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양주 봉선사 비로자나삼신괘불도(南楊州 奉先寺 毘盧遮那三身掛佛圖)
해제
화기
옹정 13년(1735) 9월 일에 시주자 상궁 경오생 이씨 성애가 특별히
雍正十三年九月日施主庚午生李氏尙宮性愛特為
영빈 기유생 김씨 존령*이 유루지업*을 빨리 벗어나서 무루지과*를 깨닫기를
寕己酉生金氏尊灵速
有漏之業
訂無漏之果
사찰 전체의 사무를 담당한 사람들
本寺秩
당시 교종판사* 등계* 철선
時教宗判事登階徹禪
사찰의 일반적인 사무를 담당한 계환
有司 戒還
사찰의 전반적인 실무를 담당한 원찰
公貟 圎察
여러 사무를 책임지고 실무를 맡은 치종
掌務 𦤺宗
종 치는 책임을 맡은 태화
鍾頭 太華
당시 여러 사무를 책임지고 실무를 맡은 붕단
時掌務 鵬丹
대중들의 좌구ㆍ침구ㆍ음식 등을 준비하는 소임을 맡은 원문
典座 元文
불사가 바르게 진행되도록 살핀 일형
訂師 一浻
그림(괘불탱)을 그린 사람은 우두머리 각총과 칠혜, 두책, 태운, 만빈
都画貟 覺聡 七惠 斗策 太雲 萬彬
화기 용어 해설
* 존령(尊靈) 혼령(魂靈)을 높여 이르는 말
* 유루지업(有漏之業) 번뇌로 인해 끊임없이 윤회하는 것을 뜻함
* 무루지과(無漏之果) 번뇌를 끊고 윤회에서 벗어나는 것을 뜻함
* 교종판사(敎宗判事) 조선시대 전국 교종 사찰과 승려를 관장하는 일을 맡아보던 승직
* 등계(登階) 가르침의 방편을 세우다는 뜻으로 덕이 높은 스님을 높여 이르는 말
화기 번역 및 감수
이종수
만족도조사
유용한 정보가 되셨나요?
- 담당부서 : 미술문화유산연구실
- 문의 : 042-860-919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