Ⅰ. 머리말
Ⅱ. 유적의 위치와 환경
1. 자연·지리적 환경
2. 고고·역사적 환경
3. 주변 사찰 유적 현황
4. 경주지역 쌍탑가람(유적) 현황
5. 유적 연혁
Ⅲ. 조사개요
1. 발굴조사 경과
2. 조사 범위와 보고서 작성방법
Ⅳ. 조사내용
1. 층위
2. 중심영역
1) 강당지
2) 금당지
3) 탑지
4) 회랑지
5) 당간지주
3. 북편영역
1) 건물지 1~3
2) 북편 트렌치
4. 남편영역
1) 건물지 1, 동서·남북배수로
2) 건물지 2, 담장지 1, 우물지 1·2
3) 건물지 3·4, 우물지 3
4) 건물지 5, 우물지 4·5, 미상석렬 1
5) 건물지 6~9, 담장지 2, 우물지 6, 미상석렬 2
6) 건물지 10·11, 담장지 3
7) 건물지 12·13, 집수정, (동서)도로
5. 동편영역
1) (남북)담장
2) 석축 1
3) (동서)배수로 1, 석축 2
4) (남북)배수로 2, 석렬
5) 동편 트렌치
6. 서편영역
1) 건물지 1·2, 담장지 1~3, 배수로 1, 미상석렬 1, 보도석렬 1
2) 건물지 3·4, 담장지 4~6, 우물지 1, 배수로 2·3
3) 건물지 5, 담장지 7·8, 미상석렬 2
4) 건물지 6, 담장지 9, 우물지 2~4
5) 건물지 7, 담장지 10~12
6) 건물지 8·9, 담장지 13, 배수로 4, 미상석렬 3
7) 건물지 10~13, 담장지 14, 배수로 6, 우물지 5
8) 건물지 14~21, 담장지 15~25, 배수로 5·7·9·10, 우물지 6~9, 집수정 1, 미상석렬 4~6
9) 건물지 22·23, 담장지 26·27, 배수로 11, 집수정 2, 암거
10) 건물지 24~26, 담장지 28·29, 배수로 12, 집수정 3
11) 건물지 27~32, 집수정 4·5, 미상석렬 7
12) 담장지 30, 배수로 8·13, (남북)도로
13) 서편 트렌치
Ⅴ. 유물
1. 토기
2. 자기
3. 토제품
4. 옥·석·유리
5. 와전류
6. 금속류
•유물도판
•유물사진
* 도판과 사진의 순서는 위의 유물 기술과 동일
Ⅵ. 고찰
1. 유구
1) 황룡사지 서편 폐사지 유구 검토
2) 황룡사지 대지조성 서쪽 경계부와 서편 폐사지 유적 토층 관계 검토
3) 황룡사지 서편 폐사지의 동서석탑재 검토
2. 유물 573
1) 황룡사지 서편 폐사지 토도류 고찰
2) 황룡사지 서편 폐사지 와전류 고찰
3) 황룡사지 서편 폐사지 금속류 소고
4) 황룡사지 서편 폐사지 명문기와 고찰
Ⅶ. 맺음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