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암사 영산회 괘불탱(開巖寺 靈山會 掛佛幀)
해제
화기
(우측)
건륭 14년 기사(1749) 6월일 부안현의 서쪽 봉우리 능가산 개암사에 영산괘불탱을 봉안하였다.
乾隆拾肆年己巳六月日扶安縣地西嶺楞伽山山掛佛幀奉安于開巖寺
받드옵니다.
奉爲
임금님 수명이 오래도록 이어지소서.
主上殿下壽萬歲
왕비도 수명이 오래도록 똑같이 이어지소서.
王妃殿下壽濟年
세자저하는 그 수명이 천년토록 가기를 축원합니다.
世子邸下壽千秋
바탕천을 크게 시주*한 이귀열부부가 부모 이상백부부를 위해, 이귀걸부부, 이씨
基布大施主 李貴恱兩主 爲父母 李尙白兩主 綵色大施主 李貴傑 兩主 李氏
채색을 크게 시주한 거사* 신영, 신원부부
居士 信英 信元兩主
사찰이나 대중이 사용할 물품을 크게 단독으로 시주한 김씨앵매와 어머니 박씨서옥 단독, 서씨유체 단독, 통정* 홍석백부부
供飬大施主 金氏 鸎梅單身 供飬大施主 母 朴氏 瑞玉單身 徐氏 有體單身 通政 洪石白兩主
누에고치 실을 크게 시주한 전기련부부
繭大施主 全起蓮兩主
대중이 사용할 물품을 시주한 사람
供飬施主
크게 시주한 관정비구, 일영비구, 김백련부부, 각희비구, 김씨반상, 계순비구, 홍선이부부, 찬견비구, 여광덕부부, 성진비구, 사당* 백련 단독, 일현비구, 서봉이부부, 혜정비구, 김황산부부, 처웅비구, 이성화부부, 쾌선비구, 이익채부부, 처건비구, 강자항부부, 지찰비구, 상기어머니 김씨, 석연비구, 하수도부부, 윤상준부부, 김재순부부, 김둣동 단독, 박치온부부, 이형부부, 최상위부부, 김윤하부부, 김오룡부부, 김덕종부부, 서만택부부, 이동화부부, 이기완부부, 김소사 단독, 이덕창부부, 김후종부부, 박민혜부부, 이시화부부, 박순기부부, 김석견부부, 이시방부부, 장악금부부, 최이대부부, 이시광부부, 고순기부부, 이팔현부부, 이시걸부부, 송의봉부부, 이선명부부, 박지번부부, 신생부부, 이선징부부, 이백련부부, 이시만부부, 이씨, 신자민부부, 손백명부부, 배금부부, 최시남부부, 손상빈부부
大施主 灌頂比丘 日英比丘 金白蓮兩主 覺熈比丘 金氏班尙 戒淳比丘 洪善伊兩主 䝺堅比丘 呂徳兩主 性真比丘 舍堂 白蓮単身 日玄比丘 徐奉伊兩主 惠浄比丘 金黃山兩主 䖏雄比丘 李聖華兩主 快禪比丘 李翼彩兩主 䖏䢖比丘 姜自恒兩主 智察比丘 尙起母 金氏 釋演比丘 河受圖兩主 尹尙俊兩主 金再淳兩主 金同單身 朴致溫兩主 李亨兩主 崔尙位兩主 金闰夏兩主 金汙龍兩主 金徳宗兩主 徐萬宅兩主 李同花兩主 李起完兩主 金召史 單身 李徳昌兩主 金厚宗兩主 朴敏惠兩主 李時華兩主 朴順起兩主 金石堅兩主 李時芳兩主 張惡金兩主 崔以大兩主 李時光兩主 髙順起兩主 李八鉉兩主 李時傑兩主 宋義鳳兩主 李善明兩主 朴枝蕃兩主 申生兩主 李善徴兩主 李白蓮兩主 李時萬兩主 李氏 申自敏兩主 孫白明兩主 裵金兩主 崔時男兩主 孫相臏兩主
기록을 담당했던 대붕비구
書記 大鵬比丘
(좌측)
대중이 사용할 물품을 크게 시주한 사람들
供養大施主秩
