취서사 석탑사리함기(鷲棲寺 石塔舍利函記)
- 시대
- 통일신라
- 연대
- 867년(경문왕 7)
- 유형
- 함명·향완명
- 크기
- 높이 10.0 지름 11.0
- 소재지
- 서울특별시 용산구 용산동6가 168-6 국립중앙박물관
- 서체
- 해서(楷書)
- 찬자 /각자 /서자
- 미상 / 미상 / 미상
- 지정사항
- 비지정유산
- 연구정보
개관
이 사리함은 경상북도 봉화군 물야면 개단리 취서사(鷲棲寺)에 전해오던 것으로 이 취서사가 어느 시대부터 있었던 절인지 알 수 없으므로 원래부터 이 절의 것이었는지도 분명하지 않다. 일제시대인 1920년대 초 유물조사를 하던 일본인에 의해 발견되어 1929년에 총독부에서 구입하여 박물관에 두었고, 지금은 국립중앙박물관에 소장되어 있다. 납석(蠟石)으로 만들었으며 높이는 10cm이다. 함의 주위와 밑면에 명문이 있다. 제작연대는 867년(경문왕 7)인데 이 시기에는 이와 비슷한 사리기와 무구정소탑(無垢淨小塔)들이 많이 발견되고 있어 당시 불교의 무구정탑신앙(無垢淨塔信仰)의 유행을 보여주고 있다. 하지만 이 사리함은 관련 유물이 적어 정확한 내용의 이해는 쉽지 않다. 명문에 나오는 김양종(金亮宗)은 『삼국사기(三國史記)』에 의하면 헌덕왕대(憲德王代)에 시중(侍中)을 지냈던 인물로, 같은 왕 3년에 병사(病死)한 기록도 있다.
판독문/해석문
전체 8개
해석문 | 최연식 | ||
판독문 | 中吉功 | ||
판독문 | 今西龍 | ||
판독문 | 문명대 | ||
판독문 | 허흥식 | ||
판독문 | 朝鮮金石總覽 | ||
판독문 | 김영태 | ||
판독문 | 최연식 |
참고문헌
전체 11개 / 페이지 ( 1 / 2 )
단행본 | 2012 | 金福順·韓政鎬, 韓國金石文集成 : 신라10 조상명』14, 한국국학진흥원 |
논문 | 2003 | 周炅美, 2003, 「統一新羅時代의 金工技法 硏究 -佛舍利莊嚴具를 중심으로-」『新羅文化祭學術論文集』24, 慶州市 新羅文化宣揚會·東國大 新羅文化硏究所 |
단행본 | 2002 | 『한국고대금석문종합색인』 |
단행본 | 1995 | 國史編纂委員會, 1995, 『韓國古代金石文資料集』Ⅲ, 國史編纂委員會 |
단행본 | 1992 | 韓國古代社會硏究所 編, 1992, 『譯註 韓國古代金石文』Ⅲ, 駕洛國史蹟開發硏究院 |
논문 | 1991 | 姜友邦, 1991, 「佛舍利莊嚴論」『佛舍利莊嚴』 |
단행본 | 1984 | 許興植, 1984, 『韓國金石全文』古代篇, 亞細亞文化社 |
논문 | 1970 | 今西龍, 1970, 「奉化鷲棲寺私利石函器」 『新羅史硏究』 |
논문 | 1966 | 鄭永鎬, 1966, 「鷲棲寺의 塔·像과 石燈-新羅 五岳調査記(其六)-」『考古美術』 69號(第七卷 第四號), 考古美術同人會 |
논문 | 1933 | 今西龍, 1933, 「鷲棲寺舍利石盒刻文」『新羅史硏究』, 近澤書店 ; 1978,『朝鮮金石?談(外)』, 아세아문화사 |
만족도조사
유용한 정보가 되셨나요?
- 담당부서 : 미술문화유산연구실
- 문의 : 042-860-919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