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량사 미륵불 괘불탱(無量寺 彌勒佛 掛佛幀)

무량사 미륵불 괘불탱 메인 이미지

제작시기
1627년(인조 5)
지정종목
국보
화승
법경(法冏), 혜윤(慧允), 인학(仁學), 희상(熙尙)
재질
저본채색
규격
전체 1,398×752㎝, 화면 1,211×689㎝
지정일
1997-08-08
소장처
충청남도 부여군 무량사

해제

화기

임금님이 장수하고 나라의 토대가 오래도록 변하지 않으며
종풍*은 끊김이 없고 부처님의 지혜 광명은 오래도록 밝게 빛나며
법계*의 모든 이들이 마음을 깨달아 부처가 되게 하는 것이니라.
聖壽天長 邦基地久 宗風不斷 佛日永明 法界含靈 了心成佛耳

시주*를 한 사람들
施主秩
불화의 바탕이 되는 천을 크게 시주한 장록부부
波湯大施主 長祿兩主保体
불화의 바탕이 되는 천을 크게 시주한 김희춘부부
波湯施主 金希春兩主保体
불화의 바탕이 되는 천을 크게 시주한 김길복부부
波湯施主 金吉福兩主保体
저마다 공양*과 포시* 시주한 모두 깨달음을 이루기를 원하옵니다.
各各供養布施施主等俱成正覺之願

대사 탁규비구, 일웅비구, 성민비구, 덕해비구, 의엄비구
大師 琢珪比丘 一雄比丘 性敏比丘 德海比丘 義嚴比丘
불전의 향과 공양 등을 관리한 조행비구
持殿 祖行比丘

그림(괘불탱)을 그린 사람들
畵員秩
법경비구, 혜윤비구, 인학비구, 희상비구
法冏比丘 慧允比丘 仁學比丘 熙尙比丘
대중이 사용할 물품을 조달한 보인비구 인전비구
供養主 寶仁比丘 印全比丘
크게 시주를 모은 천규비구, 응준비구
大化主 天珪比丘 應俊比丘

때는 천계 7년 정묘(1627) 6월일 그림을 완성하여 마쳤다. 명산현의 북쪽 만수산 무량사에 미륵괘불탱 1점을 오래 전한다.
時維 天啓七 丁卯六月日𦘕成畢也 鳴山縣地北嶺萬山無量寺勒掛佛幀一會留傳也
길이는 45척 5촌 너비는 25척이다 
長四十五尺五寸 幅二十五尺





화기 용어 해설
* 종풍(宗風) 불교 종파의 독특한 전통(가르침)을 말함
* 법계(法界) 인과의 이치에 지배되고 있는 범위를 말함
* 시주(施主) 물질적으로 후원한 사람
* 공양(供養) 사찰이나 대중이 사용할 물품
* 포시(布施) 아무런 조건 없이 베푸는 것

 

화기 번역 및 감수 
이종수

만족도조사
유용한 정보가 되셨나요?
  • 담당부서 : 미술문화유산연구실
  • 문의 : 042-860-919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