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성 유적목록
유 적 개성첨성대(開城瞻星臺)
지정사항 국보유적 제131호
주 소 황해북도 개성특급시 송악동
유적설명 고려시대 천문관측을 위해 축조한 구조물로 고려궁성의 서쪽 가장자리에 위치한다. 고려초에 만들어진 것으로 추정되나 축조 시기는 명확하지는 않다. 현재 관측기구를 올렸을 것으로 추정되는 석재 구조물만 남아있는 상태이다. 화강암을 이용하여 축조된 석재 구조물은 5개의 사각형 초석礎石 위로 직사각형의 기둥을 세운 뒤 기둥의 상부에 장대석을 올려 구조물의 상부가 방형의 형태를 가진다. 장대석을 사용하여 방형으로 형성된 구조물 상부의 안쪽으로는 1매의 장대석을 중앙에 배치하여 2개의 공간으로 구분한 뒤 각각 3개의 석재를 이용하여 공간을 메워 구조물의 상부를 형성하였다. 구조물 상부의 가장자리는 장대석과 평행하도록 홈이 나 있는데, 작성된 도면 등으로 볼 때 6개가량의 원형홈도 확인된다. 개성 첨성대는 제37차 유네스코 세계유산 위원회에서 세계유산으로 등록되었다.
유적설명(영어) Kaesong Chomsongdae is an astronomical observatory located in the western periphery of Manwoldae. It is estimated that the observatory was constructed in the early Goryeo period, but the exact time of construction is unknown. What remains today is only the stone platform on which an observatory balloon was presumably established. Five stone columns are erected on foundation stones in the four corners and in the center, and four stone beams are put above the columns to make a square space on top. The square space is divided into two by a beam, and each space is filled with three stone beams respectively. Each of the four beams placed on the corners has a horizontal groove on the edge. According to its construction plan, there were six circle grooves as well. Kaesong Chomsongdae was inscribed on the World Heritage List at the 37th session of the World Heritage Committee in 2013.

국립문화유산연구원이(가) 개방한 개성첨성대(開城瞻星臺) 저작물은 공공누리 제 4유형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수 있습니다.

부가자료

만족도조사
유용한 정보가 되셨나요?
  • 담당부서 : 고고연구실
  • 문의 : 042-860-928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