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곡사 석가모니불 괘불탱(麻谷寺 釋迦牟尼佛 掛佛幀)

마곡사 석가모니불 괘불탱 메인 이미지

제작시기
1687년(숙종 13)
지정종목
보물
화승
능학(能學), 계호(戒湖), 유순(唯順), 처묵(處黙), 인행(印行), 정인(精印)
재질
마본채색
규격
전체 1,169×752.2cm, 화면 1,069×714cm
지정일
1997-08-08
소장처
충청남도 공주시 마곡사

해제

화기

시주*를 한 사람들
施主秩
괘불탱을 크게 시주한 행정비구
幀大施主 幸浄比丘
불화의 바탕이 되는 천을 시주한 가선대부 신수비구
波蕩施主 嘉善大夫 信守比丘
불화의 바탕이 되는 천을 시주한 충언비구
波蕩施主 冲彦比丘
불화의 바탕이 되는 천을 시주한 홍순남부부
波蕩施主 洪順男兩主
불화의 바탕이 되는 천을 시주한 설준비구
波蕩施主 雪俊比丘
황금을 시주한 박도신부부
金施主 朴道信兩主
불화의 바탕이 되는 천을 시주한 성한비구
波蕩施主 性闲比丘
대중이 사용할 물품을 시주한 의찬비구
供养施主 仅䝺比丘
대중이 사용할 물품을 시주한 장길금부부
供养施主 張吉金兩主
대중이 사용할 물품을 시주한 강동남부부
供养施主 姜同男兩主
아무런 조건 없이 시주를 한 김삼룡부부
布施*施主 金三竜兩主
대중이 사용할 물품을 시주한 박씨산개부부
供养施主 朴氏山介兩主
아무런 조건 없이 시주를 한 최이명부부
布施施主 崔以名兩主
아무런 조건 없이 시주를 한 박한웅부부
布施施主 朴闲雄兩主
아무런 조건 없이 시주를 한 계기비구
布施施主 戒己比丘
불화의 뒷면에 붙여 바탕화면을 고정하는 종이를 시주한 서체원부부
後排施主 徐体元兩主
부처님 앞에 켜는 등을 시주한 현철비구
引燈施主 玄哲比丘
불화의 바탕이 되는 천을 시주한 덕관비구
波湯施主 德観比丘
불화의 바탕이 되는 천을 시주한 덕견비구
波湯施主 德堅比丘
불화의 바탕이 되는 천을 시주한 덕택비구
波湯施主 德择比丘
불화의 바탕이 되는 천을 시주한 혜일비구
波湯施主 惠日比丘
불화의 바탕이 되는 천을 시주한 박오장부부
波湯施主 朴吾荘兩主
불화의 바탕이 되는 천을 시주한 김신경부부
波湯施主 金信敬兩主
불화의 바탕이 되는 천을 시주한 정계조부부
波湯施主 鄭戒祖兩主
불화의 바탕이 되는 천을 시주한 각무비구
波湯施主 山人覺無比丘
불화의 바탕이 되는 천을 시주한 학순비구
波湯施主 學淳比丘
불화의 바탕이 되는 천을 시주한 김우경부부
波湯施主 金祐敬兩主
불화의 바탕이 되는 천을 시주한 임정업부부
波湯施主 林丁業兩主
불화의 바탕이 되는 천을 시주한 이덕남부부
波湯施主 李德男兩主
불화의 바탕이 되는 천을 시주한 윤계운부부
波湯施主 尹戒云兩主
아무런 조건 없이 시주를 한 행주비구
布施施主 幸珠比丘
둥근 거울을 시주한 사현비구
圓鏡施主 思玄比丘
아무런 조건 없이 시주를 한 각준비구
布施施主 覺俊比丘
아무런 조건 없이 시주를 한 청혜비구
布施施主 淸惠比丘
조각 천을 시주한 일옥비구
片布施主 一玉比丘
불화의 뒷면에 붙여 바탕화면을 고정하는 천을 시주한 능열비구
後布施主 能悅比丘
아무런 조건 없이 시주를 한 수현비구
布施施主 守玄比丘
밑그림을 그리는 종이를 시주한 선삼비구
草紙施主 先森比丘
불화의 뒷면에 붙여 바탕화면을 고정하는 종이를 시주한 종언비구
後排施主 宗彦比丘
아무런 조건 없이 시주를 한 김신감부부
布施施主 金信歛兩主
아무런 조건 없이 시주를 한 류백운부부
布施施主 刘白云兩主
어교를 시주한 손기복부부
魚膠施主 孫己䃼兩主
진묵을 시주한 택겸비구
真墨施主 择兼比丘

사찰의 모든 업무를 총괄하는 책임을 맡은 현삼비구
住持 玄森比丘
사찰의 규율과 규칙을 총괄하는 소임을 맡은 현징비구
維那 玄澄比丘
관리와 운영을 담당한 세 직책을 맡은 지훈비구
三剛 智訓比丘
불전의 향과 공양 등을 관리한 보환비구
持殿 寶还比丘
주지를 보좌하며 사무를 담당한 사준비구
持寺 思俊比丘
대동청* 관련 업무를 맡은 종혜비구
大同色 宗惠比丘
종 치는 책임을 맡은 일환비구
鍾頭 一還比丘

