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적명 | 대구 봉무동 유적 |
---|---|
시대 | 원삼국∼삼국시대 |
조사연도 | 2008-2010 |
조사기관 | 영남문화재연구원 |
유적설명 | 팔공산의 한 지류인 문암산에서 남쪽으로 뻗어내려 서쪽을 향해 형성된 소구릉(해발56.9m)의 남서 사면부가 끝나고 평지가 시작되는 지점에 유적이 입지한다. 북쪽과 동쪽의 곡부에서 유입된 퇴적물과 서쪽에 인접한 금호강이 범람하여 형성된 봉무들의 동쪽에 해당하는데, 동쪽에는 해발 80m 내외의 소구릉들이, 서쪽과 남쪽에는 금호강과 불로천의 범람으로 형성된 봉무들이 넓게 펼쳐져 있다. 1∼4의 4개 구역 중 1구역에서 수혈식 용해로 1기와 제철관련 폐기장 1기가 확인되었으며, 원삼국시대 주거지 5호의 남동쪽 70cm 지점에서 추정 단야로 1기가 조사되었다. 수혈 내에서 노의 정확한 위치는 알 수 없으나 내부에서 산화ㆍ환원 소결된 소토덩어리(점토 벽체면) 및 기와와 유사한 두께 2cm 정도의 토제품의 점포를 바른 벽체편과 함께 주조철부 용범, 철괴형철재, 송풍관이 다량 출토되었다. 폐기장은 범람에 의해 형성된 자연구 3기가 이루어졌는데, 길이 4,100cm, 너비 1,900cm 범위에 걸쳐 주조철부 용범편, 송풍관편, 노 벽체편, 토기편, 철괴형철재, 철재 등이 다향 폐기되어 있다. 추정 단야로에서는 단조박편이 검출되었으며 주거지 2호에서는 용범편과 철재가 출토되었다. 수혈유구와 도로유구 등에서도 철광석, 송풍관편, 주조철부 등이 출토되었는데, 이들 중 일부는 제철유구와 관련이 있는 것으로 추정된다. |
유적설명(영문) | 첨부파일 | 13 대구 봉무동 유적.pdf |
국립중원문화재연구소이(가) 개방한 유적목록 저작물은 공공누리 제 3유형 "출처표시+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수 있습니다.

만족도조사
유용한 정보가 되셨나요?
- 담당부서 : 국립중원문화재연구소
- 담당자 : 김수경
- 문의 : 043-850-78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