석조문화재구성암석과결실부복원방안
- 보고서유형분류
- 지침서
- 발행년도
- 2011 년
- 형태사항
- 20쪽/27.9cm
- 저작권자
- 국립문화유산연구원
초록
만족도조사
유용한 정보가 되셨나요?
초록
석조문화유산은 대부분 옥외에 노출되어 있어 자연환경과 인위적인 훼손 등에 의해 균열, 박리박락, 탈락 등이 발생하여 적절한 보존처리를 요하고 있다. 복원은 문화유산이 제작되었을 때와 동일한 기법 및 재료를 사용하는 것을 원칙으로 하고 있다. 따라서 우리나라 석조문화유산에 대한 구성암석의 종류와 특징을 정확한 이해하여 결실부분의 복원에도 적절하고 안정적인 보...
석조문화유산은 대부분 옥외에 노출되어 있어 자연환경과 인위적인 훼손 등에 의해 균열, 박리박락, 탈락 등이 발생하여 적절한 보존처리를 요하고 있다. 복원은 문화유산이 제작되었을 때와 동일한 기법 및 재료를 사용하는 것을 원칙으로 하고 있다. 따라서 우리나라 석조문화유산에 대한 구성암석의 종류와 특징을 정확한 이해하여 결실부분의 복원에도 적절하고 안정적인 보존처리가 수행되어야 하겠다. 이 지침서는 석조문화유산에 발생된 결실부분에 대해 보존처리 및 복원에 필요한 구성암석의 종류, 효과적인 접착 및 보강방법, 대체석 확보를 위한 산지추정 방법 등 보존처리 관련기관 및 일반관리자에게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제작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