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리공사별 목록
명칭 고성육송정홍교     
문화유산유형 유적.건조물-다리 [ 석조-석교 ]
소재지 강원도 고성군 간성읍 해상리 1041 [ 강원도 ]
공사명 홍교 해체보수 및 석축정비
공사기간 2005-10-13 ~ 2006-06-29
공사유형 부분해체수리 [ 부분 해체수리 ]
시행처 고성군청
시공사 장원건설㈜
보고서 2004년 2005년 문화재수리보고서
공사내용 가.사업지침
。변형 및 훼손되어 현재 해체되어 있는 육송정 홍교를 관계전문가의 자문을 받아 원형을 찾아 보수한다.
。육송정 홍교 수리과정을 기록하여 보고서를 발간한다.
나.공사내용
。홍예툴 설치공사
-계곡물의 증가에 따른 문제점등을 사전에 예방하기 위하여 구조가 단순하고 견고한 철골구조로 시공
。홍예석 조립공사
-홍예석 조립
·홍예석 조립 시 가장 중요한 부분이 곡률을 결정하는 것인데,흉예의 곡률은 2003년 현황 조사 시에는 원의 중심에서 홍예종석 하부 면까지의 반지름이 4,165mm였으나,금번 보수공사에서는 홍예 종석의 위치를 중앙열에 맞추고,홍예석 일부가 교체됨에 따라,기존 홍예 종석의 위치에서 140mm정도 들어 올려 곡률을 다시 잡았다.이에 따라 곡률이 4.025mm로 기존 현황보다 140mm정도 줄었으며 원의 중심점도 280mm올라가게 변경되었다.
-면석 설치
·기존의 석재의 크기가 너무 작은 관계로 홍예석과 비슷하거나 약간 작은 크기인 300×500x600mm내외의 석재를 사용하였다.
-갑석 설치
·기존 현황에는 최상부면이 자연석 면석을 2~3단 쌓아 올린 후 바닥을 목교로 마감 하였으나,금번 보수공사에서는 앞서 설명한 것과 같이 홍예종석 면에 맞추어 갑석으로 마감하기로 하였다.갑석의 크기는 폭이 400mm이고,높이는 하부 면석에 따라 그랭이질을 하였기 때문에 일정치 않으며,길이는 500~1,200mm까지 장방형의 다양한 형태의 것을 사용하였다.
바닥
·바닥면에는 갑석 안쪽으로 진흙다짐을 100mm정도 하여 마감 하였으며,중앙을 중심으로 동 ·서측면 방향으로는 10%,남 ·북측면 방향으로는 3%의 경사를 주어 자연스러운 배수 물매가 되도록 하였다.
。석축공사
-현재 홍교의 남서 측면에는 2003년 보수공사 시 석축 공사가 이루어져 잘 정리된 상태이지만,반대편은 상류에서 흐르는 계곡물에 의해 법사면의 토사가 계속해서 유실되고 있는 상태이다.동측면 홍예면에서 22m까지는 암반이기 때문에 그 이후 구간부터 공사
를 실시하였다.
。잔디식재공사
-동 ·서측면의 경사면과 상부 바닥면,석축공사 한 상부면에 잔디를 식재하였는데,평지에는 평떼,경사면에는 줄떼를 식재하였다.
공사관계자 1.공사감독관 :황광율(고성군청 문화관광과 전문위원)
2.설계 및 감리자 :장순용([주]삼성건축사사무소 대표)
3.현장대리인:함승해(보수기술자 제281호)
4.현장부장:이응부(장원건설[주]부장)
5.석공:박문선(드잡이공 제342호)
6.보존처리:엔가드(문화재 보존 과학업체)

국립문화유산연구원 이(가) 개방한 고성육송정홍교 저작물은 공공누리 제 1유형 출처표시 조건에 따라 이용할수 있습니다

만족도 조사
유용한 정보가 되셨나요?
  • 담당부서 : 건축문화유산연구실
  • 문의 : 042-860-925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