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리공사별 목록
명칭 당진 안국사지 석조여래삼존입상     
문화유산유형 유물-석조
소재지 충청남도 당진군 정미면 수당리 687-1 [ 층청남도 ]
공사명 석불,석탑 보존처리,석불좌대노출
공사기간 2011-07-05 ~ 2011-11-28
공사유형 부분해체수리 [ 부분 해체수리 ]
시행처 당진군청
시공사 인디고문화재그룹
보고서 2010년 2012년 문화재수리보고서 국가지정문화재[국보·보물]
공사내용 가.사업지침
ㅇ 관계전문가 자문을 받아 석불 좌대 노출,석불 및 석탑 보존처리를 한다.
ㅇ 발굴조사 결과에 따른 정비계획을 수립한다.
ㅇ 좌대 노출에 따른 안전진단을 실시한다.
나.사업내용
1. 건식세척
- 석조여래삼존입상과 석탑 면 세정은 시방서에 명기된 방법으로 석재표면에 무리가 가지 않도록 대나무 헤라와 스틱,수술용 나이프,핀셋,양모필 솔을 사용하였으며 사용된 대나무스틱은 직접 깎아서 사용함으로써 현장의 상황에 맞게 대처하였다.
- 금솜인 나이프는 30도가 넘지 않는 각도에서 사용하여 석재표면이 드러나기 전까지만 사용하였으며,세정 중 발생한 지의류와 이끼류 및 이물질은 재오염이 되지 않도록 바로 청소를 하면서 세정에 임하였다.
2. 습식세척
- 건식세정으로 다 제거되지 않은 고착지의류와 이끼류가 자라서 토양화 시킨 표면을 면포와 미온(40도 내외)의 온수,스팀세척기를 병행하여 고착지의류를 부풀게 하였고,부드러운 칫솔과 대나무 스틱을 사용하여 적당히 문질러 주어 제거하였다.사용된 물은 증류수를 사용하여 지의류의 영양공급이 되지 않도록 차단하여 주었다.
3. 수지충진
- 본존불 우측면은 종이테이프,마스킹 테이프 등으로 보양하여 수지의 흐름이나 다른 곳의 오염을 방지하였고 우협시불과 좌협시불에는 면포를 깔아서 위에서 떨어지는 수지의 오염을 방지하였다.
- 수지의 처리는 변성실리콘계 수지인 L-30을 주재료로써 사용하여 충전제론 Talc Powder와 Granite Powder를 섞어 상황에 맞는 점섬을 만들어 사용하였다. 본 재료로만 충전하게 되면 수지의 원 색이 너무 밝기 때문에 안료를 혼합 원암과의 색과 비슷하게 만들어 사용하였다.
- 원암과 비슷한 크기로 수지처리로 질감처리가 마무리 되어도 약간의 시각적 차이가 있는 부분은 완전히 경화가 이루어진 후에 촛정을 사용하여 자연스럽게 다듬어 주었고,원 석탑과의 이질감은 아크릴 물감을 이용 고색처리를 실시하였다.
4. 강화처리
- 석조여래삼존입상에 대하여 강화처리를 실시하였는데 현재 풍화된 석재를 강화시키는데는 에칠실리케이트계가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왔으며 현재 가장 많이 사용하고 있는 보존처리용 석재 경화제는 Wacker사의 OH,OH100 및 H 3개의 제품이 있다. 자문회의 결과 옥외환경에 노출된 석조여래삼존입상의 보개 부분에 강화처리를 시공하도록 하여 Wacker사의 OH100으로 강화처리를 실시하였다.
공사관계자 1.공사감독:당진군청 문화체육과 지방시설주사보 백영진
2.현장대리인:문화재보존과학기술자 제1279호 정우혁
3.정밀안전진단:(재)한국건설품질연구원 연구책임자 이성민
4.자문의원:문화재위원 이경필,문화재위원 이왕기,문화재전문위원·목원대학교 교수 이훈,문화재전문위원·건국대학교 교수 한경순

국립문화유산연구원 이(가) 개방한 당진 안국사지 석조여래삼존입상 저작물은 공공누리 제 1유형 출처표시 조건에 따라 이용할수 있습니다

만족도 조사
유용한 정보가 되셨나요?
  • 담당부서 : 건축문화유산연구실
  • 문의 : 042-860-925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