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곡사 영산회 괘불탱(靑谷寺 靈山會 掛佛幀)
해제
화기
강희 61년 임인(1722) 4월에 진양(지금의 진주) 동쪽 너머 월아산 청곡사 괘불을 받들어 봉안하였다.
康熈六十壹年壬寅四月日晋陽東嶺月牙山青谷寺掛佛奉安奉爲
임금님 수명이 오래도록 이어지소서. 왕비도 수명이 오래도록 똑같이 이어지소서.
세자저하는 그 수명이 천년토록 가기를 축원합니다.
主上殿下壽萬歲 王妑殿下壽齋年
世子邸下壽千秋
시주를 한 사람들
施主錄
사일 비구가 어머니 김소사 태랑을 위하여 불화의 바탕이 되는 천과 사찰 대중이 사용할 물품을 크게 시주함
婆蕩𠔥供養大施主思日比丘爲 母金召史太良保体
불화의 바탕이 되는 천을 크게 시주한 문한 비구, 성림 비구
基布大施主 文闲比丘 基布大施主 省琳比丘
불화의 바탕이 되는 천을 크게 시주한 정씨 순록 부부, 유경비구, 이찰상 부부 영가
婆蕩大施主 鄭氏順祿兩主 唯敬比丘 李札上兩主灵駕
불화의 바탕이 되는 천을 크게 시주한 사람은 노삼만은 돌아가신 아버지 노돌시 영가를 위해, 김매금 부부, 처사 신한 부부
基布施主 盧三萬爲亾父盧乭屎灵駕 金梅金兩主 䖏士 信閑兩主
불화의 바탕이 되는 천을 시주한 정시발 부부, 회언비구, 상초비구
基布施主 鄭時發兩主 懷彦比丘 尙初比丘
불화의 바탕이 되는 천을 시주한 김태중 부부, 삼현비구, 이백비구, 유협비구
婆蕩施主 金太重兩主 三玄比丘 理伯比丘 裕冾比丘
불화의 바탕이 되는 천을 시주한 허소사 사개 부부, 사당* 성진 보체
基布施主 許召史四介兩主 舍堂省真保体
불화의 바탕이 되는 천을 시주한 강상재 단독, 이수창 부부, 구환비구가 아버지 김징이 부부를 위해
婆蕩施主 姜尙齋單身 李守唱兩主 九還比丘為父金澄伊兩主
불화의 바탕이 되는 천을 시주한 김운이 부부, 김아지 단독, 하소사 부부
基布施主 金云伊兩主 金阿只單身 河召史兩主
불화의 바탕이 되는 천을 시주한 처림비구, 채정비구, 진오비구, 취응비구, 상열비구, 자혜비구, 자휘비구
婆蕩施主 䖏林比丘 採浄比丘 振悟比丘 就應比丘 尙悅比丘 自惠比丘 自輝比丘
불화의 바탕이 되는 천을 시주한 새암비구, 극한비구, 제심비구, 뇌권비구, 찬매비구, 거사 법심 부부, 사당 재성, 계원비구
基布施主 璽岩比丘 剋闲比丘 霽諶比丘 雷捲比丘 䝺梅比丘 居士 法心兩主 舍堂 再性 戒元比丘
불화의 바탕이 되는 천을 시주한 혜응비구, 충원비구, 최협비구, 처신비구, 달삼비구, 여신비구
基布施主 惠應比丘 冲遠比丘 最冾比丘 䖏信比丘 達森比丘 呂信比丘
불화의 바탕이 되는 천을 시주한 자옥비구, 신계비구
婆蕩施主 自玉比丘 信戒比丘
여러 채색 안료를 크게 시주한 광특비구, 광음비구, 선종비구, 정선이 부부
綵色大施主 廣特比丘 廣飮比丘 善宗比丘 鄭善伊兩主
