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안사 적인선사조륜청정탑비(大安寺 寂忍禪師照輪淸淨塔碑)
- 시대
- 통일신라
- 연대
- 872년(경문왕 12)
- 유형
- 비문
- 크기
- 미상
- 소재지
- 미상
- 서체
- 미상
- 찬자 /각자 /서자
- 최하(崔賀) / 미상 / 극일(克一)
- 지정사항
- 비지정유산
- 연구정보
개관
본래 대안사적인선사조륜청정탑비는 전라남도 곡성군 죽곡면 원달리에 위치한 태안사에 건립한 비였으나 현재는 전하지 않는다. 비의 전문은 구례 화엄사에서 보관하고 있는 필사본(筆寫本)으로 확인할 수 있다. 적인선사는 경주사람으로 속성이 박씨이며, 법호는 혜철(慧徹)로 선종 9산문의 하나인 동리산문(桐裏山門)을 개창한 사람이다. 785년(원성왕 1)에 출생하여 15세에 출가하였으며, 30세에 당나라에 유학하여 중국에서 선종승려로 명성을 떨치던 지장선사(智藏禪師)에게서 수학하였다. 55세까지 중국을 두루 돌아다니며 선종사상을 공부하다가 귀국하여 처음에 무주(광주광역시) 쌍봉사에 머물렀다. 후에 곡성 태안사로 옮겨 동리산문을 개창하고 제자들을 가르치다가 861년(경문왕 1) 77세의 나이로 입적하였다. 탑비는 경문왕의 왕명으로 872년(경문왕 12)에 건립되었다. 비문을 지은 사람은 중국 당나라에 사신으로 파견되었던 한림랑(翰林郞) 최하(崔賀)이고, 글씨를 쓴 사람은 중사인(中舍人) 요극일(姚克一)이다. 요극일(姚克一)은 이밖에도 여러 개의 비문을 썼는데, 통일신라시대에 구양순체의 대가로 명성을 얻었다. 비문의 내용은 신라 하대 선종사상의 성격, 9산문의 하나인 동리산문의 개창과 관련된 사실을 연구할 때 핵심 자료로 활용되고 있다.
판독문/해석문
해석문 | 김남윤 | ||
판독문 | 허흥식 | ||
판독문 | 김영태 | ||
판독문 | 김남윤 | ||
판독문 | 朝鮮金石總覽 |
참고문헌
단행본 | 2002 | 『한국고대금석문종합색인』 |
논문 | 2000 | 金壽泰, 2000, 「甄萱政權과 佛敎」『후백제와 견훤』, 百濟硏究所 |
논문 | 1999 | 金壽泰, 1999,「全州 遷都期 甄萱政權의 變化」『韓國古代史硏究』15 |
단행본 | 1995 | 國史編纂委員會, 1995, 『韓國古代金石文資料集』Ⅱ, 國史編纂委員會 |
단행본 | 1992 | 韓國古代社會硏究所 編, 1992, 『譯註 韓國古代金石文』Ⅲ, 駕洛國史蹟開發硏究院 |
논문 | 1991 | 李智冠, 1991, 「谷城 大安寺 寂忍禪師照輪淸淨塔碑文」『伽山學報』1, 가산불교문화연구원 |
논문 | 1988 | 金杜珍, 1988, 「羅末麗初 桐裏山門의 成立과 그 思想 -風水地理思想에 대한 再檢討」『東方學志』57, 연세대 국학연구원 |
논문 | 1988 | 秋萬鎬, 1988, 「羅末麗初의 桐裏山門」『先覺國師道詵의 新硏究』, 영암군 |
단행본 | 1984 | 아세아문화사, 1984, 『태안사지』 |
단행본 | 1984 | 許興植, 1984, 『韓國金石全文』古代篇, 亞細亞文化社 |
- 담당부서 : 미술문화유산연구실
- 문의 : 042-860-919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