법주사 괘불탱(法住寺 掛佛幀)
해제
화기
(향우측)
건륭 31년 병술(1766) 5월 일 충청도 보은 속리산 대법주사에 괘불탱을 새로 그려 봉안하였다.
乾隆三十一年丙戌五月日忠淸道報恩俗離山大法住寺奉安于新畫成褂佛幀
크게 시주*를 한 가선대부 이두창부부
大施主 嘉善李斗昌 两主
크게 시주를 한 통정대부 김한필부부
大施主 通政金漢弼 两主
크게 시주를 한 조인관부부
大施主 趙仁寬 两主
크게 시주를 한 양만수부부
大施主 梁萬壽 两主
대중이 사용할 물품을 크게 시주한 통정대부 지취중부부
供餋大施主 通政池就仲 两主
안씨월해, 청신녀정심, 가선대부 백동영부부, 백무찬부부, 박이경부부, 통정대부 최순남부부, 이겸립부부, 곤명김씨, 곤명을축생김씨, 곤명계묘생지씨, 을유생노씨, 곤명경진생이씨, 을해생안씨, 곤명경진생이씨, 무오생이씨, 곤명임진생김씨, 무술생김씨, 곤명병술생복씨, 경자생김씨, 곤명신축생김씨, 계묘생이씨, 곤명경인생최씨, 정사생천씨, 곤명경자생이씨, 건명김진광부부, 건명정무응술부부, 건명최분이
安氏月海 淸信女浄心 嘉善白同英 两主 白武䝺 两主 朴以京 两主 通政崔順南 两主 李𠔥立 两主 坤命金氏 保体* 坤命乙丑生金氏 坤命卯生池氏 乙酉生盧氏 保体 坤命庚辰生李氏 乙亥生安氏 保体 坤命庚辰生李氏 戊午生李氏 保体 坤命壬辰生金氏 戊戌生金氏 坤命丙戌生福氏 庚子生金氏 保体 坤命辛丑生金氏
卯生李氏 坤命庚
生崔氏 丁巳生千氏 保体 坤命庚子生李氏乾命金振光 两主 乾命鄭武應術 两主 乾命崔分伊
크게 시주를 한 강해봉부부
大施主 姜海奉两主
시주자는 처웅, 함한순, 사당* 해연, 사당 태신, 김광윤, 허선창, 윤종발, 윤노랑이, 이월상, 박치홍, 김진복, 정태원, 김성망, 거사 현학
施主 䖏雄 咸漢順 舍堂海衍 舍堂太信 金光尹 許善昌 尹種尹老郞伊 李月尙 朴𦤺弘 金振鍑 鄭太元 金聖望 居士賢学
원컨데 이 공덕이 일체에 널리 퍼져 나와 모든 중생이 모두 같이 성불하여지이다.
願以此㓛徳 普及於一切 我等與衆生 皆共成佛道
(향좌측)
불사에 참여한 사람들化秩
불사가 바르게 진행되도록 살핀 설월당 관성, 유암당 각징
證師 雪月堂觀性 裕巖堂覺澄
진언을 독송한 인백, 승완, 덕혜, 종원, 태화, 수청, 학잠
誦呪 仁伯 勝完 徳慧 宗元 泰和 守淸 学岑
불전의 향과 공양 등을 관리한 여섬, 설총, 등계
持殿 呂暹 雪捴 等戒
그림(괘불탱)을 그린 두훈, 광감, 윤행, 지환, 담숙, 법찬, 청습, 성잠, 계명, 계윤, 홍식, 선오, 법조, 순우
金魚 枓訓 廣瑊 允幸 智還 曇淑 法䝺 淸習 聖岑 戒明 戒允 弘湜 善悟 法照 順宇
대중이 사용할 물품을 조달한 취선, 전서, 보훈, 취상, 한기, 묘철, 의열, 쌍우, 인관, 묘청, 유성, 세한
供餋 就善 典瑞 普訓 就祥 漢起 妙哲 仅恱 﨎佑 仁寬 妙淸 有性 世閑
사찰에 거주하는 사람들
本寺秩
사찰에서 수행을 오래하고 덕이 높은 청공경원
山中老徳 淸空敬圎
당시 사찰의 모든 업무를 총괄하는 책임을 맡은 자겸
時住持 自謙
지행, 서운, 월해, 자심
智行 瑞雲 月海 自心
시주를 모으고 불사를 감독한 찬경
化主𠔥都監 䝺瓊
공양간의 일을 감독한 도식
別痤 道湜
시주를 모은 위심 체훈 쾌명 장인 거사 지찬
化主 違諶 体訓 快明 藏仁 居士 智䝺
시주자를 권유해서 모은 이명이, 이유담, 거사 신해, 일수, 거사 묘정
引勸 李明伊 李有談 居士 信海 日守 居士 妙浄
기록을 담당한 책화
書記 策華
관리와 운영을 담당한 세 직책을 맡은 현익, 치헌, 채류
三 玄
致軒 彩流
임금님과 왕비, 세자저하의 수명이 오래도록 이어지소서.
主上主三殿下萬
화기 용어 해설
* 시주(施主) 물질적으로 후원한 사람
* 보체(保体) 몸을 보호한다는 뜻으로, 살아 있는 사람의 축원문 이름 뒤에 쓰는 말
* 사당(舍堂) 조선시대 때 무리지어 떠돌면서 노래와 춤을 팔던 사람을 말함, 寺黨, 社堂, 捨堂, 舍正, 社黨, 舍黨 등으로 표기하기도 함
화기 번역 및 감수
이종수
- 담당부서 : 미술문화유산연구실
- 문의 : 042-860-919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