황룡사 구층목탑찰주본기(皇龍寺 九層木塔刹柱本記)
- 시대
- 통일신라
- 연대
- 872년(경문왕 12)
- 유형
- 함명·향완명
- 크기
- 사리외함 높이 24.5 너비 29.8 사리내함 높이 22.5 너비 23.5
- 소재지
- 서울특별시 용산구 용산동6가 168-6 국립중앙박물관
- 서체
- 해서(楷書)
- 찬자 /각자 /서자
- 박거물(朴居勿) / 미상 / 요극일(姚克一)
- 지정사항
- 비지정유산
- 연구정보
개관
황룡사구층목탑찰주본기는 872년(경덕왕(景文王) 12)에서 873년까지 황룡사 탑을 새로 수리하고 나서 그 경위를 작성한 것이다. 다른 말로 황룡사구층목탑사리함기라고도 부른다. 찰주본기는 경상북도 경주시 구황동 황룡사의 중심 초석에 넣어두었던 사리함에서 발견되었다. 이것은 현재 국립중앙박물관에서 보관하고 있다. 글자는 사리내함판에 음각으로 새겼는데, 3매의 판에서 현재 해독할 수 있는 글자는 모두 900여 자이다. 찰주본기를 지은 사람은 박거물(朴居勿)이고, 글씨를 쓴 사람은 요극일(姚克一)이다. 전반부의 내용은 자장의 건의를 받아들여 9층목탑을 창건한 경위에 관한 것이고, 후반부는 문성왕(文聖王)에서 경문왕대에 이르는 중수(重修) 사실을 기록한 것이다. 그리고 말미에 구층목탑을 새로 짓기 위하여 설치한 여러 기관과 관계자들을 기술하였다. 특히 구층목탑을 수리하기 위하여 설치한 성전(成典)의 관직으로 최고 책임자인 감수성탑사(監脩成塔事)를 비롯하여 상당(上堂), 적위(赤位)와 청위(靑位), 황위(黃位)가 전하는데, 이것은 통일신라기 사원성전(寺院成典)의 구성과 운영 모습을 파악할 수 있는 핵심 사료로 활용되고 있다. 그리고 황룡사탑의 창건 연기설화와 규모를 알려주는 찰주본기의 내용은 『삼국유사』 기록과 거의 일치하여 학자들의 주목을 받은 바 있다.
판독문/해석문
전체 5개
해석문 | 정병삼 | ||
판독문 | 정병삼 | ||
판독문 | 허흥식 | ||
판독문 | 김영태 | ||
판독문 | 황수영 |
참고문헌
전체 34개 / 페이지 ( 1 / 4 )
단행본 | 2002 | 『한국고대금석문종합색인』 |
논문 | 2002 | 박순교, 2002, 「皇龍寺九層塔의 歷史的 虛實」『淸溪史學』16·17, 韓國精神文化硏究院 淸溪史學會 |
단행본 | 2001 | 慶州市·新羅文化宣揚會·東國大 新羅文化硏究所, 『新羅文化祭學術論文 -皇龍寺의 綜合的 考察-』22 |
논문 | 2001 | 南東信, 2001, 「新羅 中古期 佛敎治國策과 皇龍寺」『新羅文化祭學術論文集』22, 慶州市·新羅文化宣揚會·東國大 新羅文化硏究所 |
논문 | 2001 | 梁正錫, 2001, 「皇龍寺 伽藍變遷過程에 대한 再檢討 -東·西建物址의 土層分析을 中心으로-」『韓國古代史硏究』24 |
논문 | 2001 | 梁正錫, 2001, 「皇龍寺址 調査와 硏究의 推移」『新羅文化祭學術論文集』22, 慶州市·新羅文化宣揚會·東國大 新羅文化硏究所 |
논문 | 2001 | 權鍾湳, 2001, 「皇龍寺 木塔의 建築制度」『新羅文化祭學術論文集』22, 慶州市·新羅文化宣揚會·東國大 新羅文化硏究所 |
논문 | 2001 | 申昌秀, 2001, 「皇龍寺의 發掘成果」『新羅文化祭學術論文集』22, 慶州市·新羅文化宣揚會·東國大 新羅文化硏究所 |
논문 | 2000 | 盧重國, 2000, 「新羅와 百濟의 交涉과 交流 -6·7세기를 중심으로-」『新羅文化』17·18合輯, 東國大學校 新羅文化硏究所 |
논문 | 1999 | 金相鉉, 1999, 「三國遺事 慈藏 기록의 검토」『천태종전운덕총무원장화갑기념 불교학논총』 |
만족도조사
유용한 정보가 되셨나요?
- 담당부서 : 미술문화유산연구실
- 문의 : 042-860-919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