양양 선림원지 홍각선사탑비(襄陽 禪林院址 弘覺禪師塔碑)
- 시대
- 통일신라
- 연대
- 886년(헌강왕 12)
- 유형
- 비문
- 크기
- 전체높이 306.2cm, 이수 63.98cm, 비신 173.65cm, 귀부 64.33cm
- 소재지
- 강원도 양양군 서면 황이리 산89
- 서체
- 행서(行書 : 왕희지 집자(集字))
- 찬자 /각자 /서자
- 김원(金遠) / 혜강(慧江) / 운철(雲徹), 전액:최경(崔瓊)
- 지정사항
- 보물
- 연구정보
개관
선림원지홍각선사비는 본래 강원도 양양군 서면 황이리의 선림원(또는 사림사)터에 있었으나 조선시대에 비신이 깨져 현재 일부만이 전한다. 비신의 오른쪽 상단 부분을 국립춘천박물관에서, 비편 조각 일부를 동국대학교 박물관에서 보관하고 있다. 비문의 내용은 탁본을 가지고 확인할 수 있다. 홍각선사(弘覺禪師)는 봉림산문(鳳林山門) 소속으로 속성이 김씨이다. 선사는 810년(헌덕왕 2) 무렵 경주에서 출생하여 17세에 출가하고, 해인사와 영암사에서 수학하다가 당나라에 유학하여 선법을 배웠다. 귀국하여 왕실과 접촉하여 왕궁에서 10일 동안 설법하기도 하였으며, 880년(헌강왕 6)에 입적하였다. 비는 제자들의 건의에 따라 886년(정강왕 1) 10월에 선림원(禪林院)에 건립되었으며, 비문은 수병부랑중(守兵部郞中) 김원(金遠)이 지었다. 김원(金遠)은 이전에 보림사보조선사창성탑비(寶林寺普照禪師彰聖塔碑)의 글씨를 쓴 바 있어 문장과 글씨에 능통했음을 알 수 있다. 비문은 신라 하대 선종사상 연구의 기초 자료로 활용되고 있다.
판독문/해석문
전체 8개
해석문 | 남동신 | ||
판독문 | 허흥식 | ||
판독문 | 葛城末治 | ||
판독문 | 유희해 | ||
판독문 | 朝鮮金石總覽 | ||
판독문 | 권덕영 | ||
판독문 | 남동신 | ||
판독문 | 月刊文化財 |
참고문헌
전체 17개 / 페이지 ( 1 / 2 )
단행본 | 洪敬謨, 『冠巖叢書』上 | |
단행본 | 趙凍, 『金石淸玩』제1책 | |
단행본 | 2002 | 『한국고대금석문종합색인』 |
논문 | 1998 | 權悳永, 1998, 「弘覺禪師碑文을 통해 본 新羅 億聖寺址의 추정」『史學硏究』55·56合集 |
단행본 | 1995 | 國史編纂委員會, 1995, 『韓國古代金石文資料集』Ⅲ, 國史編纂委員會 |
단행본 | 1993 | 李智冠, 1993, 『校勘 譯註歷代高僧碑文』新羅篇, 伽山文庫 |
단행본 | 1992 | 韓國古代社會硏究所 編, 1992, 『譯註 韓國古代金石文』Ⅲ, 駕洛國史蹟開發硏究院 |
논문 | 1992 | 權悳永, 1992, 「新羅 弘覺禪師碑文의 復元 試圖」 『伽山李智冠스님 華甲紀念論叢- 韓國佛敎文化思想史』 |
논문 | 1991 | 文明大, 1991, 「禪林院址 發掘調査 略報告」『佛敎美術』10 |
단행본 | 1987 | 서울특별시, 『서울金石文大觀』, 서울특별시, 1987 |
만족도조사
유용한 정보가 되셨나요?
- 담당부서 : 미술문화유산연구실
- 문의 : 042-860-919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