여러 채색 안료를 시주한 취순비구, 박근명 양주, 강중구 부부, 고후삼 부부, 처명비구, 연총이 어머니 송소사 삼월 부부 영가를 위해, 채홍비구, 천석봉 부부, 찬운비구, 치환비구, 초헌 비구, 옥잠비구, 거사 신원 부부
綵色施主 就淳比丘 朴仅明兩主 姜重龜兩主 髙後三兩主 處明比丘 綵色施主 衍揔爲母宋召史 三月兩主 灵駕 彩弘比丘 遷石奉兩主 䝺云比丘 𦤺還比丘 草軒比丘 玉岑比丘 居士 信元兩主
사찰이나 대중이 사용할 물품을 시주한 김씨놀랑이 부부, 박◯◯ 부부, 최일발 부부, 명옥비구, 일화비구, 두징비구, 천오비구, 취문비구, 치원비구, 태명비구, 김화부이가 어머니 김씨 예춘 영가를 위해, 정원비구, 취흠비구, 해훈비구, 체일비구, 처성비구
供養施主 金氏㐗郞伊兩主 朴□□兩主 供養施主 崔日發兩主 明玉比丘 一和比丘 斗澄比丘 天悟比丘 就文比丘 𦤺遠比丘 太明比丘 供養施主 金禾夫伊為母金氏礼春 灵駕 浄遠比丘 就欽比丘 供養施主 觧勳比丘 体一比丘 供養施主 䖏性比丘
아무런 조건 없이 시주를 베푼 설명비구, 거사 신정 부부, 김심만 부부, 김명경 부부, 김행득 부부, 서한립 부부, 최순금 부부, 최명선 부부, 현익비구, 서보세 단독, 탄영비구, 우천비구, 단신비구, 탄묵비구, 덕한이 어머니 황소사 부부를 위해, 치정비구, 쌍휘비구, 해준이 아버지 천주명 부부를 위해, 류소사 단독, 신옥비구, 석명비구, 초영비구, 수철비구, 행심비구, 태현비구, 변완귀 부부, 신욱
普施施主 雪明比丘 居士 信浄兩主 金心萬兩主 金明京兩主 金幸淂兩主 布施施主 徐漢立兩主 崔順今兩主 布施施主 崔命善兩主 玄益比丘 徐寳世單身 坦英比丘 宇天比丘 布施施主 端信比丘 坦黙比丘 布施施主 徳闲為母黃召史兩主 致浄比丘 﨎輝比丘 觧俊爲父 千周命兩主 布施⺀主
劉召史單身 信玉比丘 明比丘 初英比丘 守哲比丘 幸諶比丘 布施施主 太玄比丘 卞完貴兩主 神旭
아무런 조건 없이 시주를 베푼 위식비구, 한붕비구
普施施主 謂湜比丘 漢朋比丘
불화의 뒷면에 붙여 바탕화면을 고정하는 종이나 천을 시주한 수협비구, 치숙비구
後排施主 守冾比丘 𦤺淑比丘
시주를 한 사람들
施主錄
불화의 뒷면에 붙여 바탕화면을 고정하는 종이나 직물을 시주한 치옥비구, 탁균비구, 청규비구, 명선비구, 초선비구, 육한비구, 치감비구, 쌍연비구, 서영비구, 최수비구, 종찬비구, 삼인비구, 강위명 부부, 구만웅이 아버지 구창민 부부를 위해, 상균비구, 성임비구
後排施主 𦤺玉比丘 卓均比丘 淸圭比丘 後排施主 明善比丘 草先比丘 六闲比丘 致鑑比丘 双演比丘 瑞英比丘 後排施主 最修比丘 従䝺比丘 三印比丘 姜渭鳴兩主 後排施主 仇萬雄爲父仇昌敏兩主 尙均比丘 省稔比丘
부처님 전에 켜는 등을 시주한 성탄비구, 귀준비구, 모청비구, 거사 운립 부부
引燈施主 性坦比丘 敀俊比丘 慕淸比丘 居士 云立兩主
