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천 직지사 괘불도(金泉 直指寺 掛佛圖)
해제
화기
(좌측)
가경 7년 계해(1803) 5월 직지사 대웅보전에 봉안하였다.
嘉慶七年 癸亥五月日奉安于 直指寺大雄寳殿
불사에 참여한 사람들
緣化秩
불사가 바르게 진행되도록 살핀 묵암설봉, 진허두한, 계응섭인, 호봉설홍, 오봉치하, 청송치감, 도운수여, 비구형은
證師 黙庵說封 振虛㪷閑 桂應渉印 虎峰雪鴻 五峰致遐 青松致鑑 道雲守如 比丘衡恩
진언을 독송한 스님들
誦呪秩
비구임균, 비구유인, 탄정, 창순, 치언, 덕초, 등수, 유환
比丘任均 比丘有仁 綻㝎 暢順 致彦 德初 等修 有还
그림(괘불탱)을 그린 사람들
龍眼秩
우두머리 화원 제한, 위전, 탄잠, 부첨, 신화, 도연, 쾌월, 덕선, 덕문, 지열, 전헌, 원관, 조은
都𦘚 濟閑 偉傳 綻岑 富添 信和 嶌演 快月 德先 德文 志恱 典憲 願官 照隱
물품을 조달한 사람들
供飬主秩
우두머리 공양주 우행, 지수, 풍심, 덕천, 서윤, 맹열, 은잠, 쾌선, 일순, 임순, 정행, 목통신
首供 宇幸 智修 豊心 徳天 瑞允 孟恱 隱岑 快先 日順 任順 㝎幸 木通信
불사 비용을 마련한 스님들
化主秩
해운탄하, 나은부책, 회연영책, 완파영유, 진허의정, 퇴암하유, 경파포인, 벽파면문, 가선대부* 거영, 통정대부 계련, 통정대부 사신, 가선대부 창운, 통정대부 창숙, 가선대부 여환, 산인* 돈각, 산인 거성, 산인 수정, 산인 몽필, 산인 인탄, 산인 태년, 산인 척기, 산인 낙준, 산인 지현, 통정대부 사영, 통정대부 건인, 통정대부 달성, 통정대부 계성, 산인 의탄, 산인 지인, 산인 쾌인, 산인 탄윤, 산인 전명, 산인 궤한, 청신처사* 계원, 정심, 사미* 봉일, 청련, 성화, 홍련화
海雲坦河 懶隱扶冊 晦淵永冊 玩波永有 振虛意静 退岩賀瑜 鏡波包仁 碧波綿紋 嘉善*巨榮 通政啓蓮 通政思信 嘉善暢雲 通政暢淑 嘉善與還 山人頓覺 山人巨性 山人守㝎 山人夢弼 山人仁綻 山人太䄵 山人隻綺 山人樂俊 山人智絢 通政思榮 通政建仁 通政達性 通政戒性 山人義坦 山人智仁 山人快仁 山人綻允 山人典明 山人軌閑 淸信䖏士 戒元 㝎心 沙弥 奉日 淸蓮 性和 紅蓮花
내부인을 위한 공양간의 일을 감독한 산인 태년
內別佐山人 太䄵
외부인을 위한 공양간의 일을 감독한 통정대부 창숙
外別佐 通政暢淑
불사를 감독한 가선대부 거영
都監 嘉善巨榮
(우측)
불법을 전하며 대중으로부터 존숭을 받는 스님들
宗師秩
경월연오, 능암도홍, 환몽송눌, 혜봉지성, 월암천휘, 성허가홍, 산인 자원
鏡月演旿 凌庵道鴻 幻夢誦訥 慧峰芝性 月岩天暉 性虛可弘 山人自元
사찰 전체의 사무를 담당한 사람들
夲寺秩
당시 승통 계련
時僧統 啓蓮
이전에 사찰 소임을 맡았던 모유, 우준, 근찰, 환붕, 재철, 홍순, 쾌응, 계한, 희홍, 관복, 후탄, 계원
前啣募裕 前啣遇俊 近察 幻朋 哲 洪順 快應 戒閑 喜洪 官福 厚坦 戒元
불전 3곳의 향과 공양 등을 관리한 석담탁홍, 산인 태민, 산인 인우
三持殿 石潭托洪 山人太民 山人仁宇
사찰의 규율을 담당한 부엽
維那 富曄
사찰 사무에 관련된 서류를 만드는 소임을 맡은 산인 선익
記室 山人璇
관리와 운영을 담당한 세 직책을 맡은 보순, 건화, 재문
三綱 普順 建和 文
불화 그리는 곳에서 글씨 쓰는 소임을 맡은 장윤
化所書冩 莊玧
불교의식을 하는 스님들
魚山秩
수선, 승윤, 봉안, 민첨, 우주, 상우, 성우
修善 勝允 奉安 敏沾 宇柱 常佑 成宇
시주를 한 사람들
施主秩
채색 안료를 크게 시주한 월암중연
彩色大施主 月岩重演
바탕과 경비 마련을 위해 여러 사람들에게 시주를 권하여 모은 수정
波蕩引劝大施主 守㝎
불화의 뒷면에 붙여 바탕화면을 고정하는 종이나 천을 시주한 김모지리, 윤성재, 박춘기, 차귀업, 이후씨, 김상욱, 최창갑, 강춘성, 하도성, 비구니 설학, 비구니 법영, 이대암, 김귀철, 김선복, 김치복, 강문경, 강정윤, 순귀재, 박천대, 최봉태, 박차손, 박대위, 김용득, 성태영, 처사 이경심, 강시언, 김복개, 손계문, 김원록, 김원득, 신봉지, 문득천, 박성철
後排施主 金毛之伊 尹聖才 朴春起 車貴業 李後氏 金尙旭 崔唱甲 姜春成 河道性 尼雪學 尼法永 李大岩 金貴喆 金善福 金致福 姜文景 姜丁允 順貴才 朴千大 崔奉太 朴次孫 朴大位 金龍淂 成泰永 䖏士 李敬心 姜時彦 金福開 孫戒文 金元祿 金元淂 申奉之 文淂天 朴性喆
(중앙-시주기록)
(中央-施主記錄)
경성에서 시주를 하도록 권유하고 모은 대시주 곤명 을유생 상궁 최씨
亰城內引勤大施主 坤命 乙酉生 尙宮崔氏
화기 용어 해설
* 가선대부(嘉善大夫) 조선시대 종2품 문무관의 품계
* 산인(山人) 불교에서는 출가한 승려를 말함
* 청신처사(淸信處士) 불교를 믿는 남자 신자
* 사미(沙弥) 출가하여 정식 비구계를 받지 않은 남자 수행자
화기 번역 및 감수
이종수
- 담당부서 : 미술문화유산연구실
- 문의 : 042-860-919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