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이 묘지명은 원석이 서울 국립중앙박물관에 남아 있고, 최해의 문집인 『졸고천백』 2에 ‘故 政堂文學 李公 墓誌’라는 제목으로 수록되어 있다. 원석의 명문과 문집의 글이 거의 비슷한데, 원석을 위주로 번역하되 차이가 나는 부분은 각주로 밝혀 둔다.)
원 고려국(大元 高麗國)의 돌아가신 광정대부 정당문학 예문관대제학 지춘추관사 상호군(故 匡靖大夫 政堂文學 藝文館大提學 知春秋館事 上護軍) 이공(李公) 묘지
1
칙수 장사랑 전 요양로 개주판관(勅授 將仕郞 前 遼陽路 盖州判官) 계림 최해(雞林 崔瀣) 지음
2
사람은 음(陰)과 양(陽)을 바탕으로 하여 태어나는 것이니, 태어남은 기운이 모여서 되는 것이요, (그 기운이) 흩어지면 즉 죽는 것이다. 그 사이에서 빈궁하게 되거나 현달하는 일, 얻거나 잃는 일, 길거나 짧은 일, 더디거나 빠르게 되는 일이 또한 각각 그 바탕에서 말미암는 것이므로, 괴이하게 여길 일이 없다. (그러나) 만약에 그러한 줄만 알고 갈고 닦지 않는다면 마침내는 초목과 함께 썩고 말아 알려지지 않게 될 것이니, 이는 또 이른바 하늘과 땅[二儀] 사이에 참여하고 만물 중에 신묘한 존재가 아닌 것이다.
옛날에 죽었어도 죽지 않는 것은, 덕이 아니면 공(功)이 큰 산처럼 고요하고 움직이지 않는 것과 같다. 사람들은 조그맣게 일어나는 것은 알고 있는 바, 그 은덕이 사해(四海)에 두루 입혀지는 것을 덕이라 하고, 일의 중요한 고비나 우레와 바람이 서로 부딪치는 데서 백성을 도탄(塗炭)에서 건지고 사직(社稷)을 이롭게 하는 것을 공이라 한다. 이러한 즉 몸은 사라져도 도(道)는 더욱 드러나며 행적은 멀어져도 이름은 더욱 빛나게 되어, 천 년 뒤에라도 해와 달과 함께 빛을 다툴 것이니, 어찌 그 평소의 출처(出處)가 험하고 쉬운 것을 가지고 의논할 것이겠는가. 나는 늙었으므로 겪은 일이 많은데, 금방 보면 불꽃처럼 밝아서 사랑스럽기도 하고 두렵기도 하다가도, 일찍이 발길을 돌리지 않으면 생각이 끊어져 모두 없어지고 말아 그가 행한 업적이 있음을 물어보는 데에까지 이르지 못하니, 모두가 슬픈 일이다.
삼한(三韓)의 재상(宰相)인 이공(李公) 같은 분은 온 나라가 칭찬하고 높이 받들고 있는데, 나도 일찍이 그 뒤를 따른 사람으로 마땅히 어떤 일이라도 하여야 할 터이다. 공의 아들이 무덤의 글을 청하니 어찌 감히 스스로 삼가기만 하고 거절할 것인가.
공이 처음 벼슬한 것은 충렬왕(忠烈王) 때로, 태위왕(太尉王, 忠宣王)이 데려다가 요속(僚屬)으로 삼으니 이에 오랫동안 객지에서 섬기면서 벼슬도 높이 오르게 되었다. 지금의 임금<忠肅王>의 보살핌을 받게 되어서는 특별히 정부(政府, 相府)에 두어 문학(文學, 政堂文學)으로 대우하면서 함께 나라를 다스리는 도리를 의논하였으며, 전의 임금<忠惠王>을 다시 만나서도 그 임무를 그대로 맡았다. 모두 네 임금을 섬기면서 매번 총애를 받는 것이 전일보다 더 나았으니, 그 문장[詞采]이나 풍류가 임금을 움직인 것이 아니라면 어찌 이러할 수가 있었을 것인가.
