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운령신라진흥왕순수비(磨雲嶺新羅眞興王巡守碑)
- 시대
- 신라
- 연대
- 568년(진흥왕 29)
- 크기
- 비신 높이 약 146.9cm, 폭 약 44.2cm, 두께 약 30.0cm
- 소재지
- 함흥력사박물관
- 서체
- 해서(楷書)
- 찬자 /각자 /서자
- 미상 / 미상 / 미상
- 지정사항
- 비지정유산
- 연구정보
개관
진흥왕순수비는 신라 24대 진흥왕이 영토를 개척하고 그곳에 순행한 사실을 기념하기 위하여 세운 비를 말한다. 진흥왕순수비는 현재까지 4개가 알려졌다. 창녕, 북한산, 황초령, 마운령 진흥왕순수비가 바로 그것이다. 마운령비는 1929년에 함경남도(咸慶南道) 이원군(利原郡) 동면(東面) 사동(寺洞) 만덕산(萬德山) 복흥사(福興寺) 배후의 운시산 꼭대기에 세웠던 진흥왕순수비이다. 현재 비는 함흥력사박물관에서 보관하고 있다. 재질은 화강암으로 높이 146.5cm, 폭은 44.2cm, 두께 30cm이며, 별도로 덮개와 받침대를 만들었다. 마멸이 비교적 심하지 않아 대부분의 글자를 판독할 수 있다. 비의 내용은 568년(태창(太昌) 원년)에 진흥대왕이 순수하여 돌에 새겨 그것을 기념한 사실, 진흥왕의 영토확장과 선정(善政)을 칭송한 부분, 변경지역을 두루 순수하고 백성들에게 훈시한 사실, 진흥왕을 따라 왔던 신료의 관직과 이름을 기술한 부분으로 구성되었다. 마운령비는 진흥왕이 영토를 함경도 함흥지역까지 넓혔음을 알려주는 증거 자료이다. 뿐만 아니라 태창(泰昌)이라는 연호의 사용, 6부명, 관직과 관등, 인명은 중고기 신라의 정치사 및 제도사를 이해하는 데 기초 자료가 되고 있다. 그리고 ‘사문도인(沙門道人)’이나 『논어』, 『서경』 등에서 인용한 구절 등은 진흥왕대 불교와 유교사상의 성격을 이해할 수 있는 단서를 제공해주고 있다.
관련 금석문
판독문/해석문
전체 9개
해석문 | 노중국 | ||
판독문 | 이도학 | ||
판독문 | 末松保和 | ||
판독문 | 노중국 | ||
판독문 | 허흥식 | ||
판독문 | 이난영 | ||
판독문 | 末松保和 | ||
판독문 | 최남선 | ||
판독문 | 葛城末治 |
참고문헌
전체 25개 / 페이지 ( 1 / 3 )
단행본 | 2004 | 한국역사연구회 고대사분과, 2004, 『고대로부터의 통신』, 푸른역사 |
단행본 | 2002 | 『한국고대금석문종합색인』 |
단행본 | 1996 | 盧鏞弼, 1996, 『新羅眞興王巡狩碑硏究』, 一潮閣 |
단행본 | 1995 | 國史編纂委員會, 1995, 『韓國古代金石文資料集』Ⅱ, 國史編纂委員會 |
논문 | 1993 | 盧鏞弼, 1993, 「磨雲嶺碑의 ‘客’연구」『國史館論叢』48, 국사편찬위원회 |
단행본 | 1992 | 韓國古代社會硏究所 編, 1992, 『譯註 韓國古代金石文』Ⅱ, 駕洛國史蹟開發硏究院 |
논문 | 1992 | 李道學, 1992, 「磨雲嶺 眞興王巡狩碑의 近侍隨駕人에 관한 檢討」『新羅文化』9, 동국대 신라문화연구소 |
단행본 | 1984 | 許興植, 1984, 『韓國金石全文』古代篇, 亞細亞文化社 |
논문 | 1983 | 金昌鎬, 1983, 「新羅中古 金石文의 人名表記(Ⅰ)」『大丘史學』22, 대구사학회 |
논문 | 1982 | 李文基, 1982, 「新羅 眞興王代의 臣僚組織에 대한 一考察」『大丘史學』20·21, 대구사학회 |
만족도조사
유용한 정보가 되셨나요?
- 담당부서 : 미술문화유산연구실
- 문의 : 042-860-919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