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66년 3월에서 9월에 걸쳐 경북 월성군(月城郡, 현 경주시) 내남면(內南面) 배리(拜里) 금강지(金崗池) 제방철훼공사에 따라 수습된 크고 작은 파편 가운데 하나이다. 이 석경(經石) 각각의 원래 크기는 미상이나 같은 크기의 경석을 상하 여러 단으로 쌓았으며, 각석은 20행 이상이며 각행 30자이다. 크기는 길이 50cm, 너비 39cm로서 법화경(法華經) 비유품(譬喩品)에 해당한다. 이 지역의 노인에 의하면 이들 석편의 다수가 출토된 지점은 제방 남쪽 안의 수면 아래라 하며, 동북방에서도 출토되었다고 한다. 또 이들 경석은 원래 이웃에 있는 창림사지(昌林寺址)에서 빗돌을 가져다 쌓았다고 전한다. 이 제방은 과거에도 수차 개축되었다고 한다.
창림사는 신라 시조 혁거세왕의 최초 궁실자리였다고『삼국유사』에 기록되어 있다. 이 기록으로는 최초의 신라 왕궁지가 남산에 조영되었고 바로 그 자리가 현재의 창림사지라는 것을 알 수 있다. 이 곳에서는 최근에도 ‘昌林’, ‘林寺’의 명문와(銘文瓦)가 출토되었다.『신증동국여지승람』경주부 고적조에도 이 절에 관한 부분이 있는데, 창림사에는 신라 승려 김생(金生)이 쓴 비문이 있었으나 없어졌고 절은 폐사되었다고 기록하고 있다. 따라서 창림사는 『신증동국여지승람』이 간행된 조선 현종10년(1699) 그 이전 어느 시기에 폐사되었음을 짐작할 수 있다.
현재까지 발견된 창림사지 법화경석은 총 23점이 확인되고 있다. 이 외에도 한두 자의 글자를 지닌 몇몇 단편이 동국대 박물관에 소장되어 있으나 이들은 복원이 거의 불가능한 편석(片石)에 지나지 않는다. 이들 23편의 비교적 큰 경석은 1966년 3월 경부터 경주 남산 창림사지 부근인 경주시 내남면 배리에 위치한 금강지 제방훼철공사(堤防毁撤工事)에서 수습된 것인데 이는 이웃한 창림사지로부터 반출되어 제방공사에 사용되었던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들 23편의 경석은 국립경주박물관에 4편이 소장되어 있으며, 별개의 1석이 최근 경주시 내남면 활천리 최씨 문중묘 정비공사중 출토되어 조사되었다. 그리고 나머지 18편은 동국대박물관에 소장되어 있다. 이 가운데 신해품(信解品) 제4의 일부를 나타낸 석경(동국대박물관 소장, 유물번호:340) 1편만 일찍이 공개되었으며, 또 비유품(譬喩品) 제31석(동국대박물관 소장, 유물번호:344)이 학계에 알려져 있다.
창림사 법화경석의 크기는 1매의 판석이 세로 150cm, 가로 100cm에 상중하 3단을 형성하였고, 매판석(每板石)의 글자는 42행, 1행 30자이며, 게송의 경우 사언절구(四言絶句)와 오언절구(五言絶句) 두 종류인데 이들 게송은 매행 7송(頌)씩 배치하는 형식을 줄곧 유지하였다. 창림사의 법화경석은 총 19매의 판석으로 구성되었으며, 창림사 석탑에 대한 최근의 연구 성과와 함께 주변 유적유물과의 연관관계에 따라 통일신라 8세기대의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第1石 - 동국대박물관 소장, 유물번호: 335, 크기: 20.5×46cm(以下 세로×가로), 두께: 10.5cm [참조: 大正藏經 제9권, 妙法蓮華經 pp.2下~3中]
第2石 - 국립경주박물관 소장, 유물번호: 경주 1091, 크기: 36.7×37.8cm, 두께: 12.7cm [참조: 大正藏經 제9권, 妙法蓮華經卷第一 pp.3中~3下]
第3石 - 동국대박물관 소장, 유물번호: 336, 크기: 62×44cm, 두께: 12.7cm [참조: 大正藏經 제9권, 妙法蓮華經 pp.3下~4中(上段), pp.21上~21下(下段)]
