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면으로 찾기

- 대분류명
- 탑지
- 소분류명
- [B3] 동원 동탑
설 명
1. 개요 동탑지는 발굴 전 지대석 상면에서 높이 70㎝까지 잔디로 정비되어 있었으며 하층갑석과 지대석은 잘 남아 있었으나 상층면석은 남·동편의 일부만이 남아 있고 상층갑석은 전혀 남아있지 않은 상태였다. 상층면석 위에는 북, 서, 남쪽에 4기의 상층초석이 높이 20㎝가량 드러나 있었으며 계단지는 남·동쪽에 각기 4단과 3단의 계단석과 디딤돌이 남아있고 북, 서쪽은 1개의 계단석과 디딤돌이 남아 있었다. 2. 조사내용 가. 동편시굴구 남북방향의 배수관을 확인하였고 디딤돌 앞부분 바닥층에서는 ‘78년 조사된 지내력시험구멍과 지반조사시 굴착한 구멍이 확인되었다. 나. 서편시굴구 폭 45㎝의 할석으로 축조된 남북방향의 배수시설이 확인되었다. 다. 북편시굴구 할석으로 축조된 동서방향의 석렬이 확인되었고 시굴구 남·서벽의 모서리와 동벽에서는 140㎝ 깊이의 굴착된 흔적이 있으며 지표아래 100㎝ 아래에서 심하게 마모된 고식평기와편 2점과 토기에 부착되었던 횡대(橫帶) 손잡이 1점이 반출(伴出)되었다. 평기와편은 갈색(褐色)으로 정선된 태토(胎土)이며 마포문(麻布紋)은 확인할 수 없으나 후면에서 내부 방향으로 와도(瓦刀)처리된 흔적이 남아있었다. 그리고 토기 손잡이는 길이 11㎝, 폭 3.8㎝ 크기이고 표면에는 사선타날문(線打捺紋)이 시문(施文)되어 있었다. 라. 남편시굴구 내 하부토층조사와 기단 내 토층조사 한 변 길이가 130㎝이고 두께 44㎝인 방형 초반석과 초석적심석이 함께 일부만 남아 있다. 그리고 5단의 할석이 20㎝간격으로 확인되었고 할석의 맨 위층은 철정이 출토되었는데 정의 머리가 폭이 1.9㎝이고 길이가 9㎝이다. 마. 조사를 통한 확인 내용 석재 및 구덩이가 남변 조사시 기단에서 남으로 13.9m까지 나타나있는데 탑을 축조하기 위한 보조시설로 추정된다. 기단조성 방법은 점토 및 마사토로 다짐을 하고 70~80㎝의 외부에서 안쪽으로 경사지게 굴토하여 되파기를 하였다. 그리고 5단의 할석층을 황갈색 점토와 마사토로 다져 1m높이로 조성하며 황갈색점토와 쇄석(碎石)으로 30㎝정도 다짐하여 초반석 올린 것으로 보인다. 북편조사시 확인된 굴착부분은 탑의 축조시기보다 후대인 것으로 추정하나 용도 및 성격을 알 수 없었다.

이미지
전체 520개 | 페이지 (1/65)
도면
- 동탑지하부 토층도 VIEWER 보기
- 동탑 동북편 기단 내외부 VIEWER 보기
- 동탑 서북측 기단 내외부 VIEWER 보기
- 남북 탐색 Tr.내 동탑 암거 시설 VIEWER 보기
- 석렬 유구 VIEWER 보기
- 동탑 동편 암거 유적 VIEWER 보기
- 동탑지 남편 기단부 VIEWER 보기
- 동탑지 동북편 기단내 VIEWER 보기
- 동탑지 남편 유구 VIEWER 보기
- 동탑 동남편 모서리 기단내외부 VIEWER 보기
- 동탑 동남편 모서리 기단내외부 VIEWER 보기
- 동탑 서편 암거 시설 VIEWER 보기
- 석렬 유구 VIEWER 보기
- 남북 탐색 Tr.내 유구(추정 석탑 유구) VIEWER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