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국사 영산회 괘불탱(安國寺 靈山會 掛佛幀)
해제
화기
극락으로 영혼을 인도하는 아미타불
極樂噵師阿彌陁佛
석가의 설법이 묘법임을 증명한 다보여래
證聽妙法多寳如来
관음세지대보살
觀音勢至大菩薩
문수보현대보살
文殊普賢大菩薩
(우측)
○○○○6년 무신(1728) 4월일 무주 적상산 안국사 영산괘불
을 조성하여 봉안하였다.
○○○○六年戊申四月日茂朱赤裳山安國寺山掛佛幀造繪于奉安
받드옵니다.
奉爲
임금님 수명이 오래도록 오래도록 이어지소서.
王上殿下萬歲萬歲聖壽萬歲
왕비도 수명이 오래도록 오래도록 똑같이 이어지소서.
王妃殿下齊年齊年聖壽齊年
세자저하는 그 수명이 천년토록 가기를 축원합니다.
世子邸下千秋千秋聖壽千秋
크게 시주*를 한 사람들
大施主秩
절충대장* 손계명부부, 통정대부 기인비구, 통정대부* 탁균 영가*, 가선대부* 김말복부부, 시주 양신룡부부, 전판사* 찬상비구, 통정 각민비구
折衝大將 孫戒明兩主 通政大夫 奇仁比丘 通政大夫 卓均駕 嘉善大夫 金唜福兩主 施主 梁信龍兩主 前判事 讚尙比丘 通政 覺敏比丘
시주 이시욱부부, 강씨업례 단독, 배신기부부, 김태만부부, 김무생부부, 극심비구, 한천일부부
施主 李時郁兩主 姜氏業禮單身 裵信起兩主 金太萬兩主 金武生兩主 剋心比丘 韓天日兩主
괘불궤를 시주한 사일비구, 의문비구, 휘안비구, 명선비구, 김승룡부부, 백광윤부부, 김계봉부부, 우영비구
樻施主 思日比丘 仅文比丘 輝安比丘 明禪比丘 金勝龍兩主 白光潤
兩主 金桂奉兩主 祐英比丘
시주 이명생부부, 시해비구, 진성비구, 도안비구, 탄경비구, 강선이부부
施主 李明生兩主 時海比丘 真性比丘 道安比丘 坦瓊比丘 姜善伊兩主
시주 행문비구, 현각비구, 철선비구, 능택비구
施主 幸文比丘 玄覺比丘 哲禪比丘 能擇比丘
시주 사임비구, 철견비구, 대연비구, 혜학비구
施主 思任比丘 哲堅比丘 大演比丘 惠学比丘
시주 단헌비구, 경행비구, 지헌
施主 但獻比丘 敬行比丘 智軒
시주 태정비구, 철은
施主 太凈比丘 哲訔
시주 신찬비구, 경상비구
施主 信贊比丘 敬尙比丘
시주 종학비구, 치순, 연행
施主 宗学比丘 致淳 演行
시주 일진, 신관, 옥선, 체심, 길지헌부부, 강귀승, 강계명, 강선진, 안재대, 이익명부부
施主 一真 信寬 玉禪 體心 吉知獻兩主 姜貴承 姜戒明 姜善進 李益明兩主
시주 김진달, 박계달, 장백룡, 공석기, 홍처중
施主 金鎭達 朴戒達 張白龍 孔石起 洪䖏中
시주 김태백부부, 이서봉, 김진발, 박필만, 한룡이, 양태석
施主 金太白兩主 李瑞奉 金真發 朴弼萬 韓龍伊 梁泰石
시주 황상준, 김희필부부, 김취한, 김구정, 허승필, 김상원, 김득현, 박계선부부
施主 黃上俊 金希必兩主 金就漢 金九丁 許承必 金上遠 金得玄 朴戒善兩主
시주 홍씨부부, 한천립, 한명선, 김호민부부, 배명수, 박창억, 한철석부부, 박이경, 한무신
施主 洪氏兩主 韓天立 韓命善 金好敏兩主 裴命壽 朴昌億 韓鉄石兩主 朴二亰 韓武信
시주 한신국, 박귀상, 백일룡, 김후정부부
施主 韓信㕵 朴貴尙 白一壽 金厚正兩主
시주 박만기
施主 朴萬起
(좌측)
물질적으로 후원한 사람들
施主秩
당시 별장 이득원부부, 김봉이부부, 초헌비구
時任別將 李得元兩主 金鳳伊兩主 楚軒比丘
시주 김선창부부, 쌍윤비구, 백일봉부부, 초헌비구, 사순비구, 우심비구, 정사룡부부, 백씨천애부부, 신선이부부