第4石 - 동국대박물관 소장, 유물번호: 339, 크기: 38×40.5cm, 두께: 13.5cm [참조:大正藏經 제9권, 妙法蓮華經 pp.20上~20下(上段), pp.35上~35下(下段)]
第5石 - 국립경주박물관 소장, 유물번호: 경주 846, 크기: 33.5×32.5cm, 두께: 11.9cm [참조: 大正藏經 제9권, 妙法蓮華經卷第一 pp.5下~6上]
第6石 - 동국대박물관 소장, 유물번호: 341, 크기: 77×39.5cm, 두께: 11.5cm [참조: 大正藏經 제9권, 妙法蓮華經 pp.7中~7下(上段部), pp.23上~23下(下段部)]
第7石 - 동국대박물관 소장, 유물번호: 559, 크기: 27.5×39.5 cm, 두께: 10.5cm [참조: 大正藏經 제9권, 妙法蓮華經 pp.9上~9下]
第8石 - 동국대박물관 소장, 유물번호: 342, 크기: 50.6×49.5 cm, 두께: 11.5cm [참조: 大正藏經 제9권, 妙法蓮華經 pp.11下~12中]
第9石 - 동국대박물관 소장, 유물번호: 338, 크기: 43×57cm, 두께: 11.2cm [참조: 大正藏經 제9권, 妙法蓮華經 pp.12下~13中]
第10石 - 동국대박물관 소장, 유물번호: 344, 크기: 51×39.5cm, 두께: 12cm [참조: 大正藏經 제9권, 妙法蓮華經 pp.13中~13下]
第11石 - 동국대박물관 소장, 유물번호: 723, 크기: 49×38cm, 두께: 11.2cm [참조: 大正藏經 제9권, 妙法蓮華經 pp.13下~14上]
第12石 - 국립경주박물관 소장, 유물번호: 경주 1091, 크기: 36.7×37.8cm, 두께: 12.7cm [참조: 大正藏經 제9권, 妙法蓮華經 pp.14上~14中]
第13石 - 국립경주박물관 소장, 유물번호: 경주 857, 크기: 39.8×55.6cm, 두께: 13.6cm [참조: 大正藏經 제9권, 妙法蓮華經 pp.16上~16中]
第14石 - 국립경주박물관 소장, 유물번호: 경주 1686, 크기: 18.5×25.7cm, 두께: 8.2cm [참조: 大正藏經 제9권, 妙法蓮華經 pp.16中~16下]
第15石 - 동국대박물관 소장, 유물번호: 560, 크기: 19.5×29cm, 두께: 10.5cm [참조: 大正藏經 제9권, 妙法蓮華經 pp.16中~16下]
第16石 - 동국대박물관 소장, 유물번호: 337, 크기: 46×40.5cm, 두께: 12cm [참조: 大正藏經 제9권, 妙法蓮華經 pp.16下~17上] *앞의 제15석에서 연결됨.
第17石 - 동국대박물관 소장, 유물번호: 561, 크기: 26×24.5cm, 두께: 10.5cm [참조: 大正藏經 제9권, 妙法蓮華經 pp.17下~17下]
第18石 - 동국대박물관 소장, 유물번호: 340, 크기: 33.5×34.5cm, 두께: 12cm [참조: 大正藏經 제9권, 妙法蓮華經 pp.17下~18上(上段部는 제17석의 下段部에 해당), pp.32下~33中(下段部)]
第19石 - 동국대박물관 소장, 유물번호: 343, 크기: 51.5×27.5cm, 두께: 11.5cm [참조: 大正藏經 제9권, 妙法蓮華經 pp.32下~32下]
第20石 - 동국대박물관 소장, 유물번호: 334, 크기: 40×35cm, 두께: 11cm [참조: 大正藏經 제9권, 妙法蓮華經 pp.32下~33上]
第21石 - 동국대박물관 소장, 유물번호: 562, 크기: 46.5×43cm, 두께: 12.5cm [참조: 大正藏經 제9권, 妙法蓮華經 pp.35上~35下, pp.50下~p.51上]
第22石 - 경주시 내남면 이조리 忠義堂 崔埰亮 소장, 크기: 124×54cm, 두께:12cm [참조: 大正藏經 제9권, 妙法蓮華經 pp.45中~46上(中段), pp.50下~51上(下段)]
第23石 - 동국대박물관 소장, 유물번호: 563, 크기: 47×52cm, 두께: 13.2cm [참조: 大正藏經 제9권, 妙法蓮華經 pp.52下~52上]