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리공사별 목록
명칭 영암 도갑사 해탈문     
문화유산유형 유적.건조물-원불교
소재지 전라남도 영암군 군서면 도갑리 8 [ 전라남도 ]
공사명 수리보고서 발간
공사기간 ~
공사유형 부분해체수리 [ 부분 해체수리 ]
시행처 영암군청
시공사 ㈜유심건설
보고서 2010년 2012년 문화재수리보고서 국가지정문화재[국보·보물]
공사내용 가.사업지침
ㅇ 관계전문가의 자문을 받아 도갑사해탈문 수리보고서를 발간한다.
나.사업내용
1)공통가설공사
- 강관쌍줄비계를 설치한다.
- 공사장 외부비계 정면 2.0m,좌우측면 각 1.0m 정도 떨어져 안전띠를 설치하여 건물 관리인이나 관람객의 안전을 도모하였다.
- 공사장외부 강관 파이프를 사용하여 강관 비계 처마 길이에 맞추어 지붕 끝에서 15cm정도 떨어져 설치하였다.
2)목공사
ㅇ 목재
- 금회공사는 중요 목조문화재에 대한 보수로 지붕해체 후 부식현황을 조사하고,해체 범위 및 보수방안에 대하여 관계전문가의 자문을 받아 추진하고,참여 기술자 및 기능자는 경험과 능력이 우수한 자가 참여하도록 하였다.
- 목재는 육송을 사용하는 것을 원칙으로 하되,구하기 어려운 부재는 담당관의 협의 후 진행하였다.
- 수직으로 설치되는 목재의 경우,생장하였던 방향과 같은 방향으로 설치하되,옹이,결 등 외관적 요소는 담당관과 협의하여 조정하도록 하였다.
- 모접기의 모양은 보통 45도,평모,둥근모로 하였다.
- 평고대,연암은 가능한 단일부재로 사용한다.
ㅇ 철물(보강재)- 특히,추녀와 고주의 결구부에는 관계자와의 검토 후,충분한 보강 철물을 사용하도록 하였다.
- 전통의 철물을 사용하되,현대적인 계량형의 철물을 사용할 시에는 담당관과 협의하여 사용하도록 하였다.
3)지붕공사
ㅇ 지붕의 형태
- 지붕기와 교체는 향후 유지관리를 위해 암,수키와는 충분히 교체하되(장식기와는 최대한 재활용),기존 기와 중 잘 남아있는 구와의 문양을 확인하여 원 문양대로 기와를 제작 보충 하도록 하였다.
- 건물은 맞배지붕으로 구성하였다.
- 기와 잇기 후 용마루곡,내림마루곡,기와곡 등을 설계도서와 동일하게 설치하되,보토 및 강회다짐은 지붕 하중과 지붕의 물매를 고려하여 담당관의 입회하에 결정하여 시공하였다.
- 염목을 설치 후 개판 잇기 한다.
- 처마 끝부분에는 막새로 마감하였다.
ㅇ 기와 구입물량(해탈문): 전통한식기와 중와
4)수장 및 미장공사
ㅇ 전통방식의 형태와 기법대로 흙벽 및 회사마감,고막이,내부마감 등을 시공하였다.
- 시공자는 흙벽의 건조와 수축으로 인한 외풍이나 내구성저하에 대한 상세한 시공계획을 수립하여 감독관과 협의하여 시공하였다.
공사관계자 1.공사감독:영암군청 건축주사 문성수
2.현장대리인:보수기술자 제400호 강희근
3.목공편수:한식목공 제3407호 최성창
4.와공편수:무형문화재 번와장 제121호 이금복
5.미장편수:한식미장공 제4273호 권동길
6.기와제작:동부요업㈜
7.철물제작:신광철공소
8.목재훈증:㈜해성문화재보존
9.자문위원:문화재위원 김동현,문화재위원 윤홍로,조선대 건축학부 교수·문화재전문위원 박강철,전남대 건축학부 교수·문화재전문위원 천득염

국립문화유산연구원 이(가) 개방한 영암 도갑사 해탈문 저작물은 공공누리 제 1유형 출처표시 조건에 따라 이용할수 있습니다

만족도 조사
유용한 정보가 되셨나요?
  • 담당부서 : 건축문화유산연구실
  • 문의 : 042-860-925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