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문정보
조사연구보고서

- 서명
- (국제학술대회) 호남지역 청동기시대 재조명 발표자료집
- 발행년도
- 2021 년
- 형태사항
- 422p / 크기 : 19 x 26cm
- 초록 :
-
본고는 국립나주문화재연구소와 국립완주문화재연구소, 한국청동기학회가 2021년 6월 17일부터 18일까지 공동으로 개최한 <호남지역 청동기시대 재조명> 국제학술대회 자료집이다. 자료집에는 김승옥 교수의 ‘호남지역 청동기문화의 흐름과 특징, 그리고 쟁점’ 기조강연을 시작으로 총 5부로 구성하였으며, 국내외 연구자에 의한 총 15편의 논고와 토론문이 함께 수록되어 있다. 1부는 영산강유역권의 청동기시대 문화, 2부는 만경강유역권의 청동기시대 문화, 3부는 섬진강·탐진강유역권의 청동기시대 문화, 4부는 호남지역 초기철기시대 문화, 5부는 중국과 일본의 청동기시대 농경과 호남지역을 주제로 하였다.
원문정보(보고서) (PDF파일)
목차
접어두기
기조강연 1. 호남지역 청동기시대 문화의 흐름과 특징, 그리고 쟁점 1부 : 영산강유역권의 청동기시대 문화 2. 영산강유역권 청동기시대 문화 3. 영산강유역 청동기시대 주거의 분포와 양상 4. 영산강유역권 지석묘의 특징과 지역성 2부 : 만경강유역권의 청동기시대 문화 5. 만경강유역권 청동기시대 문화 6. 만경강유역 청동기시대 주거의 성격과 특징 7. 만경강유역권 청동기시대 무덤의 현황과 특징 3부 : 섬진강·탐진강유역권의 청동기시대 문화 8. 섬진강-탐진강유역 청동기문화의 전개과정 9. 섬진강·탐진강유역의 청동기시대 주거양상 10. 섬진강·탐진강 유역권 지석묘의 특징과 지역성 4부 : 호남지역 초기철기시대문화 11. 호남지역 초기철기시대 문화 12. 전남지역 초기철기시대 주거와 무덤 13. 전북지역 초기철기시대 유적의 특징과 지역성 5부 : 중국과 일본의 청동기시대 농경과 호남지역 14. 중국 고고학을 통한 벼 재배의 기원과 중국 문명에 대한 인식 변화 15. 일본과 호남지역 청동기문화 토론문

부가정보
- 정보제공부서 : 국립나주문화재연구소
- 담당자 : 이은지
- 문의 : 061-339-11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