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주가흥리암각화(榮州可興里岩刻畵)
- 시대
- 청동기
- 연대
- 청동기/철기
- 유형
- 석각
- 크기
- 높이 1∼1.5m, 너비 4.5m
- 소재지
- 경상북도 영주시 가흥동 264-2
- 지정사항
- 시도유형문화유산
- 연구정보
개관
가흥리 암각화는 가흥리 마애삼존불상이 있는 바위의 10m 아래에 새겨 놓았는데, 높이 1∼1.5m, 너비 4.5m로, 청동기 시대에 새긴 것이다. 청동 도구로 쪼아서 새기는 방법을 사용하여 3∼5개의 선을 옆으로 연결하였는데, 그 의미는 아직 알 수 없다. 이러한 수법은 고령 양전동, 울산 천전리 바위그림과 비슷하다.
판독문/해석문
전체 0개
판독문/해석문이 없습니다. |
참고문헌
전체 11개 / 페이지 ( 1 / 2 )
논문 | 2001 | 이상목, 2001, 「岩刻畵 유적의 조사방법에 대한 연구사적 고찰」『울산연구』3, 蔚山大 博物館 |
논문 | 2001 | 張明洙, 2001, 『韓國岩刻畵의 文化相에 대한 硏究 -신앙의 전개양상을 중심으로-』, 仁荷大學校 大學院 史學科 博士學位論文 |
논문 | 2000 | 박정근, 2000, 「한국의 암각화 연구 성과와 문제점」『先史와 古代』15, 韓國古代學會 |
논문 | 2000 | 張明洙, 2000, 「岩刻畵를 통해서 본 우리 나라 先史人들의 信仰 思惟」『韓國岩刻畵硏究』창간호, 韓國岩刻畵學會 |
논문 | 2000 | 張明洙, 2000, 「韓國 岩刻畵의 類型과 特性」『學藝硏究』창간호, 國民大學校 博物館 |
단행본 | 1999 | 임세권, 1999, 『한국의 암각화』, 대원사 |
논문 | 1997 | 金貞培, 1997, 「東北亞 속의 韓國의 岩刻畵」『韓國史硏究』99·100, 韓國史硏究會 |
단행본 | 1996 | 한국역사민속학회, 1996, 『한국의 암각화』, 한길사 |
논문 | 1994 | 임세권, 1994, 「先史時代 韓國과 中國의 岩刻畵 比較 硏究」『美術史學硏究』204, 한국미술사학회 |
논문 | 1992 | 張明洙, 1992, 「榮洲 可興洞岩刻畵와 防牌文岩刻畵의 性格 考察」『擇窩許善道先生停年紀念 韓國史學論叢』 |
만족도조사
유용한 정보가 되셨나요?
- 담당부서 : 미술문화유산연구실
- 문의 : 042-860-919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