이두찬부부, 최봉부부, 김선종부부, 김자흥부부, 김만진부부, 이운부부, 이응서부부, 정몽야부부, 배행도부부, 이진방부부, 송유방부부, 김애금부부, 송억인부부, 최명부부, 박도선부부, 이산이부부, 이태창부부, 박지창부부, 김봉산부부, 조필봉부부, 조선안부부, 만진비구, 최응천부부, 임후종부부, 김돌생부부, 김선이부부, 이원생부부, 김석만부부, 김만원부부, 김진창부부, 처사 명신, 박순행부부, 신손부부, 사당 천옥, 문상기부부, 문동표부부, 장택명부부, 장유발부부, 임일경부부
李斗䝺兩主 崔奉兩主 金善宗兩主 金自興兩主 金萬真兩主 李云兩主 李應瑞兩主 鄭夢冶兩主 裵行道兩主 李震芳兩主 宋有芳兩主 金愛金兩主 宋億仁兩主 崔明兩主 朴道先兩主 李山伊兩主 李太昌兩主 朴枝昌兩主 金奉山兩主 趙弼奉兩主 趙善安兩主 萬真比丘 崔應天兩主 任厚宗兩主 金乭生兩主 金善伊兩主 李元生兩主 金石萬兩主 金萬元兩主 金進昌兩主 䖏士 明信 朴順行兩主 申孫兩主 舍堂天玉 文尙起兩主 文同標兩主 張澤明兩主 張有發兩主 林日鏡兩主
불사에 참여한 사람들
緣化秩
불전의 향과 공양 등을 관리한 도연비구, 청신비구
持殿 道演比丘 淸信比丘
불사가 바르게 진행되도록 살핀 처관비구
證明 䖏寬比丘
진언을 독송한 스님들은 이희비구, 여훈비구, 지찰비구, 찬원비구
誦呪秩 理熈比丘 呂訓比丘 智察比丘 䝺元比丘
그림(괘불탱)을 그린 존숙* 의겸비구, 영안비구, 민희, 호밀비구, 인영비구, 관성비구, 태총비구, 색민비구, 각잠비구, 봉령비구, 정인비구, 호령비구, 우은비구
金魚 尊宿 義兼比丘 永眼比丘 敏熈 好密比丘 印影比丘 冠性比丘 太聰比丘 色敏比丘 覺岑比丘 奉靈比丘 㝎仁比丘 好靈比丘 宇㤙比丘
물품을 조달한 각진비구, 도선비구, 맹겸비구
供飬養主 覺真比丘 道禪比丘 孟兼比丘
수행을 오래하고 덕이 높은 스님들
老德秩
해상비구, 일영비구, 성매비구, 수택비구, 각희비구, 법명비구, 일계비구, 보옥비구, 체잠비구, 치경비구, 행수비구, 응철비구, 단비구
海祥比丘 日英比丘 性梅比丘 守澤比丘 覺熈比丘 法明比丘 一戒比丘 宝玉比丘 體岑比丘 致敬比丘 幸脩比丘 應哲比丘 但比丘
관리와 운영을 담당한 세 직책을 맡은 득성비구, 회열비구, 태은비구
三綱秩 淂性比 回恱比丘 太訔比丘
주지* 처건비구
住持 䖏建比丘
시주를 모은 찬익비구, 거사 법관
化主 䝺益比丘 居士 法寬
불사를 총감독한 원간비구
大都監 元侃比丘
크게 시주자를 모은 초인비구
大化主 椘仁比丘
공양간의 일을 감독한 청선비구, 김향이부부, 하겸부부
別座 淸禪 比丘 金香伊兩主 河兼兩主
편수*는 최완우
片手 崔完羽
화기 용어 해설
* 시주(施主) 물질적으로 후원한 사람
* 거사(居士) 출가하지 않은 남자를 가리키는 말
* 통정(通政) 조선시대 문신 정3품의 품계
* 사당(社堂) 조선시대 때 무리 지어 떠돌면서 노래와 춤을 팔던 사람
* 존숙(尊宿) 학문과 덕행이 뛰어나 남의 사표師表가 되는 스님
* 주지(住持) 사찰의 모든 업무를 총괄하고 책임지는 소임
* 편수(片手) 불화 등을 조성할 때 책임을 지고 지휘하는 장인
화기 번역 및 감수
이종수
- 담당부서 : 미술문화유산연구실
- 문의 : 042-860-919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