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살사 영산회 괘불탱(菩薩寺 靈山會 掛佛幀)

보살사 영산회 괘불탱 메인 이미지

제작시기
1649년(인조 27)
지정종목
보물
화승
신겸(信), 지변(智辯), 유열(唯悅), 덕희(德熙), 인보(印宝), 경범(敬凢)
재질
견본채색,저본채색
규격
전체 687.6×423.2cm, 화면 533×407.4cm
지정일
1997-08-08
소장처
충청북도 청주시 보살사

해제

화기

숭정 23년 기축(1649) 10월 초○일 부처님 화상을 조성해 마쳤다.
崇禎二十三年歲次己丑十月初○日佛像畢造 
받드옵니다.
奉為
임금님 수명이 오래도록 이어지소서. 
主上殿下壽萬歲
왕비도 수명이 오래도록 똑같이 이어지소서. 
王妑殿下壽齊年
세자저하는 그 수명이 천년토록 가기를 축원합니다.
世子邸下壽千秋

시주를 한 사람들 목록
施主目録
괘불탱을 크게 시주한 ○○○○○ ○○부부
掛佛幀大施主 ○○○○○ ○○两主
괘불 바탕이 되는 천을 크게 시주한 통정대부* ○○비구
掛佛婆蕩大施○ 通政大夫 ○○比丘
불화의 뒷면에 붙여 바탕화면을 고정하는 종이를 크게 시주한 ○○비구
後陪紙大施主 ○○比丘
불화의 뒷면에 붙여 바탕화면을 고정하는 천을 크게 시주한 변끗남부부
後陪布大施○ 卞唜男两主
황금을 시주한 손개손부부
黃金施○孫介孫两主
○○○○○○복부부
○○○○○○福两主
불화의 뒷면에 붙여 바탕화면을 고정하는 종이나 천을 시주한 경특비구
後陪施○ 瓊特比○
황금 면지(금박)를 시주한 ○○
黃金面紙兼施主 ○○
황금을 시주한 계행비구
黃金○○ 戒行比丘
복장물을 시주한 
腹藏施主
대중이 사용할 물품을 시주한 통정대부 안○○부부
供餋施主 通政大夫安○○两主
아무런 조건 없이 시주한 ○○○구
布施     ○○○丘
불화의 뒷면에 붙여 바탕화면을 고정하는 종이나 천을 시주한 ...비○
後...         比○
후령통...
喉...   
공양간의 일을 감독한 ...
別座...
대중이 사용할 물품을 크게 시주한 ...
供餋...
대중이 사용할 물품을 크게 시주한 안○○부부
供餋大施主 安○○两主
대중이 사용할 물품을 크게 시주한 축○비구
供奍大施主 笁○比丘
같은 시주를 한 사인, 윤남, ○개, 이영번, 윤천길
仝 士仁, 允男, ○介, 李英番, 尹天吉

불화 조성을 맡은 곳
𦘕貟所

불사가 바르게 진행되도록 살핀 혜해비구
證明 慧海比丘
그림(괘불탱)을 그린 신겸비구, 지변비구, 유열비구, 덕희비구, 인보비구, 경범비구
𦘕貟 信比丘 智辯比丘 唯恱比丘 徳熈比○ 印宝比○ 敬凢比○




화기 용어 해설
* 통정대부(通政大夫) 조선시대 문신 정3품의 품계


화기 번역 및 감수 
이종수

만족도조사
유용한 정보가 되셨나요?
  • 담당부서 : 미술문화유산연구실
  • 문의 : 042-860-919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