년 정월, 오월, 구월,
기축년 정월, 오월, 구월, 경인년 정월, 오월, 구월, 신묘년 정월, 오월, 구월,
임신년 정월, 오월, 구월, 계사년 정월, 오월, 구월, 갑오년 정월, 오월, 구월,
을미년 정월, 오월, 구월, 병중년 정월, 오월, 구월, 정유년 정월, 오월, 구월,
무술년 정월, 오월, 구월, 기해년 정월, 오월, 구월, 경자년 정월, 오월, 구월,
신축년 정월, 오월, 구월, 임인년 정월, 오월, 구월, 계묘년 정월, 오월, 구월,
갑신년 정월, 오월, 구월, 을사년 정월, 오월, 구월, 병오년 정월, 오월, 구월,
정미년 정월, 오월, 구월, 무신년 정월, 오월, 구월, 기유년 정월, 오월, 구월,
경술년 정월, 오월, 구월, 신해년 정월, 오월, 구월, 임자년 정월, 오월, 구월,
계축년 정월, 오월, 구월, 갑인년 정월, 오월, 구월, 을묘년 정월, 오월, 구월,
병신년 정월, 오월, 구월, 정사년 정월, 오월, 구월, 무오년 정월, 오월, 구월,
기미년 정월, 오월, 구월, 경신년 정월, 오월, 구월, 신유년 정월, 오월, 구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