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리공사별 목록
명칭 개국원종공신녹권     
문화유산유형 문헌류-교령류
소재지 부산광역시 서구 동대신동3가 1 동아대학교박물관 [ 부산광역시 ]
공사명 복원보수
공사기간 2001-12-14 ~ 2002-11-19
공사유형 부분해체수리 [ 부분 해체수리 ]
시행처 부산광역시 서구
시공사 정재문화재보존연구소
보고서 국가지정 2001년도 문화재수리보고서
공사내용 가.사업지침
ㅇ 개국원종공신녹권을 표구·복원하여 보수를 한다.
ㅇ 표구·복원 보수는 관계전문가의 자문을 받아 시행한다.
ㅇ 수리 전·후 사진을 수록한 수리보고서를 제출한다.
나.공사내용
ㅇ 조사 및 사진촬영
- 보전처리 전 규격,재질조사,손상상태 등을 파악하여 기록하였다.
- 보존처리 전의 상태를 사진촬영하였다.
ㅇ 해체
- 작업이 들어가기 전 병풍상태에 있는 유물을 떼어내고 본지와 표장 비단을 분리시켰다.
ㅇ 건식 크리닝
- 표면의 먼지 등을 가볍게 붓으로 털어 주었다.
ㅇ 구배접지 제거
- 본지 앞 부분을 보강지로 대어주고,화면에 붙어있는 구배접지를 제거하였다.
ㅇ 습식 크리닝
- 자수의 염료의 번짐을 시험한 후,여과수를 위에서 조심스럽게 스프레이하여 더러움을 제거하였다.
ㅇ Facing
- 화견의 결실부를 보견하기 위하여 화면을 보호하기 위한 임시 배접인 Facing을 하였다.
- Facing에 사용되는 풀은 물에 쉽게 용해되는 우묵가사리풀이다.
ㅇ 구배접지 1차 제거
- 최소한의 수분을 이용하여 그림면이 접착되어 있는 1차 배접지를 제거하였다.
ㅇ 보견
- 화면의 결실부에 본지 비단과 비슷한 비단으로 메꾸어 주었다.
ㅇ 1차 배접
- 보견 과정이 끝난 뒤,Facing한 것을 여과수를 사용하여 제거하였다
- 배접지는 양질의 닥종이를 오리나무로 자연염색하여 사용하고,소맥전분 새풀을 사용하여 배접하였다.
ㅇ 보채
- 보견된 부분에 채색을 하여 전체 분위기를 맞추고 결실부분으로 인하여 그림의 전체 분위기가 깨지지 않을 정도로만 채색하였다.
ㅇ 2차 배접
- 2차 배접지는 양질의 닥지를 염색하지 않고 그대로 사용하였으며,1차 배접지와는 결을 반대로 하였다.
ㅇ 건조
- 2차 배접 후 건조판에 건조시켰다.
ㅇ 속틀 준비
- 병풍 속틀을 8겹 정도로 여러 번 발라주었다.
ㅇ 표장비단 준비
- 표장비단을 준비하였다.
ㅇ 병풍으로 표장
- 조선식 전통 병풍으로 꾸며주었다.
ㅇ 보관
- 오동나무 상자에 보관하였다.
공사관계자 1.설계자:정재문화재보존연구소
2.설계검토자:문화재청 학예연구사 노명구
3.현장대리인:문화재수리기능자 표구공 제1504호 박지선
4.공사감독관:부산광역시 서구청 사공영권
5.준공검사자:부산광역시 서구청 사공영권

국립문화유산연구원 이(가) 개방한 개국원종공신녹권 저작물은 공공누리 제 1유형 출처표시 조건에 따라 이용할수 있습니다

만족도 조사
유용한 정보가 되셨나요?
  • 담당부서 : 건축문화유산연구실
  • 문의 : 042-860-925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