사찰에 거주하는 사람들
夲寺目錄
가선대부 의전비구
嘉善大夫 仅全比丘
지혜와 덕망이 높은 인영비구
山人大德 印英比丘
전 판사 도경비구
前行判事 道敬比丘
전 판사 덕휘비구
前行判事 德輝比丘
통정대부 사인비구
通政太夫 思仁比丘
통정대부 탁일비구, 신운비구, 선색비구, 해운비구
通政太夫 卓一比丘 信云比丘 先賾比丘 海云比丘
전 주지 두운비구, 행익비구
前住持 斗云比丘 幸益比丘
전 판사 성흠비구
前判司 省欽比丘
전 주지 행안비구, 경해비구
前住持 幸安比丘 敬海比丘
전 주지 충색비구
前住持 冲賾比丘
전 판사 법영비구
前行判事 法英比丘
통정대부 법희비구, 태준비구, 통정대부 민해비구, 통정대부 종혜비구
通政太夫 法熙比丘 太俊比丘 通政太夫 敏海比丘 通政太夫 宗惠比丘
전 주지 응택비구
前住持 應擇比丘
지혜와 덕망이 높은 법승비구
山人大德 法勝比丘
지혜와 덕망이 높은 승운비구
山人太德 勝云比丘
판사 천숙비구, 자순비구, 정찬비구, 태현비구, 신정비구
判司 天淑比丘 自淳比丘 浄䝺比丘 太玄比丘 信浄比丘
산인 쌍언비구, 민기비구, 학순비구, 철운비구, 계징비구, 법연비구, 혜운비구, 통정대부 죽림비구, 일옥비구, 철영비구
山人 双彦比丘 敏己比丘 学淳比丘 哲云比丘 戒澄比丘 法衍比丘 惠云比丘 通政大夫 竹林比丘 一玉比丘 哲英比丘
산인 도정비구, 종일비구, 대안비구
山人 道浄比丘 宗一比丘 大眼比丘
산인 학인비구, 쌍학비구
山人 學仁比丘 双學比丘
지혜와 덕망이 높은 해일비구, 충해비구, 홍준비구
山人大德 海一比丘 冲海比丘 洪俊比丘

불사에 참여한 사람들
緣化目錄
불사가 바르게 진행되도록 살핀 덕영비구
證师 山人德英比丘
불전의 향과 공양 등을 관리한 충휘비구
持殿 山人冲輝比丘
그림(괘불탱)을 그린 능학비구, 계호비구, 유순비구, 처묵비구, 인행비구, 정인비구
画师 山人能學比丘 戒湖比丘 唯順比丘 䖏黙比丘 印行比丘 精印比丘
대중이 사용할 물품을 조달한 승헌비구, 처현비구
供养主 勝軒比丘 䖏玄比丘
안과 밖을 오가며 연락을 담당한 특령비구, 신초비구
耒徃 特令比丘 信初比丘
공양간의 일을 감독한 옥청비구
別座 玉淸比丘
크게 시주를 모은 유민비구
大化士 山人唯敏比丘

강희 26년 정묘(1687) 5월 일 공홍도 공주목의 서쪽 화산 마곡사 괘불탱을 조성하여 마쳤다.
康熙二十六年丁卯五月日公洪道公州牧地西嶺華山麻谷寺掛佛幀造成畢㓛

[화면 방제]
천백억화신석가모니불
千百億化身釋迦牟尼佛
청정법신비로자나불
淸淨法身毘盧遮那佛
아사세왕
阿闍世王
라후아수라왕
羅睺阿修羅王
사가라용왕
娑迦羅龍王
월명천자
明月天子
벽지불
辟支佛
손타라존자
孫陁羅尊者
라후라존자
羅睺羅尊者
수보리존자
須菩提尊者
대목건련존자
大目揵連尊者
마하가섭존자
摩訶迦葉尊者
상방대범천왕
上方大梵天王
관세음보살
観世音菩薩
대지문수사리보살
大智文殊師利菩薩
좌보처자씨미륵보살
左補䖏慈氏彌勒菩薩
북방다문천왕
北方多門天王
동방지국천왕
東方持㕵天王
파치아수라왕
婆稚阿修羅王
대위덕가루라왕
大威德迦樓羅王
보향천자
普香天子
화수길용왕
和修吉龍王
벽지불
辟支佛
원만보신노사나불
圓滿報身盧舍那佛
부루나존자
富樓那尊者
교범파제
憍梵波提
사리불존자
舍利弗尊者
마하구희라존자
摩訶俱絺羅尊者
도리천주제석천왕
忉利天主帝釋天王
유통교해아난존자
流通敎海阿難尊者
대세지보살
大勢至菩薩 
대행보현보살
大行普賢菩薩
우보처제화갈라보살
右補䖏提花竭羅菩薩
서방광목천왕
西方廣目天王
남방증장천왕
南方增長天王




화기 용어 해설
* 시주(施主) 물질적으로 후원한 사람
* 포시(布施) 아무런 조건 없이 베푸는 것
* 대동청(大同廳) 조선 후기 현물로 바치던 공물을 쌀로 바치게 한 대동법의 시행으로 각도의 대동大同 사무를 관장하기 위해 만든 지방관아


화기 번역 및 감수 
이종수



만족도조사
유용한 정보가 되셨나요?
  • 담당부서 : 미술문화유산연구실
  • 문의 : 042-860-919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