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전팔번화상경(隅田八幡畵像鏡)
- 시대
- 백제
- 연대
- 5세기 후반 추정
- 유형
- 금석기명
- 크기
- 지름 20.0cm
- 소재지
- 화가산현(和歌山縣) 교본시(橋本市) 우전팔번신사(隅田八幡神社)
- 서체
- 미상
- 찬자 /각자 /서자
- 미상 / 미상 / 미상
- 지정사항
- 비지정유산
- 연구정보
개관
일본 화가산현(和歌山縣) 교본시(橋本市)에 있는 고분에서 출토되었다. 송수(頌壽)의 악(樂)을 연주하는 악(樂人)의 무리와 함께 동왕부(東王父) 서왕모(西王母)의 상(像)을 표현한 중국 후한대(後漢代) 인물화상경(人物畵像鏡)의 형식을 모방한 방제경(倣製鏡)이다. 내연외측(內緣外側)의 명대(銘帶)에 48자의 명문이 있는데 뒤집혀진 문자[반전문자(反轉文字)]가 많으며 문자의 크기는 일정치 않다. 문장은 일본식 한문체이며 한자음을 차용하여 일본어를 나타냈다. 양질(良質)의 동(銅)을 사용해서 만든 비교적 큰 거울이지만 그 만든 방식은 조잡하고 오자(誤字)나 자획(字劃)의 배열에 의문이 있는 글자가 많기 때문에 제작자는 주형(鑄型) 제작 경험이 부족하고 한자 사용에 익숙치 않은 듯하다. 거울의 지름은(徑) 20cm이며 제작연대는 명문에 나오는 계미년에 근거하여 433년, 503년, 563년으로 보는 여러 견해가 있으나 ‘斯麻’라는 표현 등을 볼 때 5세기 후반을 크게 벗어나지 않을 것이다. 현재 교본시(橋本市)의 우전팔번신사(隅田八幡神社)에 소장되어 있다.
판독문/해석문
전체 2개
해석문 | 김영심 | ||
판독문 | 김영심 |
참고문헌
전체 11개 / 페이지 ( 1 / 2 )
단행본 | 2002 | 『한국고대금석문종합색인』 |
논문 | 2002 | 張八鉉, 2002, 「隅田八幡鏡 銘文에 대한 새로운 考察」 『百濟硏究』35, 忠南大 百濟硏究所 |
논문 | 2000 | 文暻鉉, 2000, 「百濟 武寧王의 出自에 대하여」 『史學硏究』 第60號, 韓國史學會 |
단행본 | 1995 | 國史編纂委員會, 1995, 『韓國古代金石文資料集』Ⅰ, 國史編纂委員會 |
단행본 | 1994 | 蘇鎭轍, 1994, 『金石文으로본 百濟武寧王의 世界』, 圓光大學校出版局 |
논문 | 1994 | 소진철, 1994, 「일본국보 隅田八幡神社所藏 人物畵像鏡의 銘文을 보고」 『圓大論文集』 제28집, 원광대학교 사회과학대학 |
논문 | 1994 | 金在鵬, 1994, 「熊津時代史硏究 序說」『熊津文化』7, 공주향토문화연구회 |
단행본 | 1992 | 韓國古代社會硏究所 編, 1992, 『譯註 韓國古代金石文』Ⅰ, 駕洛國史蹟開發硏究院 |
논문 | 1991 | 蘇鎭轍, 1991, 「日本國 國寶 ‘隅田八幡神社 所藏 人物畵像鏡’의 碑文을 보고-서기 503년 8월 10일 百濟 武寧王(斯麻)은 ‘大王年’대를 쓰고 繼體天皇을 ‘男弟王’으로 부르다-」『朴成壽敎授華甲紀念論叢--韓國獨立運動史의 認識-』 |
논문 | 1988 | 金在鵬, 1988, 「무녕왕과 隅田八幡畵像鏡」 『손보기박사정년기념한국사학논총』 |
만족도조사
유용한 정보가 되셨나요?
- 담당부서 : 미술문화유산연구실
- 문의 : 042-860-919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