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정사반자(修定寺飯子)
- 시대
- 고려
- 연대
- 1240년(고종 27)
- 크기
- 지름 44.0cm, 너비 10.0cm, 글자크기 2.0cm
- 소재지
- 경기도 용인시 처인구 포곡읍 가실리 산12-8 호암미술관
- 서체
- 미상
- 찬자 /각자 /서자
- 미상 / 미상 / 미상
- 지정사항
- 비지정유산
- 연구정보
개관
일반적인 형태의 고려시대 청동금고(靑銅金鼓)이다. 금고는 금구(金口), 금구(禁口), 반자(盤子, 飯子, 般子, 鉡子), 판자(判子) 등 다양한 명칭으로 불렸다. 표면에 연꽃무늬와 구름무늬가 있고, 둘레에 매달기 위한 양이(兩耳)가 달려 있다. 명문에는 경자년(更子年 : 1240) 12월 혜균(惠均)·혜령(惠玲) 등이 발원하여 수정사(修定寺)의 반자를 제작하였음을 기록하고 있다.
판독문/해석문
전체 3개
해석문 | 오영선 | ||
판독문 | 허흥식 | ||
판독문 | 허흥식(연구팀수정) |
참고문헌
전체 5개 / 페이지 ( 1 / 1 )
논문 | 2004 | 崔應天, 2004, 「高麗後期의 金屬工藝」『講座美術史』22, 한국불교미술사학회 |
단행본 | 1999 | 黃壽永, 1999, 『黃壽永全集 4(금석유문)』, 혜안 |
논문 | 1986 | 沈奉謹, 1986,「고려 佛具의 分析-靑銅飯子를 中心으로- 」『石堂論叢』11 |
논문 | 1986 | 沈奉謹, 1986, 「高麗靑銅盤子硏究」『고고역사학지』2, 東亞大學校博物館 |
단행본 | 1984 | 許興植, 1984, 『韓國金石全文』中世下, 亞細亞文化社 |
만족도조사
유용한 정보가 되셨나요?
- 담당부서 : 미술문화유산연구실
- 문의 : 042-860-919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