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7 중요유적지 조경 전국 실태조사 연구 세계문화유산-안동 하회마을
- 보고서유형분류
- 조사연구보고서
- 발행년도
- 2017 년
- 형태사항
- 237p / 크기 : 215×275mm
- 저작권자
- 국립문화유산연구원
초록
만족도조사
유용한 정보가 되셨나요?
- 담당부서 :
- 문의 :
초록
그간의 하회마을 관련 연구는 마을 터잡이 및 공간 구조, 경관, 재식 및 식생 구조, 건축 등의 분야에서 연구가 진행되면서 원형보존의 중요성이 강조되었다. 그러나 대부분 건축물을 대상으로 하는 원형의 회복이나 수리·보수에 관한 내용이 주를 이루고 있으며 근대기 하회마을의 변화된 모습이 반영되지 않아 현재의 모습을 원형으로 오인하는 등 조경공간에 대한 기록은...
그간의 하회마을 관련 연구는 마을 터잡이 및 공간 구조, 경관, 재식 및 식생 구조, 건축 등의 분야에서 연구가 진행되면서 원형보존의 중요성이 강조되었다. 그러나 대부분 건축물을 대상으로 하는 원형의 회복이나 수리·보수에 관한 내용이 주를 이루고 있으며 근대기 하회마을의 변화된 모습이 반영되지 않아 현재의 모습을 원형으로 오인하는 등 조경공간에 대한 기록은 경관의 원형을 추적하는데 자료가 부족한 실정이다. 이는 안동 하회마을의 조경공간이 1980년대 문화유산으로 지정되기 이전부터 현재에 이르기까지의 변화과정 추적과 이에 따른 영향관계에 대한 현상을 파악할 필요가 있음을 의미하며, 보존과 활용의 대립구조에서 발생하는 세계문화유산으로서의 진정성 유지에 대한 논의가 포함되어야 할 것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안동 하회마을의 조경공간이 근대기 이후 어떠한 변화를 거쳐 왔는지를 살펴보고 각 구성요소들의 현황을 기록하여 차후 연구에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데 목적을 두고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