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주 남장사 영산회 괘불도(尙州 南長寺 靈山會 掛佛圖)
해제
화기
(우측)
건륭 53년 무신(1788) 4월 남장사에 봉안하였다.
(右側)
乾隆五十三年戊申四月日 奉安于南長寺
시주를 한 사람들
施主秩
크게 시주를 한 사람은 가선 비구 성학과 연추, 박시중과 박시중의 어머니 강씨, 서태일과 이씨 부부, 김세주와 이씨 부부, 비구 한주와 그의 아버지 가선대부 박여휘와 어머니 문씨 부부, 가선 최치중과 박씨 부부, 김성재와 김씨 부부, 가선 장석룡과 황씨 부부, 박문주와 김씨 부부, 여자인 을사생 장씨, 손상쾌, 통정 김산중, 박귀만, 비구 취옥, 박상순과 그의 아버지 가선 박기웅과 어머니 이씨 부부
大施主嘉善比丘省學 大施主嘉善比丘鍊秋大施主 朴時重 母 姜氏 大施主 徐泰日
李氏兩主 金世柱 李氏兩主 比丘漢主 父嘉善大夫 朴呂輝 母 文氏兩主
嘉善崔致重 朴氏兩主 金成才 金氏兩主 嘉善張碩龍 黃氏兩主 朴文柱 金氏兩主 坤命 乙巳生 張氏 孫爽快 通政金山重 朴貴萬 比丘取玉 朴尙淳 父 嘉善朴基雄 母 李氏兩主
괘불 고리를 시주한 황세재, 가선대부 비구 민현, 장산노미
錫環施主 黃世才 嘉善大夫 比丘旻玄 張山老味
사찰에 거주하고 있는 사람들
本寺秩
이전에 사찰 소임을 맡았던 가선 종은과 담유, 통정 관윤, 법순, 성삼
前啣* 嘉善宗訔 前啣 嘉善曇裕 前啣 通政冠允 前啣 通政法淳 前啣 通政性三
당시의 화상은 통정 보한, 통정 문습과 위책, 광선, 통정 관영과 한일, 돈주, 벽초, 환우, 환희, 평익, 제감, 유인, 여관, 보엽, 승휘, 각성, 행잠, 월탄, 근열, 제희, 홍언, 조홍, 세희, 승활, 만징
時和尙 通政普閑 通政文習 通政位策 廣先 通政 寬英 通政漢一 頓珠 碧初 煥宇 煥希 平益 濟鑑 有仁 女官 普曄 勝輝 覺性 行岑 月坦 謹悅 濟希 洪彦 祖弘 世希 勝活 萬澄
관리와 운영을 담당한 제숙과 계감
三綱 濟淑 戒甘
사찰의 사무에 관련된 서류를 만드는 소임을 맡은 일찬
記室 日䝺
불전의 향과 공양 등을 관리한 지연과 월성당관정
持殿 大智演 月城堂上管靚
(좌측)
불사에 참여한 사람들
緣化秩
불사가 바르게 진행되도록 살핀 스님들
證明法師
영파당성규, 남악당영오, 괄허당취여
影波堂聖奎 南岳堂愥晤 括虗堂取如
불전의 향과 공양 등을 관리한 극민
持殿 極旻
진언을 독송한 스님은 진화, 시경, 진명, 체보, 도징, 선진, 우식, 여운, 영원, 능인, 두정, 여환, 성밀, 재총, 극민, 서언, 덕홍, 순징, 쾌순, 열관, 이성, 성능, 계훈, 유징, 봉익, 의헌, 탈화, 유성, 우인, 유안
誦呪 進花 時敬 振明 体寶 道澄 善真 祐湜 呂雲 韺圎 能忍 斗定 如幻 性密 再聦 極愍 瑞彦 徳弘 順澄 快淳 說寬 利性 性能 戒訓 有澄 奉益 義軒 脫華 有誠 宇忍 有眼
그림을 그린 사람들
繪畫所秩
용봉당경환, 우두머리 화원 상겸, 계관, 해순, 서홍, 도정, 덕민, 성일, 영휘, 홍민, 덕민, 성윤, 쾌전, 법성, 유홍, 처협, 처홍, 처징
龍峯堂敬還 都畫師尙兼 戒寬 海淳 瑞洪 道浄 徳旻 性日 永輝 弘旻 徳敏 性允 快全 法成 有弘 䖏冾 䖏弘 䖏澄
상공* 채화, 성징, 취혜, 행초, 하공* 포심, 도정, 세감
上供 彩和 性澄 取慧 幸初 下供 抱心 道浄 世甘
땔감을 마련한 영홍, 종 치는 책임을 맡은 평일, 경운, 경수, 채숙, 등항
負木 永弘 鍾頭 平日 景云 景修 蔡淑 等恒
진언을 적은 혜관
書梵 惠瓘
내왕* 환우
來徃 喚宇
불사를 총감독한 진추
大都監振樞
공양간의 일을 감독한 취옥, 원엽
別佐 取玉 元曄
외도감을 보조한 정민
外都監㝎旻
크게 시주를 모은 화담원찰, 남파계영, 지연, 의징, 치준, 법린, 환섭
化主 花潭圎察 南嶓戒永 知演 義澄 緇俊 法磷 喚攝
불사를 총감독한 위책, 성삼, 한일, 관영, 목수는 이만취, 이일재, 처익 스님
大都 位冊 性三 漢日 寬英 木手 李萬取 李日才
화장실 청소 담당
浄桶 僧䖏益
화기 용어 해설
* 전함(前啣) 이전에 사찰 소임을 맡았던 사람
* 상공(上供) 물품을 조달한 사람들 가운데 최고 책임자
* 하공(下供) 상공을 보조하며 물품을 조달한 사람
* 내왕(來徃) 일정한 거처가 없는 승려로 객승을 표현하는 말
화기 번역 및 감수
이종수
- 담당부서 : 미술문화유산연구실
- 문의 : 042-860-919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