복장낭*을 시주한 김만창 부부, 김정환 단독
香嚢施主 金萬唱兩主 金丁桓單身
후령통*을 시주한 이두민 부부
佛靈桶施主 李斗民兩主
둥근 고리를 시주한 한공명 부부, 한동철 부부, 고금학 부부, 태선비구
圓環施主 韓公明兩主 韓銅鉄兩主 髙今䳽兩主 太禪比丘
현재 주지 가선 새화비구, 전 주지 가선 선종비구, 가선 회혜비구, 전 주지 가선 원흠비구
時住持 嘉善璽華比丘 前住持 嘉善善宗比丘 嘉善懷慧比丘 前住持 嘉善元欽比丘
판사 명륵비구, 판사 원익비구, 전 주지 가선 지상비구
判司 明勒比丘 判司 元益比丘 前住持 嘉善志祥比丘
관리와 운영을 담당한 세 직책을 맡은 계응비구, 천옥비구, 체욱비구
三綱 戒應比丘 天玉比丘 体旭比丘
기록을 담당했던 체일비구
書記 体一比丘
사찰에서 수행을 오래하고 덕이 높은 스님들
山中老德秩
설훈비구, 여상비구, 수혜비구, 회선비구, 옥정비구
雪訓比丘 呂祥比丘 守惠比丘 懷善比丘 玉晶比丘
사찰에서 지혜와 덕망이 높은 스님들
山中大徳
월명비구, 지성비구, 각현비구, 혜안비구, 지영비구, 명감비구, 경임비구
月明比丘 智性比丘 覺玄比丘 惠安比丘 智英比丘 明鑑比丘 瓊稔比丘
괘불함을 만드는데 큰 공을 쌓은 장인은 서선발
入盛凾㓛徳木良工徐先發
불사에 참여한 사람들
緣化秩
불사가 바르게 진행되도록 살핀 명축비구
證師 明竺比丘
불전의 향과 공양 등을 관리한 행진비구
內持殿 幸震比丘
향과 공양 등의 시주를 관리한 상헌비구
外持殿 尙軒比丘
그림(괘불탱)을 그린 사람은 의겸비구, 체일비구, 즉심비구, 흥신비구, 향민비구, 양운비구, 민희비구, 채인비구, 왈민비구, 대은비구
畫貟 義謙比丘 体一比丘 即心比丘 興信比丘 畫貟 向敏比丘 良運比丘 敏熙比丘 採仁比丘 曰敏比丘 畫貟 大懚比丘
공양간의 일을 감독한 민순비구, 두오비구
別痤 敏順比丘 斗悟比丘
물품을 조달한 서행비구, 조환비구
供養主 瑞行比丘 祖還比丘
땔감을 마련한 서욱비구
負木 瑞旭比丘
불사에 사용되는 철물을 담당한 수성비구
造錬 守性比丘
불사에 큰 공적을 쌓은 낭준비구
大㓛徳主 朗俊比丘
대중이 사용할 물품을 시주한 박추원 부부
供養施主 朴秋遠兩主
원컨대 이 공덕이 일체중생에게 널리 미쳐서 나와 내 가족, 모든 중생이 모두 불도를 이루어지이다.
願以此㓛徳 普及於一切 我等汝衆生 皆共成佛道
1721년 10월에 주지가 시주를 구하고 1722년 3월 16일부터 시작하여 4월 24일에 마쳤으니 후세 사람들은 상스럽게 보라.
辛丑十月日持任勸善與壬寅三月十六日自始四月二十四日畢役而後人祥囕
화기 용어 해설
* 사당(舍堂) 조선시대 때 무리 지어 떠돌면서 노래와 춤을 팔던 사람
* 복장낭(香嚢) 복장물을 담는 주머니
* 후령통(佛靈桶) 복장물을 담는 통
화기 번역 및 감수
이종수
- 담당부서 : 미술문화유산연구실
- 문의 : 042-860-9196