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면으로 찾기

- 대분류명
- 회랑지
- 소분류명
- [C4] 중원 동회랑지
설 명
1. 개요 중원 동회랑지의 남쪽은 물웅덩이가 있고 회랑지의 서변(西邊) 기단부는 사역을 흐르는 개천을 따라서 자리하고 있으며 개천의 바닥면이 유구 면보다 높은 위치에 있었기에 많은 파괴가 있었다. 따라서 회랑의 유구는 동변기단부의 북반(北半)에 국한된 조사가 이루어졌고 남단부의 조사에서는 암거시설(暗渠施設)이 확인 되었다. 동회랑지의 토층조사를 통해 이 지역의 기단토가 얼마간의 유실이 있었고 그 유실에 의하여 후에 회갈색(灰褐色)의 사질점토(砂質粘土)가 퇴적된 것으로 볼 수 있다. 2. 세부설명 평면 형태는 2칸×25칸의 복랑(複廊)식으로 추정되며 주칸 거리는 동서 2.17m, 남북 3.3m이다. 그리고 기단부는 동변기단만이 제자리에 남아 있으며 갑석과 면석만이 남아 있다. 이는 동원 동회랑지와 같은 양상이다. 초석은 동측렬에 2개의 초석과 2개소의 초석적심이 있고 중앙렬에 1개의 초석과 초석적심 1개소가 있다. 그리고 서측렬에도 초석 1개가 있다. 남회랑과 동·서회랑이 연결되고 있어 초석의 동서렬이 동원의 동회랑지와는 일직선상에 놓이지 않는다. 중원 동회랑지는 암거시설이 있는데 동회랑과 남회랑의 연결부분에서 확인되며 회랑외부에서 확인되는 구지표의 1.5m하부에 있다. 거칠게 다듬은 판장석(板狀石)으로 양 측벽과 바닥을 깔고 뚜껑돌을 덮은 형태이고 크기는 폭 47㎝, 높이 19.5~27.5㎝이며 높이의 차이는 뚜껑돌의 두께에 따른 것으로 보인다. 남북방향의 암거시설은 남쪽으로 동원의 남회랑지를 관통, 그 남쪽에 있는 남변석축에 이어진다. 그리고 북쪽으로는 중원 동회랑지의 동변기단외부와 동원 금당지의 서변기단외부를 지나서 동원 승방지의 서변기단 외부에까지 잇고 있는데 그 북쪽 끝은 확인되지 않았다.

이미지
전체 92개 | 페이지 (1/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