공의 이름은 언충(彦冲)이고, 자는 입지(立之)이며, 그 선대는 청주(淸州) 전의현(全義縣)
3 사람이다. 나라를 위한 근래의 명재상이던 이름이 혼(混)이며 시호 문장공(文莊公)의 조카이고, 고(故) 응양군 대장군(鷹揚軍 大將軍) 천(仟)과 고(故) 직문한서(直文翰署)이자 대사성(大司成)에 추증된 자원(子蒝)이 공의 할아버지와 아버지이다. 고(故) 검교군기감(檢校軍器監) 김유선(金惟銑)의 딸로 영가군부인(永嘉郡夫人)으로 봉해진 분이 공의 어머니이다.
공은 임진년(충렬 18, 1292 )의 사마시(司馬試)에 응시하여 으뜸으로 합격하고,
4 또 갑오년(충렬 20, 1294 )의 과거에 합격하자
5 내시(內侍)에 들어가 흥신궁녹사(興信宮錄事)가 되었다. 여러 차례 승진하여 군부좌랑 정헌대부 대사성 진현관제학 지제교 통헌대부 검교선부전서 행전의령 겸 사헌집의 제점전부사사
6 평양도존무사 행평양부윤 경상도진변 행금주
7목사(軍簿佐郞 正獻大夫 大司成 進賢館提學 知製敎 通憲大夫 檢校選部典書 行典儀令 兼 司憲執義 提點典苻司事 平壤道存撫使 行平壤府尹 慶尙道鎭邊 行金州牧使)가 되고, 개성부윤 좌상시 판선공시 밀직부사 상호군 광정대부 정당문학 첨의평리 예문관대제학 지춘추관사(開城府尹 左常侍 判繕工寺 密直副使 上護軍 匡靖大夫 政堂文學 僉議評理 藝文館大提學 知春秋館事)로 옮아갔으니, 공이 평생에 역임한 관직들이다.
화평군(化平郡)으로 봉해진 고(故) 첨의평리(僉議評理) 희(禧)의 딸인 김씨(金氏)와, 강령군(江寧郡)으로 봉해지고 현재 왕경등처 순군만호(王京等處 巡軍萬戶) 유(綏)의 딸인 홍씨(洪氏)가 공의 두 부인인데, 김씨가 첫 부인이고 홍씨가 계실이다. 전 좌우위
8중랑장(前 左右衛中郞將) 광기(光起), 전 흥위위낭장(前 興威衛郞將) 광익(光翊), 전 전의시주부(前 典儀寺注簿) 사걸(俟傑), 이제 15세[成童]가 된 상원(上元), 겨우 열 살인 삼보(三寶)가 공의 아들이며, 현임 첨의찬성사(見任 僉議贊成事) 민상정(閔祥正), 관고려군천호(管高麗軍千戶) 이을년(李乙年), 전 비순위별장(前 備巡衛別將) 원후(元詡), 창릉직(昌陵直) 윤희보(尹希甫)가 공의 사위이다. 또 세 딸이 있는데 아직 어리다.
계유년(원종 14, 1273) 정사월 을묘일에 공이 태어났고, 무인년(충숙 복위 7, 1338) 계해월 경술일에 공이 세상을 떠났는데, 이 해 을축월 정유일에 공을 장례지냈다.
명(銘)하여 이른다.
군자(君子)가 돌아가시기 전에 뵈오니
정신과 기력이 왕성하게 드러나
복록(福祿)이 오래도록 더욱 창성하리라고 말하였는데
군자가 이미 가셨으니 한스럽도다.
하늘을 원망하여도 아득하기만 하네.
믿을 것은 인생이 무상하다는 것뿐인가.
[출전 : 『역주 고려묘지명집성(상)』(20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