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립문화유산연구원이(가) 개방한 석등조사보고서Ⅰ[간주석편][石燈조사보고서Ⅰ[竿柱石編] 저작물은 공공누리 제 4유형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수 있습니다.
초록
우리나라 석조물 가운데 석탑·승탑 및 탑비·당간지주 등과 더불어 석등은 불교문화유산에 중요한 위치를 차지한다. 기존 석등의 연구는 양식적인 고찰이 중심이었으나, 이 조사는 정밀실측도를 작성하여 석등의 구조 분석을 통해 형식과 양식적인 변천 과정을 재정리하였다. 특히 가람 배치를 차지하는 건축사적인 의의뿐만 아니라 문화유산 원형 보존 관리 면에도 활용하도록...
우리나라 석조물 가운데 석탑·승탑 및 탑비·당간지주 등과 더불어 석등은 불교문화유산에 중요한 위치를 차지한다. 기존 석등의 연구는 양식적인 고찰이 중심이었으나, 이 조사는 정밀실측도를 작성하여 석등의 구조 분석을 통해 형식과 양식적인 변천 과정을 재정리하였다. 특히 가람 배치를 차지하는 건축사적인 의의뿐만 아니라 문화유산 원형 보존 관리 면에도 활용하도록 하였다. 제1집(간주석편)은 1992년부터 1999년까지 조사한 간주식 석등 44건(국가지정 12건, 시도지정 15건, 비지정 17건)에 대한 사진·도면·해설 원고·제원 등을 수록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