施主 金善昌兩主 雙允比丘 白一鳳兩主 楚軒比丘 思淳比丘 祐心比丘 鄭四龍兩主 白氏天涯兩主 申先伊兩主
사찰에서 수행을 오래하고 덕이 높은 자경비구, 인철비구, 일륜비구, 옥해비구, 묘경비구, 충민비구, 뇌안비구, 해순비구
山中老德 自俓比丘 印哲比丘 日倫比丘 玉海比丘 妙瓊比丘 忠敏比丘 雷安比丘 海淳比丘
불사에 참여한 사람들
緣化秩
불사가 바르게 진행되도록 살핀 종밀비구
證師 宗密比丘
불전의 향과 공양 등을 관리한 초운비구
持殿 楚運比丘
그림(괘불탱)을 그린 사람은 의겸비구, 혜찰비구, 의윤비구, 민휘비구, 천신비구, 양찬비구
畵員 義謙比丘 惠察比丘 義允比丘 敏輝比丘 天信比丘 良贊比丘
물품을 조달한 탄경비구, 회익비구
供養主 坦瓊比丘 懷益比丘
땔감을 마련한 여안비구
負木 如眼比丘
안과 밖으로 대중의 잘못을 살피는 소임을 맡은 지성비구
內外察任 智聖比丘
불사에 많은 공을 쌓은 사정비구
大功德主 思淨比丘
향을 피워 예경한 단헌비구
燒香敬佛 但軒比丘
관리와 운영을 담당한 세 직책을 맡은 진성비구, 자수비구, 태선비구
三綱 真性比丘 自守比丘 太禪比丘
당시 화상* 행정비구
時任和尙 幸淨比丘
당시 대장* 행문비구
時任代將 幸文比丘
좌구와 침구 등을 관리한 계행비구
殿座 戒行比丘
당시 총섭* 설매비구
時任摠攝 雪梅比丘
원컨데 이 공덕이 일체에 널리 퍼져 나와 모든 중생이 극락세계에 태어나서 무량수 부처님을 뵙고 수기를 받아 모두 같이 성불하여지이다.
願以此功德 普及於一切 我等○○○ 當生極樂國 同見無量壽 皆共○○○ 摩訶般若波羅密
(첫 번째 중수 기록)
건륭 57년 임자(1792) 4월일 중수
乾隆五十七年壬子四月日重修
바탕화면을 고정하는 종이나 천을 크게 시주한 절충 서복건부부, 부인조씨, 아들 유영부부, 유손, 유성
後排大施主 折衝 徐福健兩主 妻 趙氏 子 有榮兩主 有孫 有成
불사가 바르게 진행되도록 살핀 설봉
證說封
공양간의 일을 감독한 서철
別瑞哲
시주를 모은 윤관
化倫瓘
(두 번째 중수 기록)
가경 14년 기사(1809) 4월일 다시 중수
嘉慶拾四年己巳四月日再重修
바탕화면을 고정하는 종이나 천을 크게 시주한 정부인 조씨 계해생
後排大施主 貞夫人 趙氏 癸亥生
불사가 바르게 진행되도록 살핀 염화당청고
證師 拈花堂靑杲
시주를 모은 인편
化主 印片
공양간의 일을 감독한 의헌
別座 義軒
(수선 기록)
소화 14년 기묘(1939) 5월 23일 수선
昭和十四年己卯 五月卄三日修繕
시주 김영곤, 조한철
施主 金濚坤 趙漢喆
현재 주지 김용봉
現住持 金溶峯
진언을 독송한 법정
誦呪 法晶
황석암 삼가 쓰다.
黃石菴 謹書
서기1978년 4월 초8일
西紀一九七八年四月初八日
괘불 밧줄을 시주한 무주면 운교리 박기호, 강옥임
卦繩 施主 茂朱面 雲橋里 朴基昊 姜玉任
화기 용어 해설
* 시주(施主) 물질적으로 후원한 사람
* 절충대장(折衝大將) 조선시대 때 제수된 정3품 당상관 무관의 품계
* 가선대부(嘉善大夫) 조선시대 종2품 문무관의 품계
* 판사(判事) 조선시대에 전국 사찰과 승려들을 관장하는 일을 맡아보던 승직
* 화상(和尙) 수행을 많이 한 스님. 제자들을 지도하는 스승
* 대장(大將) 승군의 우두머리를 말함
* 총섭(捴攝) 승직 가운데 최고의 직위
화기 번역 및 감수
이종수
- 담당부서 : 미술문화유산연구실
- 문의 : 042-860-919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