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문정보
조사연구보고서

- 서명
- 북한미술연구보고서Ⅲ 북한 고구려 고분벽화 모사도
- 발행년도
- 2018 년
- 형태사항
- 453p / 크기 : 26.0×22.5 cm
- 초록 :
-
국립문화재연구소는 한성백제박물관과 2017년 11월 교류 협력 약정을 체결하고, 박물관 소장의 북한 제작의 고구려 고분벽화 모사도 125점과 벽화 고분 모형 5건을 조사하였다. 한성백제박물관은 고분벽화 모사도의 국내 최대 소장처로 1990년대와 2000년대 초에 북한에서 제작된 고구려 고분 벽화 모사도와 모형을 민족화해협력범국민협의회와 개인 소장가로부터 기증받아 관리하고 있다. 도록에 수록된 모사도는 북한 만수대창작사 소속 화가들이 제작한 것으로 안악 1·2·3호분, 강서대묘, 강서중묘, 진파리벽화분, 덕흥리벽화분, 호남리사신총 등 평양과 황해도 일대에 있는 주요 벽화무덤 15기와 장천 1호분, 무용총 등 중국 집안지역의 벽화무덤 6기에 그려진 그림을 모사한 것이다. 생활풍속, 사신, 별자리, 인물 그림 등이 다양하게 포함되어 있다.
원문정보(보고서) (PDF파일)
-
고구려 고분벽화 모사도 도록.pdf
(152MB)
목차
접어두기
발간사 고구려 고분벽화 모사도 조사 개요 고구려 고분벽화 모사도 취득과 보존처리 1. 북한의 고구려 고분벽화 모사도 제작 2. 북한의 고분벽화 모사도 제작기법 3. 고구려 고분벽화 모사도의 자료적 가치 4. 논고 부록 Abstrac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