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립문화유산연구원이(가) 개방한 (황룡사연구총서14)황룡사 강당 및 강당 동서편 건물 남문 복원심화연구 저작물은 공공누리 제 4유형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수 있습니다.
초록
강당 및 강당 동서편 건물은 3개층의 유구가 확인되었으며 최종시기의 유구(초석, 전돌, 기단, 방형단 등)와 국내외 관련 사례를 검토하여 세 건물의 변천과정, 기능 등을 고증하고 주망배치, 건물규모, 문비 및 벽체 등 건축평면을 고찰하였다. 고대 불교사원 강당의례 설행목적 제도적 발전에 대해 살펴보고 황룡사 강당의례(강경 법회, 보살계 법회, 사경 법...
강당 및 강당 동서편 건물은 3개층의 유구가 확인되었으며 최종시기의 유구(초석, 전돌, 기단, 방형단 등)와 국내외 관련 사례를 검토하여 세 건물의 변천과정, 기능 등을 고증하고 주망배치, 건물규모, 문비 및 벽체 등 건축평면을 고찰하였다. 고대 불교사원 강당의례 설행목적 제도적 발전에 대해 살펴보고 황룡사 강당의례(강경 법회, 보살계 법회, 사경 법회 등)를 고찰하였다. 또한 황룡사 강당 내부에 설치될 수 있는 장엄구와 강당의 다양한 법회에 필요한 장엄구에 대해 고증하였다. 남문은 황룡사의 남편 정문으로 최종 시기의 유구(5×2칸)와 국내외 관련 사례를 검토하여 중문과 남문의 규모 및 배치관계, 주망, 문비 및 벽체, 입면 등 건축적으로 고찰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