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책자는 2019년까지 남한지역에서 확인된 고려시대 고분유적을 집성한 자료집이다. Ⅰ권에는 서울, 인천, 경기, 강원지역의 149개소 유적이 수록되어 있다.
· 각 유적별 수록내용은 일반현황-유구현황-참고자료 순으로 구성하였다.
· 일반현황은 지정사항, 유적위치, 조사유형, 조사년도/기간, 유구현황, 유적입지/분포현황, 유적성격, 참고문헌 순으로 작성하였다.
· 유구현황은 유구명-봉분-매장주체부-묘역시설-특징 순으로 기술하였다.
· 봉분은 봉분 및 호석이 잔존한 경우에 한해 형태를 기술하였으며 호석이 설치된 경우 별도 표기 하였다.
· 매장주체부는 규모, 구조, 장축방향, 내부시설을 기술하였다.
· 규모는 석실(곽) 및 묘광의 길이, 너비, 깊이를 ㎝ 단위로 표기하였으며, 잔존 규모의 경우 괄호 안에 수치를 기입하였다.
· 매장주체부의 구조는 보고서를 준용하여 석실, 석곽, 토광으로 나누어 기술하였다. 매장주체부가 석재로 된 분묘는 사용 석재의 종류를 병기하였으며, 2단으로 굴착된 토광묘의 경우에도 병기하였다. 시신 안치시설은 목관, 와관, 골호 등으로 표기하였다.
· 내부시설은 요갱(묘광 중앙에 설치되는 소혈), 사우혈(묘광 네 모서리에 조성된 소혈), 벽감(묘광의 장벽에 설치된 소혈), 부장공간, 시상 등으로 기술하였다.
· 묘역시설은 구조와 석물로 나누어 기술하고 각각의 수량을 병기하였다. 구조는 곡장과 참배단 등 묘역을 구성하는 시설물을, 석물은 묘역 안에 위치한 장명등, 석상, 석수 등을 기재하였다.
· 특징에는 분묘의 구조 및 형태, 출토유물, 묘주 등을 기술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