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리공사별 목록
명칭 함평 고막천 석교     
문화유산유형 유적.건조물-다리 [ 석조-석교 ]
소재지 전라남도 함평군 학교면 고막리 629 [ 전라남도 ]
공사명 고막천석교 정비 안내판 설치
공사기간 2013-03-01 ~ 2013-03-29
공사유형 부분해체수리 [ 부분 해체수리 ]
시행처 함평군
시공사 ㈜한듬문화재
보고서 2010년 2012년 문화재수리보고서 국가지정문화재[국보·보물]
공사내용 가.사업지침
ㅇ 관계전문가의 자문을 받아 훼손된 석교를 보수한다.
ㅇ 문화재청 안내판 가이드라인에 따라 안내판을 정비한다.
ㅇ 보전 처리 전 상태기록 및 사진촬영 등 예비조사
ㅇ 석교 표면의 먼지 및 이물질에 대한 건식,습식세척 작업
ㅇ 지의류 및 이물질 제거 후 석재표면 건조 작업
ㅇ 열화된 석재표면 강화처리작업
ㅇ 석교주변 보존환경 조성
ㅇ 처리과정 및 전후 상태기록 및 사진촬영을 통한 보존처리 보고서 제작
나.사업내용
1)정밀 상태조사
- 함평 고막천 석교는 목조가구식을 석조형태로 바꾼 우리나라에서 보기 드문 돌로만든 다리로 고막천을 동서로 가로지르고 있다.마치 나무를 베어내듯 자유롭게 돌을 자르고 짜 맞춘 솜씨가 돋보이는 이 다리는 물이 잘 넘치는 고막천의 물살을 7백년 동안 이나 버틸 정도로 견고하게 만들어졌다.
- 오랜 세월에 따른 풍화로 인해 석교의 표면이 취약해져 있는 상태이고,일부 석재에서는 박리,박락 현상이 나타나고 있으며 이러한 손상부는 점차 확대되고 있다.또한 일부 석재에서는 균열이 발생한 것을 확인 할 수 있는데,이는 하중이나 충격에 의한 균열보다는 오랜 시간에 걸쳐 석재가 풍화되어 나타나는 현상이거나 암질의 구조적 특성에 따라 발달된 절리성 균열인 것으로 판단된다.
2)예비실험
- 보존처리에 사용되는 방법들이 고막천 석교에 적용 가능한지 확인하기 위해 예비실험을 실시하였다.판석의 일부에 구역을 설정한 후,건식세척,습식세척,살생물제 도포,발수경화제 도포 순으로 예비실험을 실시하고,3일간 양생한 후 경과를 지켜보았다.
3)건식,습식세척
- 건식세척은 습식세척 전에 이루어지는 사전세정의 단계로 부드러운 솔과 대나무칼과 같은 죽재 소도구를 이용하여 석재표면의 먼지를 비롯한 이물질 등을 제거하는 것이다.
- 습식세척은 건식세척을 통해서 제거되지 않는 지의류 및 이끼류 등과 비교적 강하게 고착되어진 이물질에 대해 습식세척을 실시하였다.
4)살생물제 도포
- 공사에 사용된 살생물제는 Koretrel(동해상사,일본)이다.살생물제는 정밀분사기에 담아 석교 표면과 측면,하부에 고르게 분문하였다.
5)발수경화제 도포
- 살생물제 도포가 끝나고 완전히 건조된 후에 발수경화제를 분사하였다.발수경화제는 Silres BS OH-100(Waker,독일)을 사용하였다.고막천 석교의 경우 석재의 표면에 박리,박락 현상이 나타나 강도가 저하된 것으로 판된되어 강화제를 사용하여 공극률을 감소시켜,석재의 기계적 풍화에 대한 저항력을 향상시켜주도록 하였다.
공사관계자 1.현장대리인:보존과학기술자 제1271호 나원주
2.기능자:보존과학기능자 제5485호 김경주

국립문화유산연구원 이(가) 개방한 함평 고막천 석교 저작물은 공공누리 제 1유형 출처표시 조건에 따라 이용할수 있습니다

만족도 조사
유용한 정보가 되셨나요?
  • 담당부서 : 건축문화유산연구실
  • 문의 : 042-860-925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