명칭 | 개국원종공신녹권 |
---|---|
문화유산유형 | 문헌류-교령류 |
소재지 | 부산광역시 서구 동대신동3가 1 동아대학교박물관 [ 부산광역시 ] |
공사명 | 복원보수 |
공사기간 | 2001-12-14 ~ 2002-11-19 |
공사유형 | 부분해체수리 [ 부분 해체수리 ] |
시행처 | 부산광역시 서구 |
시공사 | 정재문화재보존연구소 |
보고서 | 국가지정 2001년도 문화재수리보고서 |
공사내용 |
가.사업지침 ㅇ 개국원종공신녹권을 표구·복원하여 보수를 한다. ㅇ 표구·복원 보수는 관계전문가의 자문을 받아 시행한다. ㅇ 수리 전·후 사진을 수록한 수리보고서를 제출한다. 나.공사내용 ㅇ 조사 및 사진촬영 - 보전처리 전 규격,재질조사,손상상태 등을 파악하여 기록하였다. - 보존처리 전의 상태를 사진촬영하였다. ㅇ 해체 - 작업이 들어가기 전 병풍상태에 있는 유물을 떼어내고 본지와 표장 비단을 분리시켰다. ㅇ 건식 크리닝 - 표면의 먼지 등을 가볍게 붓으로 털어 주었다. ㅇ 구배접지 제거 - 본지 앞 부분을 보강지로 대어주고,화면에 붙어있는 구배접지를 제거하였다. ㅇ 습식 크리닝 - 자수의 염료의 번짐을 시험한 후,여과수를 위에서 조심스럽게 스프레이하여 더러움을 제거하였다. ㅇ Facing - 화견의 결실부를 보견하기 위하여 화면을 보호하기 위한 임시 배접인 Facing을 하였다. - Facing에 사용되는 풀은 물에 쉽게 용해되는 우묵가사리풀이다. ㅇ 구배접지 1차 제거 - 최소한의 수분을 이용하여 그림면이 접착되어 있는 1차 배접지를 제거하였다. ㅇ 보견 - 화면의 결실부에 본지 비단과 비슷한 비단으로 메꾸어 주었다. ㅇ 1차 배접 - 보견 과정이 끝난 뒤,Facing한 것을 여과수를 사용하여 제거하였다 - 배접지는 양질의 닥종이를 오리나무로 자연염색하여 사용하고,소맥전분 새풀을 사용하여 배접하였다. ㅇ 보채 - 보견된 부분에 채색을 하여 전체 분위기를 맞추고 결실부분으로 인하여 그림의 전체 분위기가 깨지지 않을 정도로만 채색하였다. ㅇ 2차 배접 - 2차 배접지는 양질의 닥지를 염색하지 않고 그대로 사용하였으며,1차 배접지와는 결을 반대로 하였다. ㅇ 건조 - 2차 배접 후 건조판에 건조시켰다. ㅇ 속틀 준비 - 병풍 속틀을 8겹 정도로 여러 번 발라주었다. ㅇ 표장비단 준비 - 표장비단을 준비하였다. ㅇ 병풍으로 표장 - 조선식 전통 병풍으로 꾸며주었다. ㅇ 보관 - 오동나무 상자에 보관하였다. |
공사관계자 |
1.설계자:정재문화재보존연구소 2.설계검토자:문화재청 학예연구사 노명구 3.현장대리인:문화재수리기능자 표구공 제1504호 박지선 4.공사감독관:부산광역시 서구청 사공영권 5.준공검사자:부산광역시 서구청 사공영권 |
만족도 조사
유용한 정보가 되셨나요?
- 담당부서 : 건축문화유산연구실
- 문의 : 042-860-925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