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리공사별 목록
명칭 남원 개령암지 마애불상군     
문화유산유형 유물-석조
소재지 전라북도 남원시 산내면 덕동리 산 215 [ 전라북도 ]
공사명 안전진단,보존처리,잡목제거
공사기간 2010-12-01 ~ 2011-09-03
공사유형 부분해체수리 [ 부분 해체수리 ]
시행처 남원시청
시공사 한림보존테크
보고서 2010년 2012년 문화재수리보고서 국가지정문화재[국보·보물]
공사내용 가.사업지침
ㅇ 관계전문가의 자문을 받아 마애불상군 보존처리,잡목제거 등을 실시한다.
ㅇ 마애불상군 주변 계단 및 배수로 설치공사
나.사업내용
1)가설비계 설치
- 마애불상군 주변에 자생하고 있는 초본·목본식물 제거 및 표면 세척작업을 원활하게 하기 위하여 가설비계를 설치하였다.
2)암석 상태조사
-가설비계 설치 후 마애불상군의 암석 상태를 확인하기 위해 상태조사를 실시하였다.상태조사는 육안으로 조사를 진행하였으며 암석의 절리 또는 수목이 생장하고 있는 부위를 집중적으로 확인하였다.거의 대부분의 부위에서 절리 된 암석이 침하 과정이 진행 중에 있으며 일부는 박락되었다.
-마애불상군의 표면은 대부분 이끼로 덮여 있으며 일부에서 엽상지의류 및 고착지의류의 서식을 확인하였다.암석의 절리면을 따라 초본식물 및 목본식물이 서식하고 있으며 목본식물의 뿌리는 암석 내부에 침투되었다.
3)수목제거 작업
- 마애불상군 절리면과 토양이 침척된 부위에 자생하고 있는 초본식물 및 목본식물에 대한 제거 작업을 실시하였다.이들 수목에 대한 제거는 조경용 도구를 사용하여 뿌리 상부까지 절단하였으며 절단된 면에는 소형 드릴을 사용하여 형성층에 천공을 실시한 후 천공부에 생장억제제를 주입 또는 도포법으로 처리를 실시하였다.
4)세척작업
- 마애불상군의 표면에 서식하고 있는 이끼 및 지의류에 대한 제거를 실시하기 위하여 1차적으로 대나무 헤라 등을 사용하여 제거하였다.세척은 효과를 최대화하기 위하여 세척 전에 분무기를 이용하여 세척 마애불상군 표면에 충분한 증류수를 분무하여 불려 부드러운 솔을 이용하여 세척작업을 수차례 반복하며 실시하였다.
- 또한 경우에 따라 현장상황에 맞게 제작한 대나무 헤라로 오염물을 제거하는 과정을 수차례 반복하여 진행하였다.
5)데크 전망대 및 보호울타리 설치
- 기존의 배수로는 등산객들의 유입을 유도하고 마애불상군 주변 환경을 교란시킬 수 있다는 의견이 제시되어 마애불상군의 보존 및 관리를 위한 새로운 관림시설 및 등산객들의 진입을 방지하기 위하여 데크 전망대 및 보호울타리를 설치하기로 하였다.
공사관계자 1.공사감독:남원시청 문화관광과 권일근
2.현장대리인:보존과학기술자 제663호 한성희
3.자문위원:한국전통문화학교 보존과학과 교수 정광용,공주대 문화재보존과학과 교수·문화재청 문화재전문위원 이찬희
4.보존처리 연구진:
한림보존테크 대표,보존처리 기술지도 한성희
한림보존테크 연구원,보존처리 담당 김성수
한림보존테크 연구원,보존처리 담당 진병혁
한림보존테크 연구원,보고서 담당 정재훈

국립문화유산연구원 이(가) 개방한 남원 개령암지 마애불상군 저작물은 공공누리 제 1유형 출처표시 조건에 따라 이용할수 있습니다

만족도 조사
유용한 정보가 되셨나요?
  • 담당부서 : 건축문화유산연구실
  • 문의 : 042-860-925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