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적명 | 화순 쌍산 항일의병 유적 |
---|---|
시대 | 조선시대 |
조사연도 | 2014 |
조사기관 | (조사)전남문화재연구소 (분석)국립중원문화재연구소 |
유적설명 | 유적의 대장간터에서 제련로 1기, 단야로 2기, 목탄 저장소 1기, 폐기장 5기, 수혈 2기 등이 확인되었으며 18세기 중·후반경에 해당하는 것으로 보고되었다. 분석은 발굴조사가 되기 전 지표에서 수습된 시료 중 슬래그 8점과 노벽 3점을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슬래그의 미세조직은 유리질 바탕에 주상의 fayalite 조직이 기본이 주를 이루며 전라지역 내 다른 유적 슬래그와 크게 다르지 양상으로 확인된다. 하지만 밝게 나타나는 수지상이나 스피넬 조직 등은 거의 관찰되지 않는데 제련에서 생성된 슬래그의 환원이 진행되기 전 신속하게 노 외부로 배출될 경우 생성될 경우 나타나는 조직으로 볼 수 있다. 노벽의 경우 표면의 유리질화 정도와 고온광물인 mullite, cristobalite의 존재로 노 내부의 고온환경이 조성되었음을 알 수 있다. |
유적설명(영문) | 첨부파일 | 5 화순 쌍산 항일의병 유적.pdf |
만족도조사
유용한 정보가 되셨나요?
- 담당부서 : 국립중원문화유산연구소
- 문의 : 043-850-78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