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탑사 괘불탱(金塔寺 掛佛幀)
해제
화기
(우측)
건륭 44년 무술(1778) 6월일 전라좌도 흥양현 천등산 금탑사 괘불을 정성스럽게 이루어 본사에 봉안하였다.
乾四十四年戊戌六月日全羅左道興陽縣千燈山金塔寺掛佛敬造奉安于本寺
시주*를 한 사람들
施主秩
크게 시주한 사람은 가선대부* 강위장, 가선대부 김명제, 유학 송정언, 가선대부 공만봉, 가선대부 박성재, 가선대부 박동영, 가선대부 김진원, 가선대부 김덕승, 가선대부 김태일, 김덕호,가선대부 김덕운, 가선대부 최문달, 가선대부 정태석, 박덕대, 통정대부* 박도성, 고만채, 서이원, 선덕유, 김득황, 김상승, 김익정, 비구연기, 백파당대선사* 간기, 통정대부 경징, 독변, 시적, 호성, 의윤, 정신, 호심, 척성, 문중채, 문팔봉, 문덕채, 문오채, 김봉채, 김복남, 신철해, 신철민, 김처랑, 통정대부 직화
大施主 嘉善大夫 姜渭章 大施主 嘉善大夫 金命梯 大施主 幼學 宋廷彦 大施主 嘉善大夫 孔萬鳳 大施主 嘉善大夫 朴聖才 大施主 嘉善大夫 朴東榮. 大施主 嘉善大夫 金振遠 大施主 嘉善大夫 金德昇 大施主 嘉善大夫 金兌一 大施主 金徳呼 大施主 嘉善大夫 金德云 大施主嘉善大夫 崔文達 大施主 嘉善大夫 鄭泰碩 大施主 朴德大 通政大夫 朴道成 髙萬彩 徐以逺 宣徳裕 金淂璜 金尙昇 金翼鼎 大施主 比丘演機 大施主 栢坡堂 大禪師 幹琦 通政大夫 鏡澄 獨卞 是迪護性 義潤 淨信 護心 摭醒 文重彩 文八奉 文德彩 文五彩 金鳳彩 金福南 申哲海 申喆敏 金䖏良. 通政大夫 直化
(좌측)
불사에 참여한 사람들
緣化秩
불사가 바르게 진행되도록 살핀 대선사 응성당민훈
證明 大禪師 應醒堂 旻勳
진언을 독송한 독변, 정신, 성눌, 도연, 홍책, 척성, 식준, 월혜
誦呪 獨卞 淨信 性訥 道演 弘策 摭醒 寔雋 月恵
불전의 향과 공양 등을 관리한 맹학
持殿 孟學
그림(괘불탱)을 그린 사람 가운데 우두머리는 비현, 복찬, 남활
金魚 丕賢 福粲 覽濶
그림(괘불탱)을 그린 사람은 쾌윤, 승보, 강운, 홍언, 조연, 행찬, 장일, 정성, 도옥, 우관
片手 快允 勝甫 講云 洪彦 祖演 幸䝺 莊日 定成 道玉 宇寬
대중이 사용할 물품을 조달한 홍원, 안성
供奍主 弘遠 安性
물품을 공급한 호종, 관해, 욱운, 양성, 획존
供給 護宗 寬解 旭雲 養成 獲存
불사를 감독한 호성
都監 護性
공양간의 일을 감독한 경징과 상좌 의활
別座 鏡澄 上佐 義濶
사람들에게 시주를 권하고 모은 출신 강도원
引勧化主 出身 姜道源
시주를 모으는데 보조한 낭현, 채익, 교심
副化主 朗賢 彩益 教心
도량 청소를 감독한 낭운, 채천
修掃都監 朗云 彩天
종 치는 책임을 맡은 양활
鐘頭 飬濶
사찰 전체의 사무를 담당한 사람들
本寺秩山中
시주를 모은 대선사 백파당간기, 대선사 월성당성감
化主 大禪師 栢坡堂 幹琦 大禪師 月城堂 聖鑑
시주를 모은 대선사 죽암당지활
化主 大禪師 竹庵堂 智濶
사찰의 규율을 담당한 즉현, 지한
維那 即俔 識闲
당시 주지*는 활척
時住持 濶陟
이전에 사찰 소임을 맡았던 필문, 성철, 견찰, 맹찰, 활신, 호심
前㗸 弼文 性哲 見札 孟札 濶信 護心
수행을 오래하고 덕이 높은 급현, 급념, 급청, 시적, 해형
老德 及玄 及念 及淸 是迪 解浻
관리와 운영을 담당한 세 직책을 맡은 홍연, 원신, 준원
三綱 弘演 圓信 俊元
화기 용어 해설
* 시주(施主) 물질적으로 후원한 사람
* 가선대부(嘉善大夫) 조선시대 종2품 문무관의 품계
* 통정대부(通政大夫) 조선시대 문신 정3품의 품계
* 대선사(大禪師) 선종의 가장 높은 법계로 수행력과 덕이 높고 나이가 많은 승려들을 높여 부르는 호칭
* 주지(住持) 사찰의 모든 업무를 총괄하고 책임지는 소임
화기 번역 및 감수
이종수
- 담당부서 : 미술문화유산연구실
- 문의 : 042-860-919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